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229Y1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0229Y1 KR200280229Y1 KR2020020009602U KR20020009602U KR200280229Y1 KR 200280229 Y1 KR200280229 Y1 KR 200280229Y1 KR 2020020009602 U KR2020020009602 U KR 2020020009602U KR 20020009602 U KR20020009602 U KR 20020009602U KR 200280229 Y1 KR200280229 Y1 KR 2002802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contactor
- magnetic
- cam
- case
- slid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종래 인터록 유니트가 전자접촉기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수평하게만 연결 설치할 수밖에 없었던 설치상의 제약을 해소하여 다수 전자접촉기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자유로이 배열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다수 전자접촉기(100)(200)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부가되어 각 전자접촉기(100)(200)의 온/오프동작이 교차되도록 반전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전자접촉기(100)(200)의 일측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유니트 몸체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310) 및 제2케이스(320)와, 상기 각 케이스의 배면에 착설된 제1커버(311) 및 제2커버(321)와, 상기 각 케이스(310)(320)의 내부에 상, 하방향으로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슬라이드판(312) 및 제2슬라이드판(322)과, 상기 각 슬라이드판에 일체로 돌설된 제1레버(313) 및 제2레버(323)와, 상기 각 슬라이드판(312)(322)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판의 수직이동에 따라 회동운동되는 제1캠(314) 및 제2캠(324)과, 상기 각 캠의 회동축(314a)(324a) 상에 구비되어 캠(314)(324)이 회동운동시 이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주기 위한 제1토션스프링(315) 및 제2토션스프링(325)과, 상기 각 캠(314)(324) 사이에 연결되어 두 캠 중 일측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종래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를 개선하여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수평하게 또는 수직하게 자유로이 배열 설치할 수 있도록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전기회로의 개폐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기기로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Relay)와 함께 결합되어 통상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크게 전자석부, 접점부, 이를 하나로 조합하기 위한 상,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석에 코일을 여자(礪磁)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고 소자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여 부하의 개폐를 행하게 된다.
이 때, 교류 접촉기의 용량범위는 100 ~ 600V에서 수 암페어로부터 수백 암페어까지이고, 통상적으로는 600암페어 이하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적으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Relay)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선로에 적정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접촉기를 개로하여 모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전자접촉기의 구성은 기기(100)(200)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그 상면에는 커버(4)가 결합되어진 상부 프레임(2)과, 상기 기기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프레임(3)과, 상기 기기(100)(200) 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빈코일(5)과, 상기 보빈코일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6)와,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고정코어(6)가 자화됨에 따라 하방으로 흡인되는 가동코어(7)와, 상기 보빈코일(5)과 가동코어(7)사이에 구비되어 고정코어(6)를 향해 흡인된 가동코어(7)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8)과, 상기 가동코어(7)를 홀딩하여 가동코어와 함께 수직이동되는 크로스바(9)와, 상기 상부 프레임(2)의 양측에 구비되어 전기회로의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를 각각 설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접촉자(10)와, 상기 크로스바(9)에 설치되어 고정접촉자(1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다수개의 가동접촉자(11)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 전자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11)가 분리되어 전기회로가 끊어진 상태에서 보빈코일(5)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코일(4)이 여자됨에 따라 고정코어(6)가 자화되어 가동코어(7)가 고정코어(6)측으로 접근됨과 동시에 가동코어(7)에 부착된 크로스바(9)가 복귀스프링(8)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접촉자(10)와 크로스바(9)에 고정된 전자접촉자(11)가 접속되어 전기회로가 이어진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전기회로의 접속 및 개극동작은 시간당 약 1200~1800회 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접촉기를 모터 등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별도로 제어하기 위해 통상 다수의 전자접촉기가 연결 설치되는 바, 이 때에는 상기 각 전자접촉기의 사이에 통상 인터록 유니트를 구비하여 연결 설치함이 일반적이다.
