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366Y1 -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 Google Patents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366Y1
KR200281366Y1 KR2020020010497U KR20020010497U KR200281366Y1 KR 200281366 Y1 KR200281366 Y1 KR 200281366Y1 KR 2020020010497 U KR2020020010497 U KR 2020020010497U KR 20020010497 U KR20020010497 U KR 20020010497U KR 200281366 Y1 KR200281366 Y1 KR 200281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rail
lifting
drive un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
Original Assignee
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 filed Critical 정순
Priority to KR2020020010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366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차에 올려지는 관을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운반하지 않고 화장로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가 장착되어 있고 후방에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기대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과 기대의 중간에 고정되어 있고 양측 수평대의 사이에 승강 구동부가 구비된 중간 프레임과, 상기 승강 구동부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승강레일 및 이 승강레일의 상측에 장착되어 관이 올려지며 체인 구동부를 통해 상기 승강레일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테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Apparatus for carrying casket}
본 고안은 화장로의 안치대로 관을 운반시키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대차에 올려지는 관을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운반하지 않고 화장로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장에서 관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대차는, 크게 운구차에서 내려지는 관을 장례식장이나 고별실로 이동시키는 이동용 대차와, 일반인이 출입할 수 없는 화장로가 구비된 실내에서 사용되는 관 운반용 대차(이하, 화장용 대차라 칭함)로 나누어진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화장용 대차를 개량한 것으로서,먼저 통상적인 화장용 대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화장용 대차는, 다수의 캐스터가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관이 실려지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장용 대차는 이동용 대차에서 옮겨진 관을 화장로 까지 운반하데 사용되는데, 상기 대차에 올려진 관을 화장로에 투입할 경우에는 관을 4인 이상의 작업자가 대차에서 들은 후 이를 화장로의 내부로 밀어 관을 안치대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관을 수작업을 통해 안치함에 있어서 안치대에 정확하게 안치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함으로서 관을 가열하는 화장열의 편중으로 인하여 원활한 화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관을 소홀히 운구하는 경우가 빈번함으로서 유족들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약 100kg 정도 나가는 관을 작업자가 하루에 수십 회 씩 반복적으로 운반 이동시킴으로서 작업자들이 고질적인 허리병에 시달리고 있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관이 무거움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4인 이상의 작업자가 관을 운반해야 함으로서 화장로장의 안치인원을 늘려야 함으로서 많은 인건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화장용 대차에 올려지는 관을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운반하지 않고 화장로의 안치대에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을 화장로의 안치대에 정확한 위치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관을 대차에 실은 상태에서 관이 올려진 테이블의 이동을 통해 관을 안치함으로서 엄숙한 분위의 운구를 가능하게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가 장착되어 있고 후방에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기대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과 기대의 중간에 고정되어 있고 양측 수평대의 사이에 승강 구동부가 구비된 중간 프레임과, 상기 승강 구동부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승강레일 및 이 승강레일의 상측에 장착되어 관이 올려지며 체인 구동부를 통해 상기 승강레일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테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프레임
11 : 캐스터
12 : 기대
121 : 손잡이
2 : 중간 프레임
21 : 수평대
3 : 승강 구동부
31 : 승강축
311 : 래크
32 : 모터 구동부
321 : 모터, 322 : 구동축, 323 : 피니언, 324 : 피니언축,
325 : 기어박스
35 : 링크부
351 : 회전승강링크, 352 : 회전지지링크
36 : 연결이동대
361 : 탭홀
37 : 나선축
371 : 핸들
4 : 테이블
41 : 승강레일
42 : 이동레일
43 : 체인 구동부
