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69Y1 -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69Y1
KR200281369Y1 KR2020020010568U KR20020010568U KR200281369Y1 KR 200281369 Y1 KR200281369 Y1 KR 200281369Y1 KR 2020020010568 U KR2020020010568 U KR 2020020010568U KR 20020010568 U KR20020010568 U KR 20020010568U KR 200281369 Y1 KR200281369 Y1 KR 200281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rrier
vertical
loc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다옥
Original Assignee
고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다옥 filed Critical 고다옥
Priority to KR2020020010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69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탑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조명등의 교환 및 보수과정에서 승강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패널(120)의 외벽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공간부(11)를 형성함과 더불어 공간부(11)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공(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10)와; 고정부재(10)의 공간부(11)에 삽입되어 승강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상하수평공(21,22)과 수직공(23)이 각각 형성된 승강부재 (20); 승강부재(20)의 수직공(23)내에 삽입되어 상부수평공(21)을 따라 유동함과 더불어 몸체상하단부에 와이어(170)가 각각 연결된 완충부재(30) 및; 승강부재(20)의 하부수평공(22)에 삽입되어 전후진함과 더불어 몸체전방측에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걸림공(12)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42)가 형성된 걸림부재(40)로 이루어져, 캐리어의 승강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절손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불의의 추락 사고를 사전에 예방되므로 조명등의 교환 및 보수에 따른 작업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동장치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제동효율이 증대되므로 조명탑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Device for stopping the carrier of tower pole}
본 고안은 조명탑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조명등의 교환 및 보수과정에서 승강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의 승강과정에서 와이어의 절손이나 오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불의의 추락 사고를 사전에 예방시킬 수 있도록 된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탑은, 공원이나 경기장, 항만, 공항 등과 같은 광범위한 지역의 조명 목적으로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부재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이러한 조명탑(100)의 외주면에 가이드레일(110)이 설치되면서, 가이드레일(110)에 가이드패널 (120)을 통해 캐리어(130)가 설치되어 승강한다.
이때, 조명탑(100)의 조명등(140)을 교환하거나 보수하려는 경우, 일단 구동장치(150)와 권취장치(160)에 의해 작동하는 와이어(170)를 풀면, 캐리어(130)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지면으로 하강하므로, 조명등(140)의 교환/보수에 따른 작업안정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조명탑(100)의 가이드패널(120)에, 캐리어(130)의 승강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 즉, 와이어(170)의 절손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은, 제동장치(200)가 장착되어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특98-77230)에 의하면, 제동장치(200)는, 가이드패널(120)내에 힌지핀(211)을 통해 결합된 제동레버(210)와; 제동레버(210)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와이어(170)가 연결된 고정체(220); 제동레버(210)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스프링(231)이 수용된 삽입구(230) 및; 제동레버(210)와 고정체(22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24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명탑(100)의 와이어(170)가 절손되는 경우, 고정체(220)에 연결로드(240)로 연결되어 있던 제동레버(210)가 힌지핀(211)을 따라 회동하므로, 제동레버(210)의 톱니돌기(212)가 스프링(231)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가이드레일(110)에 밀착되어 캐리어(130)를 제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고정체(220)와 연결로드(240) 및 연결로드(240)와 제동레버(210)는 각각의 힌지핀(221,222)를 통해 연결되어, 와이어(170)가 절손되거나 손상되어 이탈되는 경우 링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공개특허공보에 의하면, 캐리어(130)의 제동작업이 제동레버(210)와 가이드레일(110)의 마찰에 의해 이루어져, 예컨대 제동레버(210)의 톱니돌기(212)가 가이드레일(110)을 파고들어가 손상시키므로, 가이드레일(110)의 보수에 따른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에 의하면, 제동레버(210)와 고정체(220)와 연결로드 (240)가 힌지핀(211,221,222)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작동구조로서, 힌지핀(211, 221,222)들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거나 이탈되는 경우, 제동장치(200)의 작동이 불능상태로 도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에 의하면, 캐리어(130)의 제동과정에서 제동장치(20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만한 마땅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캐리어(130)에 가해지는 자체하중에 의한 반발력이 주변기기 즉, 조명등(140)이나 전원공급장치로 가래져 파손시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리어의 