이하 상기한 인터록 유니트의 종래 구성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인터록 유니트(12)는 유니트 몸체를 형성하며 배면이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된 제1케이스(120a) 및 제2케이스(120b)와, 상기 각 케이스 내의 전, 후에 서로 등진 상태로 수직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제1슬라이드판(121a) 및 제2슬라이드판(121b)과, 상기 각 슬라이드판에 일체로 돌설된 제1레버(122a) 및 제2레버(122b)와, 상기 각 슬라이드판(121a)(121b)의 하단에 회동축(124)의 양측단이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판(121a)(121b)의 수직이동에 따라 회동운동되는 캠(123)과, 상기 캠의 회동축(124) 상에 구비되어 캠이 일방향으로 회동된 경우 이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1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이러한 구성의 인터록 유니트(12)를 전자접촉기의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인터록 유니트(12)의 제1레버(122a)를 일측 전자접촉기(이하, 제1전자접촉기라 함)(100)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 삽입공(100a)에 끼워 넣고, 유니트(12) 반대편의 제2레버(122b)를 타측 전자접촉기(이하, 제2전자접촉기라 함)(200)의 레버 삽입공(200a)에 끼워 넣은 뒤, 상기 인터록 유니트(12)를 각 전자접촉기(100)(20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그럼 여기서, 상기한 종래 인터록 유니트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전자접촉기(100)가 오프(OFF)상태가 되면 이와 결합된 제1케이스(120a)의 제1레버(122a)과 제1슬라이드판(121a)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슬라이드판(121a)의 하단에 접촉된 캠(123)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은 이동가능하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캠(12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2케이스(120b)의 제2슬라이드판(121b)이 캠(123)의 좌단에 접촉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제1슬라이드판(121a)이 하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2슬라이드판(121b)이 상방으로 수직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슬라이드판(121b)과 일체로 형성된 제2레버(122b)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전자접촉기(200)를 온(ON)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반면, 상기한 상태에서 제1전자접촉기(100)가 온(ON)상태가 되면 이번에는 제1슬라이드판(121a)이 상방으로 수직이동되므로 캠(123)이 역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2슬라이드판(121b)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제2전자접촉기(200)가 오프(OFF)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인터록 유니트(12)는 제1전자접촉기(100) 및 제2전자접촉기(20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둘 중 어느 하나의 전자접촉기가 "ON"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의 전자접촉기는 반대로 "OFF"상태가 되게끔 교차적으로 작동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전자접촉기에 전원이 동시에 인가됨에 따른 선로의 단락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인터록 유니트는 그 구성상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설치시 모두 수평하게만 연결 설치하여야만 했으므로 배전반 또는 분전반, 모터제어반 등을 설계하거나 내부에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설치시 공간적인 제약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종래 인터록 유니트가 전자접촉기의 사이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수평하게만 연결 설치할 수밖에 없었던 설치상의 제약을 해소하여 다수 전자접촉기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자유로이 배열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인터록 유니트를 전자접촉기 사이에 장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인터록 유니트가 전자접촉기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종래 인터록 유니트를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a)는 각 전자접촉기의 온/오프시 인터록 유니트의 동작 상태도, (b)는 (a)의 반전시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가 전자접촉기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를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도로서, (a)는 각 전자접촉기의 온/오프시 인터록 유니트의 동작 상태도, (b)는 (a)의 반전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인터록 유니트 310: 제1케이스
311: 제1커버 312: 제1슬라이드판
313: 제1레버 314: 제1캠
315: 제1토션스프링 320: 제2케이스
321: 제2커버 322: 제2슬라이드판
323: 제2레버 324: 제2캠
325: 제2토션스프링 330: 와이어