431 : 회전축, 432 : 스프로킷, 433 : 체인, 434 : 모터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화장용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11)가 장착되어 있고 후방에는 손잡이(121)를 포함하는 기대(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1)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측과 기대의 중간에 고정되어 있고 양측 수평대(21)의 사이에 승강 구동부(3)가 구비된 중간 프레임(2)과, 상기 승강 구동부(3)의 상측에 장착되어 올려지는 관을 상기 승강 구동부(3)를 통해 상승시킨 후 상승된 관을 체인 구동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관을 상기 승강 구동부(3)를 통해 다시 하강시켜 화장로의 안치대에 안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테이블(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확대도로서, 상기 테이블(4)은, 상기 승강 구동부(3)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승강레일(41)과, 이 승강레일(41)의 상측에 장착되어 관이 올려지며 체인 구동부(43)를 통해 상기 승강레일(41)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레일(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 구동부(43)는, 양측 승강레일(41)의 전후방에 장착되어 양측에 스프로킷(432)이 구비된 회전축(431)과, 상기 전,후방 양측의 스프로킷(432)들을 전후방으로 각각 연결하고 상기 양측 이동레일(42)의 내측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체인(433), 및 상기 회전축(431) 중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축(431)을 구동시키는 모터(434)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레일(41)과 이동레일(42)의 사이에는 통상의 선 운동 볼 레일이 장착됨으로서, 이동레일(42)이 승강레일(41)로부터 인출되는 순간에 오작동을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레일(42)의 인출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승강 구동부(3)는, 상기 테이블(4)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에 승강 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며 래크(311)가 구비된 다수의 승강축(31)과, 상기 래크(311)와 맞물려 승강축(31)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피니언(323)이 포함되며 이 피니언(32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구동부(32)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 구동부(32)는, 모터(321)와 연결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2)의 중앙에 장착된 구동축(322)과, 상기 피니언(323)들 중 양측으로 마주보는 피니언(323)들을 서로 연결하는 피니언축(324), 및 상기 구동축(322)과 피니언축(324)을 연결하는 기어박스(325)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니언(323)과 래크(311)의 작동을 통해 테이블(4)을 승강 시킴으로서,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안정적인 승강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화장로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로 외부에서 관이 투입되면, 투입된 관은 대차 테이블(4)을 구성하는 양측 이동레일(42)의 상면에 올려진다.
다음 작업자 1인이 본체 프레임(1)의 손잡이(21)를 잡고 대차를 화장로의 입구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작업자가 조작반(도시않됨)을 조작하여 승강 구동부(3)을 작동시킴으로서 관을 상승시킨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21)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연결된 구동축(322)이 회전되고, 이 구동축(322)과 기어박스(325)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축(324)이 연동되어 회전되며, 이 피니언축(324)에 장착된 피니언(323)이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323)과 맞물리는 래크(311)가 구비된 승강축(31)이 상승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축(31)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테이블(3)이 상승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이 상승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관이 상승된 상태에서 조작반의 조작을 통해 테이블(4)의 체인 구동부(43)를 작동시켜 관을 안치대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구동부(43)의 모터(433)를 작동시켜 이동레일(42)에 일부가 고정된 체인(432)을 이동 회전시킴으로서 관이 올려진 이동레일(42) 만을 승강레일(41)로부터 돌출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관을 안치대의 상부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다.
그 후 조작반의 조작을 통해 승강 구동부(3)를 하강시켜 관의 중앙이 안치대의 상면에 올려지게 한 다음, 승강 구동부(3)의 이동레일(32)을 관의 하면 보다 아래의 위치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작업자가 대차를 후진시킴으로 관의 안치를 완료한 후, 테이블을 구성하는 체인구동부(43)를 작동시켜 돌출되어 있던 이동레일(42)을 원위치 시킴으로서 다음 안치작업을 준비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승강 구동부를 제외한 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로 하며,다른 실시예의 승강 구동부(3)는, 상기 중간프레임(2)을 구성하는 양측 수평대(21)의 내측과 상기 양측 테이블(4)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며 하부가 수평대(21)의 내측을 타고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승강링크(351) 및 이 회전승강링크(351)의 중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링크(352)로 이루어진 다수의 링크부(35)와, 상기 링크부(35)들 중 서로가 마주보는 링크부(35)의 회전승강링크(351)들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며 중간에는 서로가 상응되는 위치에 탭홀(361)이 구비된 다수의 연결이동대(36), 및 상기 탭홀(361)들에 관통 체결되며 단부에는 핸들(371)이 구비된 나선축(37)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승강 구동부(3)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나선축(37)의 일단에 구비된 핸들(371)을 회전시키게 되면 나선축(37)에 체결된 연결이동대(36)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서, 연결이동대(36)와 연결된 각 링크부(35)의 회전승강링크(352)의 하부가 이동되게 됨에 따라 회전승강링크(351)가 지지회전링크(352)를 중심으로 상단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승강링크(351)의 상단과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4)을 승강시킴으로서, 상술한 일실시예의 승강구동부(3)와 동일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용 대차에 올려지는 