승강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의의 추락 사고를 예방시킴은 물론 제동장치의 제동효율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이드패널의 외벽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공간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공간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승강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상하수평공과 수직공이 각각 형성된 승강부재; 승강부재의 수직공내에 삽입되어 상부수평공을 따라 유동함과 더불어 몸체상하단부에 와이어가 각각 연결된 완충부재 및; 승강부재의 하부수평공에 삽입되어 전후진함과 더불어 몸체전방측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걸림공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b)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제동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를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의 작동전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부재 11 : 공간부
12 : 걸림공 13 : 플랜지부
20 : 승강부재 21,22 : 상하수평공
23 : 수직공 30 : 완충부재
33 : 너트부재 40 : 걸림부재
41 : 스프링 42 : 걸림돌기
43 : 체결판 44 : 보울트
45 : 공간부 46 : 관통공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고,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의 작동전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조명탑(10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0)에 가이드패널(120)을 통해 설치되어 와이어(170)의 작동과정에서 승강함과 더불어 그 몸체에 조명등(140)이 설치된 캐리어(130)의 제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이드패널(120)의 외벽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공간부(11)를 형성함과 더불어 공간부(11)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공(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10)와; 고정부재(10)의 공간부 (11)에 삽입되어 승강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상하수평공(21,22)과 수직공(23)이 각각 형성된 승강부재(20); 승강부재(20)의 수직공(23)내에 삽입되어 상부수평공 (21)을 따라 유동함과 더불어 몸체상하단부에 와이어(170)가 각각 연결된 완충부재(30) 및; 승강부재(20)의 하부수평공(22)에 삽입되어 전후진함과 더불어 몸체전방측에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걸림공(12)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42)가 형성된 걸림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 중 조명탑(100)의 가이드레일(110)과 가이드패널(120)과 캐리어(130)와 조명등(140)과 구동장치(150)와 권취장치(160)와 와이어(170)는 종래 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제동장치 (1)의 작동구조가 변경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0)는, 가이드패널(12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대략 "ㄷ"자 형상의 외관을 이루는 강철프레임으로서, 그 몸체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공간부(11)가 형성되면서, 그 몸체전방측의 양측부에 플랜지부(13)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10)는, 그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공(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20)는, 고정부재(10)내에 수용되어 공간부(11)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사각박스형상의 강철프레임으로서, 그 몸체전방측에 플랜지부(13)의 사이공간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미끄럼돌기(24)가 일정두께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플랜지부(13)를 따라 승강한다.
또한, 승강부재(20)는, 그 몸체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수직공(23)이 형성되며, 그 내부공간에 수직공(23)가 연통되면서 걸림공(12)과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상하수평공(2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30)는, 승강부재(20)의 수직공(23)내에 삽입되어 상부수평공(21)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와이어(170)의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몸체상단에 와이어(170)가 고정되는 고정돌기(31)가 형성되며, 그 몸체하단부에도 와이어(170)가 고정되는 고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완충부재(30)의 둘레면에, 상부수평공(2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와이어(170)의 이탈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완충부재(30)를 따라 미끄럼이동하면서 완충부재(30)의 이탈량을 제한하는 너트부재(3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40)는, 승강부재(20)의 하부수평공(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판(43)을 통해 보울트(44)로 고정되는 전후진부재로서, 그 몸체전면에 하부수평공(22)을 경유하여 걸림공(12)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42)가 형성되며, 그 몸체후면에 스프링(41)이 수용되는 수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재(40)의 걸림돌기(42)에, 고정부(32)와 연결되어진 와이어170)가 통과되어, 예컨대 걸림돌기(42)가 하부수평공(2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통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명탑(100)의 설치위치에 제동장치(1)를 장착한 상태에서, 구동장치 (150)와 권취장치(160)를 작동하여 와이어(170)를 풀거나 감아가면서 캐리어(130)의 승강시키면, 도 5(b)에서와 같이, 걸림부재(40)의 걸림돌기(42)가 하부수평공 (22)내에 수용된 상태로 머물러 있는 것이다.
이때, 걸림부재(40)의 걸림돌기(42)는, 관통공(46)을 통과하여 삽입되어 있던 와이어(170)에 의해 전진이 차단된 상태로서, 고정부재(10)의 걸림공(12)과 상호 간섭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와이어(170)의 풀림 또는 감김과정에서 캐리어(130)가 승강 또는 하강을 반복하는 것이다.
