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747Y1 - 파이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747Y1
KR200277747Y1 KR2020020008879U KR20020008879U KR200277747Y1 KR 200277747 Y1 KR200277747 Y1 KR 200277747Y1 KR 2020020008879 U KR2020020008879 U KR 2020020008879U KR 20020008879 U KR20020008879 U KR 20020008879U KR 200277747 Y1 KR200277747 Y1 KR 200277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pipes
peripheral surface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람
Original Assignee
진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8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74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Pipe)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의 외주면 직경보다 상기 파이프 일단부의 외주면 직경을 작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에 단턱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축관된 파이프의 일단부를 다른 파이프 내(內)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하여 결합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간의 결합이 손쉬우면서 용이하하게 이루어져 결합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상기 같은 직경의 파이프를 결합 할 수가 있어 상기 결합된 파이프 형상이 미려(美麗)할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 결합 고정되므로 제품의 불량률이 절감됨과 함께 파이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를 재 사용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중공(中空)의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에는 파이프(10)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은 외주면 직경을 갖는 축관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과 연이어진 부분의 축관부(20)에는 다른 파이프(10)의 끝단과 접촉되는 단턱(30)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의 연결구조 {STRUCTURE FOR CONNECTING OF PIPE}
본 고안은 파이프(PIPE)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파이프간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길이가 길며 속이 빈 둥근 형태로 이루어져 액체 및 가스 등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가로등이나 속이 빈 상태의 긴 제품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산업 건설용 및 일반 가정용 등 산업 전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파이프는 가로등이나 속이 빈 상태의 긴 제품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에 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이프(10)는 도 1 내지 도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中空)의 긴 관으로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되어 있고, 상기 길이가 긴 중공의 파이프(10)는 이를 사용 하고자 하는 곳에 맞도록 파이프 절단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사용하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단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10)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연부에는 복수개의 구멍(11)의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외경이 큰 파이프(10)내에 상기 큰 파이프(1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외경이 작은 파이프(10a)를 삽입한 후 상기 외경이 큰 파이프(10)와 외경이 작은 파이프(10a)를 일체로 결합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경이 큰 파이프(10)와 외경이 작은 파이프(10a)의 외주면을 동시에 용접할 수 있도록 상기외경이 큰 파이프(1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0)의 단면부 즉, 파이프(10)를 가로방향으로 단면하여 평면에서 본 상태의 파이프(10) 단면부는 파이프(10)의 내주면과 외주면 형상이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10)의 내(內), 외주면형상응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0)의 재질은 강도가 강한 철 또는 부식성이 강한 동(銅),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파이프(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정한 직경을 갖는 어느 하나의 파이프(외경이 큰 파이프)(10)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외경을 갖는 다른 하나의 파이프(외경이 작은 파이프)(10a)를 구비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이프(10) 내(內)에 다른 하나의 파이프(10a)를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어느 하나의 파이프(10) 끝단 즉, 다른 하나의 파이프(10a)가 삽입되는 축의 어느 하나의 파이프(10) 끝단과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프(10a) 외주면 을 용접기를 이용하여 도 2a와 도 2b에서와 같이 용접함에 따라 상기의 파이프(10)는 일체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파이프(10)(10a)의 연결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이프(10)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이프(10) 내(內)로 다른 하나의 파이프(10a)를 삽입하고 나서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이프(10)에 형성된 각 구멍(11)을 통해 용접한다.
그러면, 어느 하나의 파이프(10)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a)는 각 구멍(11)을 통해 용접됨에 따라 상기 의 파이프(10)(10a)는 결합 고정되므로 인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이프(10)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a)는 일체화된다.
