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10Y1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10Y1
KR200280710Y1 KR2020020007497U KR20020007497U KR200280710Y1 KR 200280710 Y1 KR200280710 Y1 KR 200280710Y1 KR 2020020007497 U KR2020020007497 U KR 2020020007497U KR 20020007497 U KR20020007497 U KR 20020007497U KR 200280710 Y1 KR200280710 Y1 KR 200280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support
lifting device
fre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인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미래에스앤티
Priority to KR2020020007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10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화물차량(10)의 적재프레임(11) 상부에 컨테이너(20)를 상역 또는 하역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21, 22, 23)와, 상기 컨테이너(20)를 상기 적재프레임(11)의 상부로 적재 또는 이격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팅장치(24, 25)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 22, 23)는 상기 컨테이너(20)의 양측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장치(24, 25)는 상기 컨테이너(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컨테이너(20)를 다루기 위한 별도의 상, 하역 장비를 요하지 않으므로 물류유통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트레일러, 화물탑차, 특장차 등과 같은 일반 화물차량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어 적용 가능한 범위가 큰 폭으로 확장되므로 그 실질적인 활용가치 또한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컨테이너{Container}
본 고안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류 유통의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일반 화물차량에 대한 적용범위도 확장되도록 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단위화된 구조체로 견고하고도 간편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일반적인 물류유통에 있어 활용되는 가치가 상당한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그 효용성에 비해 화물을 상, 하역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비 및 시간이 꽤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비효율적인 특성 또한 가지고 있으므로 물류비용 절감에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43950호는 이와 같은 컨테이너의 비효율적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사항을 제시한 것 중 하나로서 그 기술사항의 요지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화물차량(1)의 상부에 상역될 컨테이너(3)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컨테이너(3)를 지지하게 될 4개의 지지대(4, 5, 기타 미도시)와 안내공(6, 7)이 설치되며, 이와는 상대적으로 화물차량(1)의 적재프레임(2) 상부에는 컨테이너(3)를 승강시킬 리프팅장치(8, 9)가 컨테이너(3)의 하부 안내공(6, 7)과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어, 리프팅장치(8, 9)가 승강 구동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컨테이너(3)가 상승한 상태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4, 5)를 연장시켜 고정하면 컨테이너(3)는 하역되는 것이고, 컨테이너(3)가 하강한 동안 지지대(4, 5)를 수축시켜 고정하면 컨테이너(3)는 상역되는 방식으로 매우 간단히 상,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종래에 컨테이너를 수송하는데 있어 전용으로 사용되어 왔던 화물차량, 예컨데, 컨테이너 수송용 트레일러와 같은 전용차량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일 뿐이어서 그 간단하고도 참신한 아이디어에 비해 적용이 가능한 범위는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컨테이너를 승강시키는 구동원인 리프팅장치가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에 설비되어야 한다는 점 때문으로 일반 화물 수송차량의 화물적재프레임은 별도의 리프팅장치를 설치할 만큼 공간적으로나구조적으로 여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류유통에 효용성이 높은 컨테이너의 물류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일반 화물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실질적인 활용가치가 극대화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를 차량의 후방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화물차량 2, 11 : 적재프레임
3, 20 : 컨테이너 4, 5, 21, 22, 23 : 지지대
6, 7 : 안내공 8, 9, 24, 25 : 리프팅장치
12, 13, 14 : 적재판 21a, 22a, 23a : 힌지부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는,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 상부에 컨테이너를 상역 또는 하역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부로 적재 또는 이격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팅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컨테이너의 양측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컨테이너 하부 공간을 확장시켜 컨테이너 적재 차량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그 상단부가 상기 컨테이너 벽면과 힌지연결되어 양방으로 벌어지도록 축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는 일반적인 형태의 컨테이너(20)에 지지대(21, 22, 23)와 리프팅장치(24, 25)가 단위화된 구조체로 일체되어 컨테이너 수송용 특정 차량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반 화물차량(10)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화물차량(10)은, 본 고안에 있어서 특정 차량에 국한되지 않는 일반 화물차량을 의미하며, 첨부된 도면에는 차량 후단에 적재프레임(11)이 구비되어 3개의 적재판(12, 13, 14)으로 적재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화물차량을 일 예로 나타내고 있다.
