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258Y1 -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258Y1
KR200280258Y1 KR2020020010876U KR20020010876U KR200280258Y1 KR 200280258 Y1 KR200280258 Y1 KR 200280258Y1 KR 2020020010876 U KR2020020010876 U KR 2020020010876U KR 20020010876 U KR20020010876 U KR 20020010876U KR 200280258 Y1 KR200280258 Y1 KR 200280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game
conveying part
convey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20010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258Y1/ko

Link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게임기에 장착되어 주화대신 게임기의 구동을 위해 철 재질의 구슬을 투입하고, 그 투입된 구슬의 개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 전면에 게임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와, 게임 진행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조작 패널이 구비된 하우징을 갖는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부착되며, 그 전면에 게임기 구동을 위한 가치수단인 구슬을 투입할 수 있게 된 구슬 투입공과, 불량 구슬을 배출시키는 구슬 배출공이 각각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부착되어 투입된 구슬을 일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경로가 그 측면에 형성된 구슬 이송부 지지판과; 상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 상부에 부착되어 구슬 투입공을 통해 투입된 구슬이 자중에 의해 이송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와 연통되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선별적으로 낙하된 구슬이 경사면을 따라 이송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의 후단부와 연통되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제 2 이송부로 낙하되지 않은 구슬이 낙하되어 이송되도록 구성된 제 3 이송부와; 상기 제 3 이송부의 배출구 전단이면서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 3 이송부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구슬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연산기와; 상기 연산기의 측면에 그 일단이 부착되고, 그 타단은 제 3 이송부의 배출경로상에 위치된 접촉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별도의 환전이 요구되므로 사용자가 게임을 그만둘 때 환전이 필요하므로 잔여 구슬이 있을 때 지속적으로 게임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 상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게임기에 투입되는 주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구슬을 주화대신 게임기에 투입함에 따라 주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게임기에 투입되는 주화의 단위가 큰 게임이나 아주 작은 게임인 경우에는 주화 대신 구슬을 투입함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A GLASS BEAD AT A AUTOMATIC GAME MACHINE}
본 고안은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각종 게임기에 대한 구동을 위해 구슬을 투입하고, 그 구슬 투입여부를 검출하여 게임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특정 공공장소나 도처의 슈퍼 및 문구점, 완구점 등지에 각종 자동판매기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는 완구는 물론이고, 대표적으로 음료수 자동판매기가 있는 바, 이러한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의 구성은 주화, 지폐 등의 화폐를 인식하는 주화인식부와, 상품을 저장하는 저장부, 주화인식신호를 인가받아 상품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배출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관리자가 순회하면서 주화의 수거 및 상품의 보충, 외관청소 등의 관리만으로도 무인 판매가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고액의 노동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면에서 선진국 등지에서는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품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자동판매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의 자판기는 모두 주화 또는 지폐 등의 화폐를 이용한 게임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화폐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된 종래의 자판기는 별도의 환전이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게임을 하다가도 언제든지 게임을 그만둘 수 있다. 따라서, 게임 상품의 활성화에 저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임기에 투입하는 주화의 경우에는 그 재질이 니켈이나 동으로 구성되므로 상대적으로 구슬같은 철에 비해 내구성이 저하되므로 게임기에 투입되거나 투입된 후 게임기내에서 투입경로를 따라 낙하될 때, 주화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주화의 형태가 원판 형태이므로 원형의 구슬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형태상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게임기에 투입되는 주화의 단위가 큰 게임이나 아주 작은 게임인 경우에는 일일이 해당 주화를 취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종 게임기에 장착되어 주화대신 게임기의 구동을 위해 철 재질의 구슬을 투입하고, 그 투입된 구슬의 개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슬 투입장치가 적용된 게임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의 전면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도시한 부분 투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구슬투입장치, 12:구슬투입공,
14:구슬배출공, 16:전면판,
24:제 1 이송부, 24a:제 1 절개공,
24b:제 2 절개공, 26:제 2 이송부,
28:제 3 이송부, 28a:유도경사면,