340: 와이어 안내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 전자접촉기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부가되어 각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동작이 교차되도록 반전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전자접촉기의 일측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유니트 몸체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와, 상기 각 케이스의 배면에 착설된 제1커버 및 제2커버와, 상기 각 케이스의 내부에 상, 하방향으로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슬라이드판 및 제2슬라이드판과, 상기 각 슬라이드판에 일체로 돌설된 제1레버 및 제2레버와, 상기 각 슬라이드판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판의 수직이동에 따라 회동운동되는 제1캠 및 제2캠과, 상기 각 캠의 회동축 상에 구비되어 캠이 회동운동시 이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주기 위한 제1복귀스프링 및 제2복귀스프링과, 상기 각 캠 사이에 연결되어 두 캠 중 일측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가 전자접촉기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로서, (a)는 각 전자접촉기의 온/오프시 인터록 유니트의 동작 상태도, (b)는 (a)의 반전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30)는 다수의 전자접촉기 일측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유니트 몸체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310) 및 제2케이스(320)와, 상기 각 케이스의 배면에 착설된 제1커버(311) 및 제2커버(321)와, 상기 각케이스(310)(320)의 내부에 상, 하방향으로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슬라이드판(312) 및 제2슬라이드판(322)과, 상기 각 슬라이드판에 일체로 돌설된 제1레버(313) 및 제2레버(323)와, 상기 각 슬라이드판(312)(322)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판의 수직이동에 따라 회동운동되는 제1캠(314) 및 제2캠(324)과, 상기 각 캠의 회동축(314a)(324a) 상에 구비되어 캠이 회동운동시 이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주기 위한 제1토션스프링(315) 및 제2토션스프링(325)과, 상기 각 캠(314)(324) 사이에 연결되어 두 캠 중 일측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330)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각 케이스(310)(320)의 일측을 통해서는 와이어를 보호 및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관(34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일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첨부된 도 6과 같이 제1전자접촉기(100) 및 제2전자접촉기(200)가 상, 하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먼저 상부에 위치된 제1전자접촉기(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레버 삽입공(100a)을 통해 제1케이스(310) 외부로 돌출된 제1레버(313)를 끼워 넣고, 한편 그 하부에 위치된 제2전자접촉기(200)에는 상기 제1전자접촉기(100)와 마찬가지로 제2케이스(320)의 제2레버(323)를 끼워 장착한 뒤, 고정시킴으로써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3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 때 상기 각 케이스(310)(320)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330)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전자접촉기(100) 및 제2전자접촉기(200)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도 8a와 같이 제1전자접촉기(100)가 오프(OFF)상태가 됨에 따라 이와 결합된 제1케이스(310)의 제1슬라이드판(312)과 제1레버(313)가 하방으로 수직이동하게 되고, 이 때 상기한 때에는 그 하단에 접촉된 제1캠(314)도 제1슬라이드판(312)에 눌려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1캠(31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와이어(330)가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에 의해 제1캠(314)과 연결된 제2케이스(320)의 제2캠(324) 또한 와이어(330)에 의해 당겨져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2캠(32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때에는 이와 접촉된 제2슬라이드판(322)과 제2레버(323)가 상방으로 수직이동되므로 결국 상기 제2레버(323)에 의해 제2전자접촉기(200)가 상기 제1전자접촉기(100)와 반대로 온(ON)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역으로 제1전자접촉기(100)가 온상태로 반전되면 제1캠(31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제2캠(324)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이 때 제2전자접촉기(200)는 오프상태로 전환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상태는 도 8b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 전자접촉기가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에 의해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제1전자접촉기(100) 및 제2전자접촉기(200)는 온/오프 동작이 일치되지 않도록 교대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어느 한쪽의 전자접촉기가 온상태가 되면 다른 한쪽은 오프상태가 되므로 결국 상기 제1, 제2전자접촉기가 모두온상태가 됨에 따른 선로의 단락사고가 방지된다.
