KR200281647Y1 -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 Google Patents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647Y1
KR200281647Y1 KR2020020009471U KR20020009471U KR200281647Y1 KR 200281647 Y1 KR200281647 Y1 KR 200281647Y1 KR 2020020009471 U KR2020020009471 U KR 2020020009471U KR 20020009471 U KR20020009471 U KR 20020009471U KR 200281647 Y1 KR200281647 Y1 KR 200281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ertial force
inertial
rotating shaft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열
Original Assignee
조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열 filed Critical 조명열
Priority to KR2020020009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647Y1/ko

Links

Abstract

본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은 도어에 설치되는 제 1연결편(10), 상기 제 1연결편과 힌지결합되도록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연결편(20), 상기 연결편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연결편에 고정되며 걸림기어(31)가 동축으로 결합된 회전축(30), 상기 도어가 기준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정지관성력을 발생시키는 관성력 발생수단(50), 상기 정지관성력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걸림기어(31)를 록킹시켜 상기 회전축 및 그와 결합된 도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록킹부(80)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기준회전속도 미만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80)를 구동시키지 않고, 반면에 상기 도어가 기준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에 의해 발생된 관성력을 따라 상기 록킹부(80)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3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클러치수단(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hinge using inertia}
본 고안은 안전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시 급작스런 외부충격으로부터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서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과 도어에 각기 장착되는 것으로서 좌우의 연결편을 구비하고, 좌우의 연결편 사이를 힌지 결합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어를 회전하게 지지하는 힌지는 대개 출입자가 도어를 개폐하기 쉽게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의 급작스런 힘 예컨대, 바람 등이 작용하게 되면 도어가 급격하게 닫혀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대해, 도어클로저가 설치된 경우에는 급격한 도어의 닫힘동작이 방지되기는 하지만, 도어클로저는 도어의 재질 및 위치에 따라서는 설치가 불편하거나 불가한 경우도 종종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닫힘동작을 방지하는 다른 일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51796호에 유압식 안전경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압 방식은 설치는 간단하지만,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름이 새지않도록 밀봉해야하기 때문에 그 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쉽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설치한 후에는 제조시에 설정된 유압의 범위 한계치에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또한, 외부충격을 받았을 경우 완충없이 급속히 정지하기 때문에 사람이 갑자기 뛰어들었을 때에는 벽과 같이 작용하여 이 또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어에 갑작스런 외력이 작용하여 도어가 순간적으로 닫혀지지 않도록 하는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의 준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의 후크 확대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10,20..연결편 30..회전축 31..걸림기어
50..관성력발생수단 60..클러치수단 61..회전체
62..안내돌출부 65..가동부재 66..가이드슬롯
68..트리거 70..클러치휠 72..톱니부
73..후크지지부 74..가이드돌기 76..스프링
80..록킹부 84..후크 85..고정핀
86..안내홈 87..탄성체 90..완충부
91..케이스 92..탄성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안전 경칩은 도어에 설치되는 제 1연결편, 상기 제 1연결편과 힌지결합되도록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연결편에 고정되며 걸림기어가 동축으로 결합된 회전축, 상기 도어가 기준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정지관성력을 발생시키는 관성력 발생수단, 상기 정지관성력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걸림기어를 록킹시켜 상기 회전축 및 그와 결합된 도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록킹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기준회전속도 미만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를 구동시키지 않고, 반면에 상기 도어가 기준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관성력을 따라 상기 록킹부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러치수단은 회전축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면에 안내돌출부를 형성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안내돌출부가 끼워져 상대적으로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슬롯을 형성한 가동부재 및 클러치휠로 구성되며, 탄성 왕복운동이 되도록 탄성체가 회전체와 가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클러치휠은 내주면에 톱니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재에 인접하면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가동부재의 트리거가 관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 이동될 때에만 상기 트리거와 톱니부가 치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충격에 도어가 급격히 정지하지 않도록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제 1연결편(10)과 제 2연결편(20), 회전축(30), 및 제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연결편(10)과 제 2연결편(20)에는 각각 