30:연산기, 34:접촉와이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전면에 게임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와, 게임 진행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조작 패널이 구비된 하우징을 갖는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부착되며, 그 전면에 게임기 구동을 위한 가치수단인 구슬을 투입할 수 있게 된 구슬 투입공과, 불량 구슬을 배출시키는 구슬 배출공이 각각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부착되어 투입된 구슬을 일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경로가 그 측면에 형성된 구슬 이송부 지지판과; 상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 상부에 부착되어 구슬 투입공을 통해 투입된 구슬이 자중에 의해 이송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와 연통되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선별적으로 낙하된 구슬이 경사면을 따라 이송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의 후단부와 연통되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제 2 이송부로 낙하되지 않은 구슬이 낙하되어 이송되도록 구성된 제 3 이송부와; 상기 제 3 이송부의 배출구 전단이면서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 3 이송부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구슬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연산기와; 상기 연산기의 측면에 그 일단이 부착되고, 그 타단은 제 3 이송부의 배출경로상에 위치된 접촉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이송부는 그 바닥면 중앙에 정상 구슬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의 폭을 갖는 제 1 절개공이 제 2 이송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바닥면 후단에는 정상 구슬이 낙하되도록 제 3 이송부와 연통되도록 제 2 절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이송부는 그 후단으로 갈수록 전단에 비해 상부로 경사지게 구슬 이송부 지지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이송부는 그 후단으로 갈수록 전단에 비해 하부로 경사지게 구슬 이송부 지지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이송부에는 연산기를 통과하는 구슬의 속도가 감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절개공과 연통된 수직하방 경로상에 일정 경사를 갖는 구슬 낙하속도 감속용 유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슬 투입장치가 적용된 게임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슬 투입장치가 적용된 게임기(2)는 그 전면에 게임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6)와, 게임 진행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조작 패널(8)이 구비된 하우징(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의 전면 하단에는 게임기 구동을 위한 가치수단인 구슬을 투입하기 위한 구슬 투입장치(10)가 구성되며, 그 구슬 투입장치(10)의 전면에는 구슬을 투입하기 위한 구슬 투입공(12)과 불량 구슬을 배출하기 위한 구슬 배출공(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2, 3, 4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기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의 전면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10)는 그 전면에 전면판(16)이 구성되는 바, 그 전면판(16)에는 상기 구슬 투입공(12)과 구슬 배출공(1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판(16)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나사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16)과 그 후단에서 상기 구슬 투입공(12)과 구슬 배출공(14)으로 연접되어 구성된 구슬 이송 지지판과는 리벳(2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슬 이송 지지판은 그 전면판(16)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를 갖도록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바, 이는 구슬이 제 1, 2 이송부(24, 26)를 따라 이동될 때 최소한 두면이상의 접촉을 갖게 하여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불량 구슬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불량 구슬에 대한 배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도시한 부분 투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10)의 전면판(16) 후면에는 구슬 이송 지지판이 결합되는 바, 그 구슬 이송 지지판의 일단은 절곡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슬 이송 지지판의 일측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구슬이 이동될 수 있는 이송로를 갖춘 제 1 이송부(24)가 그 구슬 이송 지지판에 대해 후단으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송부(24)의 내부 바닥면(25) 중앙 소정부에는 그 바닥면(25) 전체 폭에 비해 적은 폭을 갖는 제 1 절개공(24a)가 형성되고, 그 후단 소정부에는 사각의 제 2 절개공(24b)이 형성되는 바, 제 1 절개공(24a)은 투입된 구슬의 크기가 게임기용으로 사용되는 구슬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일 경우 불량 구슬로 판정하여 하방으로 낙하시켜 배출시키고, 제 2 절개공(24b)은 상기 제 1 절개공(24a)을 통과한 구슬을 하방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절개공이다.
상기 구슬 이송 지지판의 일측면이면서, 상기 제 1 이송부(24)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절개공(24a)을 통해 낙하된 구슬을 유도하여 상기 구슬 배출공(14)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부(26)이 결합되는 바, 제 2 이송부(26)는 후단으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부 소정부는 상기 제 1 절개공(24a)과 연통되어 진다.
또한, 상기 구슬 이송 지지판의 일측면이면서, 상기 제 1 이송부(24)의 후단 하부에는 그 제 1 이송부(24)에 대해 수직으로 결합된 제 3 이송부(28)가 구성되는 바, 그 제 3 이송부(28)의 최상단은 상기 제 2 절개공(24b)과 연통되어 제 2 절개공(24b)을 통해 낙하되는 구슬을 일정한 경로로 유도토록 한다.
상기 제 3 이송부(28)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육면통 구조로 형성되는 바, 그 수직하방의 일정길이 아래에는 그 육면통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유도 경사면(28a)이 형성되는 바, 그 유도 경사면(28a)은 낙하되는 구슬의 낙하 속도를 감속하여 정확한 연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3 이송부(28)의 최하단인 배출 경로전면에는 연산기(30)가 부착되는 바, 그 연산기(30)에는 고정부재(32)를 통해 접촉 와이어(34)를 일단이 결합되고, 그 접촉 와이어(34)의 타단은 상기 제 3 이송부(28)의 구슬 배출 경로상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 3 이송부(28)를 통해 낙하되는 구슬(100)은 상기 유도 경사면(28a)에 일차적으로 충돌되어 감속된 다음, 상기 연산기(30)에 결합된 접촉 와이어(34)를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낙하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도 2, 3, 4,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게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대가 수단으로 구슬(100)을 투입할 때, 상기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10)의 전면판(16)에는 구슬 투입을 위한 투입공(12)과 배출공(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투입한 구슬이 불량 구슬(100a)인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송부(24)를 통해 구슬(100a)이 이동되면서, 그 구슬(100a)은 상기 제 1 이송부(24)의 바닥면(25)에 형성된 제 1 절개공(24a)을 통해 낙하되고, 상기 제 2 이송부(26)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구슬 배출공(14)을 통해 게임기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절개공(24a)의 폭은 정상적인 구슬(100b) 직경과의 차이가 작아야 한다. 이럴 경우, 정상적인 구슬(100b)보다 미소하게 작은 불량 구슬(100a)인 경우에도 제 1 절개공(24a)을 통해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게되고, 이때에는 해당 게임기가 구동되지 않는다.