만일, 캐리어(130)의 승강과정에서 와이어(170)가 절단되어 자체하중에 의해 낙하되는 경우, 도 5(a)에서와 같이, 완충부재(30)의 고정돌기(31)에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170)의 인장력이 해소되므로, 걸림부재(40)의 관통공(46)으로부터 와이어(170)가 인출된다.
이때, 와이어(170)는, 걸림부재(40)의 관통공(46)으로부터 인출되어 수직공 (23)을 따라 상향되다가, 너트부재(33)가 상부수평공(21)으로 밀착되는 순간 정지되어, 승강부재(20)내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부재(20)의 하부수평공(22)에 수용되어 있던 걸림부재(40)가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되어, 걸림부재(40)의 걸림돌기(42)가 걸림공(12)으로 삽입되는 경우, 캐리어(130)가 제동되어 더 이상 낙하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에 의하면, 캐리어의 승강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절손이나 오작동으로 인한 불의의 추락 사고를 사전에 예방되므로 조명등의 교환 및 보수에 따른 작업안정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동장치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제동효율이 증대되므로 조명탑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조명탑(10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0)에 가이드패널(120)을 통해 설치되어 와이어(170)의 작동과정에서 승강함과 더불어 그 몸체에 조명등(140)이 설치된 캐리어(130)의 제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이드패널(120)의 외벽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공간부(11)를 형성함과 더불어 공간부(11)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공(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10)와; 고정부재(10)의 공간부(11)에 삽입되어 승강함과 더불어 내부공간에 상하수평공(21,22)과 수직공(23)이 각각 형성된 승강부재(20); 승강부재(20)의 수직공(23)내에 삽입되어 상부수평공(21)을 따라 유동함과 더불어 몸체상하단부에 와이어(170)가 각각 연결된 완충부재(30) 및; 승강부재(20)의 하부수평공(22)에 삽입되어 전후진함과 더불어 몸체전방측에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걸림공(12)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42)가 형성된 걸림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완충부재(30)에, 그 둘레면에 상부수평공(21)내로 수용된 상태에서 와이어(170)가 절손되는 경우 이동부재(20)의 낙하를 방지하는 너트부재 (3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KR2020020010568U 2002-04-09 2002-04-09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KR200281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568U KR200281369Y1 (ko) 2002-04-09 2002-04-09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568U KR200281369Y1 (ko) 2002-04-09 2002-04-09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69Y1 true KR200281369Y1 (ko) 2002-07-13

Family

ID=7312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568U KR200281369Y1 (ko) 2002-04-09 2002-04-09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35A1 (ko) * 2021-07-22 2023-01-26 에스엘 주식회사 살균 장치
WO2023003134A1 (ko) * 2021-07-22 2023-01-26 에스엘 주식회사 살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35A1 (ko) * 2021-07-22 2023-01-26 에스엘 주식회사 살균 장치
WO2023003134A1 (ko) * 2021-07-22 2023-01-26 에스엘 주식회사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453B1 (ko)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강 시스템
KR1018708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1934361B1 (ko) 가로등
KR20090002456U (ko)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KR100857016B1 (ko) 자동정지장치를 구비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1934362B1 (ko) 절첩식 가로등 암
KR200281369Y1 (ko)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 장치
KR20070078521A (ko) 승강구동식 조명타워
CN2881336Y (zh) 高杆灯防坠落装置
KR1010701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 타워
CN113188077B (zh) 一种城市轨道交通组合式灯具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100955403B1 (ko)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KR20090122640A (ko) 승강식 조명타워
KR100989456B1 (ko) 승강식 조명등기구
CN216277274U (zh) 一种市政施工用围挡
KR100226230B1 (ko) 승강식 조명탑의 캐리어 제동장치
KR101006241B1 (ko) 리프트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CN216644050U (zh) 一种方便清洁的自动调色温型光伏路灯
JP3112707U (ja) クレーン用照明具取付装置
CN215523089U (zh) 一种适用于电梯的自动应急照明装置
KR102601033B1 (ko) 야외 공간에 설치되는 입체 조명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0296997A (ja) 伸縮マ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