나사로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11, 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두 연결편(10, 20)의 단부는 서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은 중공이 형성된 보어(bore)(12, 22)로 이루어지며, 이 중공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측에 걸림기어(31)가 설치된 회전축(30)이 중공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30)은 제 1연결편(10)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30)의 상부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충격을 받을 때 그 충격을 완화하여 도어를 멈추도록 하는 제동수단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동수단은 외부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관성력발생수단(50), 클러치수단(60) 및 록킹부(8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은 본 장치가 작동하도록 관성을 이용해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원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러치수단(6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돌기(69)에 끼워지도록 홈부(51)를 일측에 형성하고 있으며, 원주면을 따라 좌우 대칭의 방사형으로 직사각형의 개구부(52)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관성력 발생수단(50)의 회전중심을 향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52)에는 장방향으로 위치를 이동 가능한 관성력 조절부재(53)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본 고안의 장치에 작용하는 힘을 조절하여 상기 클러치수단(60)이 대응하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수단(60)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의 회전상태에 의해 유발된 관성력을 관성력 발생수단(50)의 운동조건에 따라 록킹부(8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축(30)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축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체(61)와, 상기 회전체(6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측면의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트리거(trigger)(68)가 형성된 가동부재(65) 및 클러치휠(70)로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체(61)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종동회전을 하며, 회전체(61)의 상면에 형성된 안내돌출부(62)가 상기 가동부재(65)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6)에 끼워져 슬롯의 장방향으로 왕복 가이드되면서 가동부재(65)가 회전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부재(65)가 클러치휠(70)에 맞물리지 않고 자유운동이 가능하도록 예컨데, 도 2의 (A)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체(61)의 일측에 고정돌기(63)를 설치하고, 직경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대향하는 가동부재(65)에 고정돌기(67)를 설치하여 탄성 바이어스하도록 탄성체(64)로 연결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클러치휠(70)은 중앙에 중공(71)을 형성하고 회전축(30)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처음에 세팅된 외부충격의 범위값 예컨데, 기준회전속도 미만으로 회전축이 회전할 때는 클러치휠(70)은 정지상태에 있지만, 정해진 기준회전속도 이상의 외력이 있을 때에는 상기 회전축(3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61), 상기 회전체와 탄성체(64)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가동부재(65) 및 상기 가동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관성력 발생수단(50)의 유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클러치휠(70)의 내주면에는 상기가동부재(65)의 트리거(68)에 대응하도록 톱니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도 2에 도시하였고 이를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A)와 같이 톱니부(72)가 상기 트리거(68)와는 소정거리 이격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30)에 종동회전하는 상기 가동부재(65)와 치합하지 않지만, 기준회전속도 이상의 외부충격이 가해져서 관성력이 작용하면 (B)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65)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트리거(68)와 톱니부(72)가 치합되고 클러치휠(70)은 종동회전하게 된다.
도 3a 또는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8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휠(70)의 저면 일측에는 후크지지부(73)가 설치되어서 후술할 록킹부(80)의 후크(84)를 동작시키게 되며, 클러치휠(70)의 측면에는 상기 후크지지부(73)가 클러치휠의 회전 중에 상기 록킹부(80)의 후크(84)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록킹부(80)는 회전축에 제동을 가하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축의 걸림기어(31)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베이스(81), 후크(84) 및 가이드걸림돌기(88, 89)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84)는 베이스(81)의 상면 일측에 고정핀(85)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핀이 결합된 후크의 타측에는 연결홈(86)이 설치되고, 이 핀과 홈(85, 86)은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토션스프링 또는 탄성을 지닌 강선의 탄성체(87)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다시 도 3a의 록킹부(80)의 준비상태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84)는 탄성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걸림기어(31)에 치합하려고 하지만, 상기 클러치휠(70)의 저면에 설치된 후크지지부(73)가 후크(84)의 회동방향에 위치하여후크(84)가 걸림기어(31)에 치합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b와 같이 외부에서 관성력이 작용하여 클러치휠(70)이 회전을 하게되면, 상기 후크지지부(73)가 후크(84)의 회동궤도를 이탈하게 되고, 후크(84)는 탄성체(87)의 복원력에 의해 단부가 걸림기어(31)에 치합하게 되고,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기어(31)에 의해 회전축(30)이 멈추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부(80)가 상기 클러치휠(70)의 저면에 설치된 후크지지부(73)와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위치를 