반면에, 사용자가 투입한 구슬이 정상적인 구슬(100b)인 경우에는 그 구슬(100b)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상기 제 1 절개공(24a)으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로, 경사에 따라 제 1 절개공(24a)을 지나쳐서 제 2 절개공(24b)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 2 절개공(24b)을 통과하면서 낙하되어 제 3 이송부(28)의 내부경로를 따라 낙하된다.
이때, 낙하되던 구슬(100b)은 상기 유도 경사면(28a)에 충돌되면서 그 유도 경사면(28a)의 경사를 따라 하방으로 이송되고, 그 유도경사면(28a)의 하방 소정부에 위치된 접촉 와이어(34)의 일단과 접촉되면서 그 접촉와이어(34)의 일단을 일시적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부로 낙하된다.
그러면, 상기 접촉 와이어(34)가 일정 각도이상 회전되는 것을 연산기(30)가 감지하여 낙하된 구슬의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해당 게임기(10)가 구동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는 자판기는 별도의 환전이 요구되므로 사용자가 게임을 그만둘 때 환전이 필요하므로 잔여 구슬이 있을 때 지속적으로 게임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 상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게임기에 투입되는 주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구슬을 주화대신 게임기에 투입함에 따라 주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게임기에 투입되는 주화의 단위가 큰 게임이나 아주 작은 게임인 경우에는 주화 대신 구슬을 투입함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그 전면에 게임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와, 게임 진행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조작 패널이 구비된 하우징을 갖는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부착되며, 그 전면에 게임기 구동을 위한 가치수단인 구슬을 투입할 수 있게 된 구슬 투입공과, 불량 구슬을 배출시키는 구슬 배출공이 각각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부착되어 투입된 구슬을 일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경로가 그 측면에 형성된 구슬 이송부 지지판과;
    상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 상부에 부착되어 구슬 투입공을 통해 투입된 구슬이 자중에 의해 이송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와 연통되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선별적으로 낙하된 구슬이 경사면을 따라 이송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2 이송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의 후단부와 연통되며,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제 2 이송부로 낙하되지 않은 구슬이 낙하되어 이송되도록 구성된 제 3 이송부와;
    상기 제 3 이송부의 배출구 전단이면서 구슬 이송부 지지판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 3 이송부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구슬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연산기와;
    상기 연산기의 측면에 그 일단이 부착되고, 그 타단은 제 3 이송부의 배출경로상에 위치된 접촉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는 그 바닥면 중앙에 정상 구슬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의 폭을 갖는 제 1 절개공이 제 2 이송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바닥면 후단에는 정상 구슬이 낙하되도록 제 3 이송부와 연통되도록 제 2 절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는 그 후단으로 갈수록 전단에 비해 상부로 경사지게 구슬 이송부 지지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부는 그 후단으로 갈수록 전단에 비해 하부로 경사지게 구슬 이송부 지지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송부에는 연산기를 통과하는 구슬의 속도가 감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절개공과 연통된 수직하방 경로상에 일정 경사를 갖는 구슬 낙하속도 감속용 유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KR2020020010876U 2002-04-11 2002-04-11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KR200280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76U KR200280258Y1 (ko) 2002-04-11 2002-04-11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76U KR200280258Y1 (ko) 2002-04-11 2002-04-11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258Y1 true KR200280258Y1 (ko) 2002-07-02

Family

ID=7307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876U KR200280258Y1 (ko) 2002-04-11 2002-04-11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2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7217A (en) Roll-down arcade game
US5769424A (en) Arcade game for stacking directed playing pieces
US9754456B2 (en) Amusement machine of the pusher type
JP2003144741A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2003180991A (ja) 弾球遊技機
JP4892582B2 (ja) 遊技機
KR200280258Y1 (ko) 게임기용 구슬 투입장치
US20090322022A1 (en) Games machine
WO2020085208A1 (ja) ゲーム装置
JP7432164B1 (ja) ゲーム装置及び抽選ゲーム装置
JP5155908B2 (ja) ゲーム機
US20030089728A1 (en) Delivery chute system for gravity game
JP3156906U (ja) ゲーム機
KR200293474Y1 (ko) 메달과 릴을 이용한 게임기
JP4408304B2 (ja) 遊技機
JP3362081B2 (ja) ゲーム機の景品払い出し装置
JP2010233785A (ja) ゲーム機
KR20100039694A (ko)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JPH06269562A (ja) メダル落とし遊技機
US6279903B1 (en) Amusement game
JP3844483B2 (ja)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H02289282A (ja) ゲーム機械における複数種類のゲーム媒体の貯溜機構
JP3844481B2 (ja) メダルゲーム装置
JP3667741B2 (ja) メダル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2020065916A (ja) 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