관을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운반하지 않고 화장로의 안치대에 안치함으로서, 작업자의 직접적인 운반에 따른 고충을 해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안치인원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관이 화장로의 안치대에 정확한 위치에 안치되도록 하여 화장열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원활한 화장이 이루지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관이 올려진 테이블의 이동을 통해 관을 안치함에 따라 엄숙한 분위기의 운구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유족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 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11)가 장착되어 있고 후방에는 손잡이(121)를 포함하는 기대(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1)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상측과 기대(12)의 중간에 고정되어 있고 양측 수평대(21)의 사이에 승강 구동부(3)가 구비된 중간 프레임(2)과;
    상기 승강 구동부(3)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승강레일(41) 및 이 승강레일(41)의 상측에 장착되어 관이 올려지며 체인 구동부(43)를 통해 상기 승강레일(41)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레일(42)을 포함하는 테이블(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구동부(43)는, 양측 승강레일(41)의 전후방에 장착되어 양측에 스프로킷(432)이 구비된 회전축(431)과, 상기 전,후방 양측의 스프로킷(432)들을 전후방으로 연결하고 상기 양측 이동레일(42)의 내측에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체인(433), 및 상기 회전축(431) 중 하나에 연결된 모터(4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일(41)과 이동레일(42)의 사이에는 통상의 선운동 볼 레일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3)는, 상기 테이블(4)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에 승강 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며 래크(311)가 구비된 다수의 승강축(31)과, 상기 래크(311)와 맞물려 승강축(31)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피니언(323)이 포함되며 이 피니언(32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구동부(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32)는, 모터(321)와 연결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2)의 중앙에 장착된 구동축(322)과, 상기 피니언(323)들 중 양측으로 마주보는 피니언(323)들을 서로 연결하는 피니언축(324), 및 상기 구동축(322)과 피니언축(324)을 연결하는 기어박스(32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3)는, 상기 중간프레임(2)을 구성하는 양측 수평대(21)의 내측과 상기 양측 테이블(4)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며 하부가 수평대(21)의 내측을 타고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승강링크(351) 및 이 회전승강링크(351)의 중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링크(352)로 이루어진 다수의 링크부(35)와, 상기 링크부(35)들 중 서로가 마주보는 링크부(35)의 회전승강링크(352)들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며 중간에는 서로가 상응되는 위치로 탭홀(361)이 구비된 다수의 연결이동대(36), 및 상기 탭홀(361)들에 관통 체결되며단부에는 핸들(371)이 구비된 나선축(3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KR2020020010497U 2002-04-08 2002-04-08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KR200281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97U KR200281366Y1 (ko) 2002-04-08 2002-04-08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97U KR200281366Y1 (ko) 2002-04-08 2002-04-08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366Y1 true KR200281366Y1 (ko) 2002-07-13

Family

ID=7312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497U KR200281366Y1 (ko) 2002-04-08 2002-04-08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3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2746B2 (en) Bed
RU2514744C2 (ru) Каталка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ациента
KR19990071966A (ko) 무능력한 환자를 취급하기위한 장치
JPS63500701A (ja) 改良された患者移送車
JP3051402B1 (ja) 柩用台車
KR200281366Y1 (ko) 화장장 관 운반용 대차
KR100397747B1 (ko) 환자 운반카
RU2364384C1 (ru) Тележка-подъемник для больных
KR100831207B1 (ko) 휠체어 장애인용 작업 전동 테이블
KR200243034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로내대차운반장치
CN106361520A (zh) 一种辅助病人摆渡装置
KR200252641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로내관투입장치
KR200252292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운반대차
KR200252639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
CN110840689A (zh) 医用自动搬运担架车及其搬运方法
CN206603870U (zh) 医用铲式担架转运车
CN216021713U (zh) 一种用于转移病人的装置
RU215261U1 (ru) Тележка-катал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ациентов
KR200243022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
CN220025420U (zh) 一种便于上下运输患者的车载医院
JP5536130B2 (ja) 遺体搬送車の遺体移動装置
KR102229718B1 (ko) 운구용 이동 대차
CN216021718U (zh) 一种轻便型转运车
JP2011092446A (ja) 移動補助装置
KR20030010001A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