한정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81)의 상면 일측 예컨데, 상기 후크(84)의 위치 반대편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가이드걸림돌기(88, 89)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상기 클러치휠(70)의 측면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돌기(74)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걸림돌기(88, 89)의 간격은 후크(84)의 회동궤도에 대응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러치휠(70)의 측면 일측(75)과 상기 록킹부(80)의 일측(83)에 탄성 바이스되는 스프링(76)을 설치하여 상기 클러치휠(70)이 동작한 후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 클러치수단(60) 및 록킹부(80)에 의해 급속히 정지되는 도어에 있어서, 가해지는 충격을 서서히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90)를 연결편의 상측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내측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케이스(91)를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측에 상기 록킹부(80)의 베이스(81)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91)의 내경은 베이스(8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베이스가케이스(91)에 수납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91)의 내부에는 외부충격에 의해 갑자기 정지되는 회전축의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수단(92)으로서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이 설치된다. 스파이럴 스프링의 일측(93)은 상기 베이스(81)에 고정되며, 타측(94)은 케이스(91)에 고정되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스프링이 권취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회전축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92)이 권취방향으로 감기면서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의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91)의 외부에 보호캡(미도시)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관성을 이용한 안전 경첩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힌지결합된 제 1연결편(10)과 제 2연결편(20)을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설치한다. 평상시 즉, 도 2의 (A)와 같이 기준회전속도 미만일 경우에는 종래의 도어와 다름없이 개폐된다. 다시 말하면, 회전축(30)이 서서히 회전할 경우 상기 회전체(61)와 탄성체(64)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는 가동부재(65) 및 상기 가동부재 상부에 위치한 관성력 발생수단(50)도 역시 종동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65)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트리거(68)는 상기 클러치휠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72)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클러치휠(70)의 저면에 설치된 후크지지부(73)가 후크(84)를 속박한 채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에 급격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즉, 회전축(30)이 급격히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은 관성의 법칙에 의거하여 일순간 재위치를 유지하려고 한다. 나아가, 상기 가동부재(65)도 회전하고 있는 회전체 (61)에 탄성체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기 때문에 계속 회전하려고 하지만 상부의 관성력 발생수단(50)에 의해 형성된 정지 관성력에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가동부재(65)는 상기 회전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출부(62) 및 가동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슬롯(66)에 의해 슬롯의 장방향으로 탄성체(64)를 압축하면서 가이드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65)의 측면에 형성된 트리거(68)가 클러치휠(7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72)와 치합된 상태에서 정지 상태에 있는 클러치휠(70)을 베이스(81)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걸림돌기(88, 89) 범위내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휠(70)의 저면에 설치된 후크지지부(73)가 비켜나게 되고, 후크지지부(73)에 의해 속박되어 있던 록킹부(80)의 후크(84)는 탄성체(87)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걸림기어(31)에 맞물리게 되어 회전하고 있던 회전축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를 나타낸 것이 도 3b이다.
또한, 도어를 급격히 닫히게 하는 외력이 소멸했을 때 예컨데, 회전축이 정지했을 때나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이 역방향 회전하게 되었을 때는 탄성체(87)의 복원력에 의해 클러치휠(70)이, 탄성체(54)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재(65)가 신속하게 원위치되면서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부(80)의 하면에 완충부(90)를 설치하여, 상기 록킹부(80)에 의해 회전축이 정지됨과 동시에, 베이스(81)의 일측에 결합된 스파이럴스프링(92)이 도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방향을 따라 감겨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충격에 의해 급격히 제동되지 않고 스프링(92)이 감겼다가 풀어지면서 도어가 충격을 받은 방향으로 소정거리 밀렸다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멈추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에 관성력조절수단(53)을 부가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큰 외력에 작용하도록 할 때에는 상기 관성력조절수단(53)을 원주방향의 내측에 놓게 되며, 작은 힘에 작용하도록 할 때에는 상기 관성력조절수단(53)을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칩에 따르면, 평상시 도어가 개폐될 때에는 그 속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지만, 급작스런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작동이 되어 급속히 닫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갑자기 정지하지 않고 완충수단에 의해 서서히 도어가 멈추기 때문에 안전사고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구성이 높으면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고 효과적이다.

