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220B1 -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220B1
KR101068220B1 KR1020080119414A KR20080119414A KR101068220B1 KR 101068220 B1 KR101068220 B1 KR 101068220B1 KR 1020080119414 A KR1020080119414 A KR 1020080119414A KR 20080119414 A KR20080119414 A KR 20080119414A KR 101068220 B1 KR101068220 B1 KR 10106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coupling pipe
coupl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702A (ko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부식성 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커플링 파이프를 이용하는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제조방법은 플랜지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동일한 재료의 커플링 파이프를 압입하는 단계와, 커플링 파이프의 단부와 함께 플랜지의 내주면 테두리를 절삭하는 단계와, 커플링 파이프의 절삭된 단부와 플랜지의 절삭된 내주면 테두리에 커플링 파이프와 동일한 재료의 용재를 용접하여 오버레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오버레이 부재를 표면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파이프, 관이음쇠, 플랜지, 스터브 엔드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LANGE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부식성 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비철로 제조된 오버레이 부재를 구비하는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 파이프를 사용하는 배관 설비에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에, 파이프의 결합부의 강도를 보장하고 또한 결합부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립-온(slip-on) 타입 플랜지, 웰딩-넥(welding-net) 타입 플랜지, 또는 랩-조인트(lap-joint) 타입 플랜지를 파이프에 삽입한 이후에, 스터브 엔드 부재를 플랜지와 파이프 사이에 배치한다. 그 이후에, 스터브 엔드 부재와 플랜지를 그리고 스터브 엔드 부재와 파이프를 상호 완전히 용접한다.
도 3은 스터브 엔드 부재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를 연결하는 종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관이음쇠(10)는 일측단부에 연결될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20)가,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연결되는 관형 스터브 엔드 부재(11)와, 상기 스터브 엔드 부재(11)의 타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엔드부(12)와 체결되는 플랜지(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관이음쇠(10)를 파이프(2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플랜지(30)를 연결한 파이프 양쪽에 각각 미리 장착한 이후에, 엔드부(12)가 마주 보는 상태로 한 쌍의 스터브 엔드 부재(11)를 배치한다. 그리고, 스터브 엔드 부재(11)의 단부와 파이프(20)의 단부를 각각 용접하고, 파이프(20)에 장착된 한 쌍의 플랜지(30)를 스터브 엔드 부재(11)의 엔드부(12)를 그 사이에 둔 상태로 볼트 및 너트(비도시)로 상호 체결한다.
부식성 유체를 운반하는 파이프는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스터브 엔드 부재 역시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며, 상기 스터브 엔드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는 재료비 절감을 위하여 강철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종래 스터브 엔드 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한 쌍의 플랜지를 미리 파이프에 장착하고, 스터브 엔드 부재를 각각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플랜지와 스터브 엔드 부재 그리고 스터브 엔드 부재와 파이프의 단부를 각각 용접하므로, 플랜지와 스터브 엔드 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용접 과정이 복잡하고 용접 횟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
게다가, 용접 부위가 많다는 점은 그것에 비례하여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누설 위험이 증가함을 의미하므로,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서 용접 결합부의 갯수를 가능한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관이음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커플링 파이프를 플랜지 내부에 냉간, 온간, 열간 등의 방법에 의하여 강제 압입하여 용접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상호 연결할 때 용접 이음을 최소화하여 파이프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동일한 재료의 커플링 파이프를 압입하는 단계와, 커플링 파이프의 단부와 함께 플랜지의 내주면 테두리를 절삭하는 단계와, 커플링 파이프의 절삭된 단부와 플랜지의 절삭된 내주면 테두리에 커플링 파이프와 동일한 재료의 용재를 용접하여 오버레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오버레이 부재를 표면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 