여기서, 파이프(10)(10a)간의 연결은 상기의 방법뿐만 아니라 상기 파이프(1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체결 하거나 상기 동일한직경의 파이프(10) 또는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10)를 연결 시키는 별도의 부재 즉,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프의 연결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각각 구비한 후 직경이 큰 파이프 내(內)에 직경이 작은 파이프를 삽입하고 나서 상기 직경이 큰 파이프의 외주면과 직경이 작은 파이프의 외주면을 동시에 용접하여야 함에 따라 혼자서 용접작업 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 또한 불편하므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각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해 용접되는 부위가 깨끗하지 못함에 따라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용접부위를 매끄럽게 가공하여야 하므로 인하여 추가 작업에 따른 능률 및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를 용접할 때 상기 파이프를 잡은 상태에서 용접함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서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고, 용접작업시 파이프의 흔들림에 의해 제품의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상기 파이프의 다른 부분보다 용접부위에서 강도가 저하되고, 용접부위가 떨어짐에 따라 제품의 파손이나 손상되므로 인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파이프를 용접하여 일체화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파이프를 재사용 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자재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를 각각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자재의 구입비가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고, 상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파이프의 결합으로 인해 제품의 간도가 서로 다르고, 결합된 상태의 파이프 미관도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파이프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경이 큰 파이프의 외주연부에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각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멍을 통해 용접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합 고정할 때 상기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어 상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외주면 직경보다 상기 파이프 일단부의 외주면 직경을 작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에 단턱을 형성하도록 하여 살기 축관된 파이프의 일단부를 다른 파이프 내(內)로 축관된 길이만큼 삽입하여 결합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간의 결합이 손쉬우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져 결합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상기 같은직경의 파이프를 결합할 수 있어 상기 결합된 파이프 형상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상기 파이프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 고정되므로 제품의 불량률이 저하됨과 함께 상기 파이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분해 시 상기 파이프를 재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 2b는 종래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파이프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 예.
도 4는 본 고안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파이프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 6는 본 고안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가로등에 적용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용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이프 11. 구멍
20. 축관부 30. 단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안은 중공(中空)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는 파이프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은 외주면 직경을 갖는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연이어진 부분의 축관부에는 다른 파이프의 끝단과 접촉되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 파이프간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중공(中空)의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의 일단부에는 상기의 일단부가 다른 파이프(10a) 내(內)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은 외주면 직경을 갖는 축관부(20)가 일정길이(ℓ)만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과 축관부(20)의 외주면 사이 즉, 상기 파이프(10)의 외주면과 연이은 부분의 축관부(20)의 일단에는 다른 파이프(10)내로 파이프(10)가 일정길이(ℓ)만큼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파이프(10)의 끝단과 접촉되는 단턱(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관부(20)의 길이(ℓ)는 결합하고자 하는 파이프(10)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되는데, 즉 파이프(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축관부(20)의 길이 또한 길게 형성하며, 상기 파이프(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축관부(20)의 길이 또한 짧게 형성하여 상기 결합된 파이프(10)와 다른 파이프(10a)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재료의 손실을 절감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10)의 단턱(30)은 다른 파이프(10a) 내로 축관부(20)가 삽입된 파이프(10)가 어느 정도만 삽입되어 다른 파이프(10a) 내로 파이프(10)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다른 파이프(10a) 끝단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10)(10a)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축관부(20)의 외주면으로부터 파이프(10)의 외주면 방향으로 서서히 일정각도(θ)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은 파이프(10)(10a)간의 연결구조를 가로등이 적용항 상태의 사용상태도로서, 바닥에 고정된 부분의 파이프(10)상부에 축관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관부(20)가 등이 고정된 파이프(10a)내로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의 축관부(20)는 등이 고정된 파이프(10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단부에 축관부(20)가 형성된 파이프(10)의 축관부(20)를 결합하고자 하는 중공의 다른 파이프(10a) 일단에 위치시키고 나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다른 파이프(10a) 내로 파이프(10)의 축관부(20)를 삽입한다.
그러면, 파이프(10)의 축관부(20)은 다른 파이프(10a) 내로 삽입되는데, 이때 파이프(10)의 축관부(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10)와 축관부(20)사이에 상기 파이프(10)와 축관부(20)사이에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단턱(30)에 다른 파이프(10a)의 끝단이 도 6에서와 같이 접촉된다.