Claims (7)

  1. 도어에 설치되는 제 1연결편(10);
    상기 제 1연결편과 힌지결합되도록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2연결편(20);
    상기 연결편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연결편에 고정되며, 걸림걸림기어(31)가 동축으로 결합된 회전축(30);
    상기 도어가 기준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할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정지관성력을 발생시키는 관성력 발생수단(50);
    상기 정지관성력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걸림기어(31)를 록킹시켜 상기 회전축 및 그와 결합된 도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록킹부(80);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기준회전속도 미만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록킹부(80)를 구동시키지 않고, 반면에 상기 도어가 기준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에 의해 발생된 관성력을 따라 상기 록킹부(80)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3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클러치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경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60)은 회전축(30)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면에 안내돌출부(62)를 형성한 회전체(61)와, 상기 회전체(61)의 안내돌출부(62)가 끼워져 상대적으로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슬롯(66)을 형성한 가동부재(65) 및 클러치휠(70)로 구성되며, 탄성 왕복운동이 되도록 탄성체(64)가 회전체(61)와 가동부재(65)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60)의 클러치휠(70)은 내주면에 톱니부(72)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재(65)에 인접하면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가동부재(65)의 트리거(68)가 관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탄성 이동될 때에만 상기 트리거(68)와 톱니부(72)가 치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충격에 도어가 급격히 정지하지 않도록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완충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90)는 록킹부(8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록킹부(80)에 의해 회전축이 정지되면, 베이스(81)의 일측에 결합된 스파이럴 스프링(92)이 도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방향을 따라 권취되면서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력 발생수단(50)은 외부충격에 의해 받는 관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관성력조절수단(53)을 구비하고, 그 관성력조절수단(53)의 위치에 따라 관성력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력을 이용한 안전 경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휠(70)에는 클러치수단(60)에 작용한 관성력에 의해 종동회전 된 후 신속하게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클러치휠(70)의 측면 일측에 탄성부재(7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력을 이용한 안전 경첩.
KR2020020009471U 2002-03-29 2002-03-29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KR200281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71U KR200281647Y1 (ko) 2002-03-29 2002-03-29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71U KR200281647Y1 (ko) 2002-03-29 2002-03-29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303A Division KR100471682B1 (ko) 2002-03-29 2002-03-29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647Y1 true KR200281647Y1 (ko) 2002-07-13

Family

ID=7307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71U KR200281647Y1 (ko) 2002-03-29 2002-03-29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6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515B1 (ko) 2020-02-27 2021-05-27 김용갑 연동 개폐 및 댐핑수단을 포함한 하단 댐핑형 여닫이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515B1 (ko) 2020-02-27 2021-05-27 김용갑 연동 개폐 및 댐핑수단을 포함한 하단 댐핑형 여닫이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1270A (en) Friction hinge
KR20050061091A (ko) 개방형 트레이
BR9909930A (pt) Amortecedor automático de fechamento de porta tipo dobradiça
BG64399B1 (bg) Обков за прозорци и/или врати
US6729448B2 (en) Rotary damper
JP4875603B2 (ja) 滑り止めチェーン用のテンション装置
KR100471682B1 (ko)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KR200281647Y1 (ko) 관성작용을 이용한 안전 경첩
TW200506240A (en) Damper
CA2425399C (en) Damper
JP4907335B2 (ja) ダンパー装置
KR100331713B1 (ko) 모터의동력을가동부재에전달하는장치
JPH0882157A (ja) 戸の指詰め防止装置
KR101975764B1 (ko) 댐퍼 기능을 갖는 기어장치가 부착된 창호장치
CN216485902U (zh) 一种抗震快门结构
KR200233054Y1 (ko) 도어용 완충기
JP6617943B2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JP2009215799A (ja) 引戸の引込み装置
KR100549463B1 (ko) 회전롤의 권회속도 제어용 감속장치
KR101975265B1 (ko) 회전댐퍼장치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JPH0740625Y2 (ja) 過負荷防止ドアクローザー
JPH0893313A (ja) 開扉角度制限付丁番型ドアクローザ
JPH0235107B2 (ja) Jidoshayodoahandorusochi
KR200216500Y1 (ko) 도어용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