또한 각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는 와이어 안내관이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와이어 안내관은 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가 각 캠의 회동에 따라 반복적으로 당겨질 때 이동이 원활하도록 안내함과 함께 마찰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전자접촉기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만을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단지 상기한 바에 한정될 수 없고, 와이어 또는 와이어 안내관이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감안할 때, 제1, 제2전자접촉기가 수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에도 본 고안 인터록 유니트가 모두 설치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본 고안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는 사용시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수평한 상태뿐만 아니라, 수직한 상태로도 배열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전자접촉기를 설치해야만 하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모터제어반 등의 설치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접촉기를 비롯한 각종 부품 설치시 공간활용도가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 다수 전자접촉기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부가되어 각 전자접촉기의 온/오프동작이 교차되도록 반전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전자접촉기의 일측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유니트 몸체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와,상기 각 케이스의 배면에 착설된 제1커버 및 제2커버와,상기 각 케이스의 내부에 상, 하방향으로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슬라이드판 및 제2슬라이드판과,상기 각 슬라이드판에 일체로 돌설된 제1레버 및 제2레버와,상기 각 슬라이드판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판의 수직이동에 따라 회동운동되는 제1캠 및 제2캠과,상기 각 캠의 회동축 상에 구비되어 캠이 회동운동시 이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주기 위한 제1복귀스프링 및 제2복귀스프링과,상기 각 캠 사이에 연결되어 두 캠 중 일측에서 발생된 회동력을 타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각 케이스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와이어 안내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9602U KR200280229Y1 (ko) | 2002-03-30 | 2002-03-30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9602U KR200280229Y1 (ko) | 2002-03-30 | 2002-03-30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0229Y1 true KR200280229Y1 (ko) | 2002-07-02 |
Family
ID=7312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9602U KR200280229Y1 (ko) | 2002-03-30 | 2002-03-30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022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9031A (ko) * | 2019-02-13 | 2020-08-21 | 엘에스일렉트릭(주)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
-
2002
- 2002-03-30 KR KR2020020009602U patent/KR2002802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9031A (ko) * | 2019-02-13 | 2020-08-21 | 엘에스일렉트릭(주)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
KR102688831B1 (ko) * | 2019-02-13 | 2024-07-29 | 엘에스일렉트릭(주)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388353A (en) | Electrical contactor having main circuit control contacts and auxiliary control contacts interconnected to be actuated from a common electromagnetic actuator | |
TWI246702B (en) | Vacuum switchgear system | |
EP0186393B1 (en) | Remotely controllable relay | |
US5844457A (en) |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electric switching apparatus | |
CN101599392B (zh) | 无需工具的接触块 | |
KR200280229Y1 (ko) |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 |
US12033822B2 (en) | Ultra-fast polarized relay for hybrid switching systems | |
JP6956828B2 (ja) | 手動アクチュエータを有するラッチングリレー | |
TWI351705B (ko) | ||
JP4269156B2 (ja) | 電磁操作方法および電磁操作装置 | |
JPS6337531A (ja) | 電磁継電器 | |
KR940007432B1 (ko) | 리모콘릴레이 | |
KR200207545Y1 (ko) | 멀티 전자 접촉기 | |
TWI401719B (zh) | 空氣斷路器 | |
JP4644227B2 (ja)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 |
JP2006294449A (ja) | 開閉装置および電磁アクチュエータ | |
JPH09231896A (ja) | シーソー式電磁継電器 | |
CN206441669U (zh) | 小型电磁继电器 | |
CN210120089U (zh) | 一种可断开闭合电路的电表连接结构及包含其的电能表 | |
KR20060092303A (ko) | 영구자석을 이용한 접점유지형 릴레이 | |
JPH06283088A (ja) | 電磁継電器 | |
JP4910759B2 (ja) | 電磁接触器 | |
JP3151318B2 (ja) | 複数極を有するリモコンリレーの連動レバーの軸構造 | |
KR100290934B1 (ko) | 전자접촉기의보조접점시스템 | |
JP3153663B2 (ja) | 複数極を有するリモコンリレーの接点間の絶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