그러므로, 상기 파이프(10)응 다른 파이프(10a) 내로 일정길이(ℓ)만큼만 삽입 즉, 상기 다른 파이프(10a) 내로 파이프(10)의 축관부(20)만 삽입됨과 함께 상기 파이프(10)의 삽입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파이프(10)의 단턱(30)은 일정각도(θ)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축관부(20)가 삽입되는 측의 다른 파이프(10a) 끝단부가 단턱(30)에 용이하게 접촉되므로 인해 상기 파이프(10)와 다른 파이프(10a)는 밀착된다.
이와 같이, 다른 파이프(10a) 내로 파이프(10)의 축관부(20)가 삽입 완료되면 상기 단턱(30)에 의해 다른 파이프(10a) 내로 파이프(10)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됨과 함께 상기 축관부(20)의 외주면과 다른 파이프(10a)의 내주면이 접촉되므로 인해 상기 파이프(10)와 다른 파이프(10a)는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한편, 파이프(10)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파이프(10a) 내에 파이프(10)를 탈거시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파이프(10)를 본관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파이프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제된 실시예 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직경보다 외주면 직경이 작은 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와 축관부 사이에 연이어서 연결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진 단턱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파이프간의 결합 즉, 파이프의 축관부를 다른 파이프 내로 용이하게 삽입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간의 결합이 손쉬우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파이프 내로 단턱에 의해 일정길이만큼만 파이프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므로 인해 종래 파이프간의 결합작업공정보다 본 고안의 작업공정이 많이 줄어들어 작업의 능률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의 내주면과 상기 파이프 내로 삽입되는 축관부의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인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파이프가 소비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결합 고정되므로 제품의 불량률이 절감되고 이로 인하여 본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파이프의 일단부에 형성된 축관부를 파이프 내로 삽입하여 결합고정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간의 착탈 즉, 파이프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상기 분리된 파이프를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재의 손실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간의 결합이 축관부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인 제품의 강도가 어느 부위에서나 동일 할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의 파이프 형상이나 미관이 미려한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중공(中空)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는 파이프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은 외주면 직경을 갖는 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연이어진 부분의 축관부에는 다른 파이프의 끝단과 접촉되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턱은 축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파이프의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20020008879U 2002-03-25 2002-03-25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277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879U KR200277747Y1 (ko) 2002-03-25 2002-03-25 파이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879U KR200277747Y1 (ko) 2002-03-25 2002-03-25 파이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747Y1 true KR200277747Y1 (ko) 2002-06-07

Family

ID=7312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879U KR200277747Y1 (ko) 2002-03-25 2002-03-25 파이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7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5922B2 (ja) 金属シート、管及び類似の形状部材の変形抵抗溶接方法
TW201706531A (zh) 具有釋放輔助組件和裝置的推壓連接配件
KR100688066B1 (ko) 롱넥플랜지의 제조방법
KR200277747Y1 (ko)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0305893B1 (ko) 철근 이음장치
JP4006508B2 (ja) 管の接合部材、および接合部材を管端部に溶接する方法
JP2008539380A (ja) 圧力流体用フランジ連結
RU2003132554A (ru) Тройник для подсоединения переходного патрубка к магистральному трубопроводу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тройника
KR101068220B1 (ko)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JPH02197377A (ja) パイプの継手構造およびパイプの接合方法
KR200396405Y1 (ko) 플랜지관
KR900008345B1 (ko) 플랜지 접합부에 얇은 금속관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장치
JP3033441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熱交換器
JPH11218277A (ja) フランジ継手のフランジ
KR101136912B1 (ko) 경관 구조물용 원형관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8625610U (zh) 一种龙头
JPH02120594A (ja) フレキシブルチユーブの製造法
JP3839575B2 (ja) 鉄骨工事用コラム裏当て金
CN220689431U (zh) 一种组装式不锈钢储液消音器
KR20026142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78300Y1 (ko) 금속제 배관 보수용 조인트
JP2008075806A (ja) 継手及び継手の製造方法
KR200256974Y1 (ko) 배관용 배관부재
KR200304592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220078Y1 (ko) 파이프의 연결플랜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