컨테이너(20)는, 좌우측면에 각각 컨테이너(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될 지지대(22)가 각각 힌지부(21a, 22a, 23a)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컨테이너(20)를 적재프레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될 리프팅장치(24, 25)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지지대(21, 22, 23)는, 컨테이너(20)의 좌, 우측벽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컨테이너(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대가 적어도 세개 이상 구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예컨대 텔레스코픽 로드(telescopic rod)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물차량(10)의 적재판(12, 14)에는 컨테이너(20)의 좌우측에 힌지된 지지대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클램핑 수단(clamping means)이 별도로 동원되어 화물차량에 의해 수송되는 컨테이너에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에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1, 22, 23)는 힌지부(21a, 22a, 23a)를 기준으로 해서 그 상단부를 양방으로 축회전시키면 화물차량의 진입공간이 확장되어 이 화물차량이 컨테이너 저면으로 용이하게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리프팅장치(24, 25)는, 컨테이너(20)를 적재프레임(11)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고압의 공기압으로 직선 구동력을 제공하는 콤프레서, 실린더 등과 같은 통상의 구동수단을 컨테이너의 하부에 구성시킴으로써 리프팅장치를 이루어낼 수 있다. 리프팅장치(24, 25) 역시 적재프레임(11) 평면상에 컨테이너(20)가 상승 또는 하강되기 위하여 적어도 세개 이상이 컨테이너(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상 리프팅장치 자체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 등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에 해당되므로 이하 생략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가 화물차량에 상, 하역되는 순서를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초기에 컨테이너(20)가 화물차량(10)에 실려있다고 가정할 경우 컨테이너(20)의 하부 리프팅장치(24, 25)를 구동시키면 컨테이너(20)의 하부면과 적재프레임(11) 사이에서 팽창하여 컨테이너(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이때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21, 22, 23)도 동시에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며, 이 들어올려진 지지대(21, 22, 23)를 양방으로 축회전시켜 컨테이너(20) 저면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지면방향으로 각각 연장시켜 지면에 고정시킨 후 다시 리프팅장치(24, 25)를 역으로 구동시켜 수축되도록 하면 이 리프팅장치(24, 25)는 화물차량(10)으로부터 이탈되고 결과적으로 화물차량(10)은 컨테이너(20)로부터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반대로, 컨테이너(20)를 다시 화물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상으로 적재시키기 위해서는 지면상에 지지되어 있는 컨테이너(20)의 좌우측 지지대(21, 22, 23) 사이로 화물차량(10)을 후진하여 위치시키고, 리프팅장치(24, 25)를 구동시켜 리프팅장치(24, 25)의 바닥면이 적재프레임(11)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며, 지지대(21, 22, 23)의 길이를 조절하여 축소시키면 컨테이너(20)는 지면이 아닌 적재프레임(11) 상면에 적재된 상태가 되므로, 이후로 리프팅장치를 다시 역으로 구동시키는 동시에 지지대(21, 22, 23)의 상단부를 축회전시켜 컨테이너(20) 벽면과 밀착되도록 하면 화물차량(10)으로의 컨테이너 적재작업은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를 상, 하역시키기 위한 제반 구성들, 즉, 컨테이너 지지용 지지대와 컨테이너 승강용 리프팅장치 등이 일반 구조의 컨테이너와 단위화 된 구조체로서 일체화됨으로써 별도의 상, 하역 장비를 요하지 않아 물류유통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한편, 트레일러, 화물탑차, 특장차 등 일반 화물차량에도 쉽게 적용시킬 수 있어 적용범위가 확장되므로 그 실질적인 활용가치 또한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 상부에 컨테이너를 상역 또는 하역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부로 적재 또는 이격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팅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컨테이너의 양측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컨테이너 하부 공간을 확장시켜 컨테이너 화물차량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그 상단부가 상기 컨테이너 벽면과 힌지연결되어 양방으로 벌어지도록 축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컨테이너.
KR2020020007497U 2002-03-14 2002-03-14 컨테이너 KR200280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97U KR200280710Y1 (ko) 2002-03-14 2002-03-14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497U KR200280710Y1 (ko) 2002-03-14 2002-03-14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10Y1 true KR200280710Y1 (ko) 2002-07-13

Family

ID=7311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497U KR200280710Y1 (ko) 2002-03-14 2002-03-14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3116A (zh) * 2021-04-25 2021-07-27 济南金圣冷藏设备有限公司 一种分体式冷藏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3116A (zh) * 2021-04-25 2021-07-27 济南金圣冷藏设备有限公司 一种分体式冷藏车
CN113173116B (zh) * 2021-04-25 2022-08-19 济南金圣冷藏设备有限公司 一种分体式冷藏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933B2 (en) Container trailer
US7048491B2 (en) Crane hoist apparatus
US8186739B2 (en) Topper lift system and method
PT1204573E (pt) Contentor de carga.
KR20170127140A (ko) 차량 적재 운반용 자동차의 리프트 적재 장치
US6527336B2 (en) Pop-up trailer
KR200280710Y1 (ko) 컨테이너
JP5312661B1 (ja) ダンプトラックへの箱型コンテナの着脱機構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JP4723126B2 (ja) ドライコンテナへの搬送物の搬出入システム
JP2011213383A (ja) 車載用コンテナ
CN213294095U (zh) 一种物流卸货用自动码垛装置
KR10049387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윙바디 트럭
JPH0733192A (ja) コンテナ
JPH07228183A (ja) コンテナや車輌荷台用の荷役方法および荷役装置
JP2003020124A (ja) 搬送物搬出入用のドライコンテナ移送装置及び搬出入構造体
KR20160095941A (ko) 가변형 스키드가 구비된 로로 카세트
KR200451659Y1 (ko) 트럭용 윙바디
KR20160045442A (ko) 파렛트 운반장치
JPH09193992A (ja) 昇降装置付きコンテナ
KR200295494Y1 (ko) 화물자동차의 윙바디
KR19980033048U (ko) 화물자동차 적재함 구조
CN215854844U (zh) 自动升降式货箱
KR100554148B1 (ko) 사다리차
JP3315601B2 (ja) 運搬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