파이프 압입 단계는 열간, 온간 또는 냉간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파이프를 열간, 온간 또는 냉간 등의 공법으로 플랜지에 강제 압입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스터브 엔드 부재를 현장에서 플랜지에 용접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터브 엔드 부재와 플랜지 사이에 용접부가 없기 때문에, 용접시에 발생되는 미세한 크랙과 같은 단점으로부터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를 플랜지에 강제 압입하고, 플랜지의 접촉면에 사용되는 파이프와 동일한 재료로 오버레이 용접함으로써, 고가의 재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버레이 부재가 마련된 슬립-온(Slip-on) 타입 플랜지와 웰딩-넥(Welding-net) 타입 플랜지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강철로 제조된 슬립-온 타입 플랜지(102)의 내주면에 커플링 파이프(108)가 압입되어 있다. 커플링 파이프(108)는 연결되는 파이프(104)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며, 그 일단부는 파이프(104)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커플링 파이프(108)와 파이프(104) 사이에 용접부(118)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플랜지(102)의 접촉면(112)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플랜지(102)의 접촉면(112)에는 연결되는 파이프(104)와 동일한 재료의 용재를 사용하여 오버레이 부재(106)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슬립-온 타입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플랜지(102)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외경을 가지며, 플랜지(102)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커플링 파이프(108)를 준비한다. 이 경우에, 커플링 파이프(108)는 플랜지(102)의 두께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커플링 파이프(108)는 파이프의 재료 및 규격에 따라 0℃ 내지 1000℃ 또는 -200℃ 내지 0℃로 가열 또는 냉각된 이후에, 커플링 파이프(108)를 플랜지(102)의 내경부에 강제 압입한다. 플랜지(102)에 삽입되는 커플링 파이프(108)의 단부가 플랜지(102)의 접촉면(112)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면, 강제 압입 과정을 중단한다. 플랜지(102)를 강제 압입할 때, 커플링 파이프(108)의 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102)의 나사부(110) 주변을 압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102) 내부에 강제 압입된 고온의 커플링 파이프(108)를 대기중에서 자연 냉각시킨 이후에, 사용되는 파이프(104)와 동일한 재료의 용재를 사용하여 플랜지(102)의 접촉면에 오버레이 부재(106)를 형성시키는데, 커플링 파이프(108)의 단부와 함께 플랜지(102)의 내주면 테두리를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절삭하고, 절삭된 부위에 용재를 용접하여 채움으로써 오버레이 부재(106)를 형성하며, 이후 오버레이 부재(106)의 표면 가공으로 오버레이 부재(106)와 커플링 파이프(108)를 구비하는 슬립-온 타입 플랜지가 제조된다.
전술한 슬립-온 타입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열간 또는 온간 방법을 이용하여 커플링 파이프(108)를 강제 압입하였으나, 상온에서 냉간 방법을 이용하여 커플링 파이프를 플랜지의 내경부에 강제 압입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강철로 제조된 웰딩-넥 타입 플랜지(202)의 내주면에 커플링 파이프(208)가 압입되어 있다. 커플링 파이프(208)는 연결되는 파이프(204)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며, 그 일단부는 파이프(204)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커플링 파이프(208)와 파이프(204) 사이에 용접부(218)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플랜지(202)의 접촉면(212)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플랜지(202)의 접촉면(212)에는 연결되는 파이프(204)와 동일한 재료의 용재를 사용하여 오버레이 부재(206)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웰딩-넥 타입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플랜지(202)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외경을 가지며, 플랜지(202)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커플링 파이프(208)를 준비한다. 이 경우에, 커플링 파이프(208)는 플랜지(202)의 두께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커플링 파이프(208)는 파이프의 재료 및 규격에 따라 0℃ 내지 1000℃ 또는 -200℃ 내지 0℃로 가열 또는 냉각된 이후에, 커플링 파이프(208)를 플랜지(202)의 내경부에 강제 압입한다. 플랜지(202)에 삽입되는 커플링 파이프(208)의 단부가 플랜지(202)의 접촉면(112)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면, 강제 압입 과정을 중단한다. 플랜지(102)를 강제 압입할 때, 커플링 파이프(208)의 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202)의 나사부(210) 주변을 압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202) 내부에 강제 압입된 고온의 커플링 파이프(208)를 대기중에서 자연 냉각시킨 이후에, 사용되는 파이프(204)와 동일한 재료의 용재를 사용하여 플랜지(202)의 접촉면에 오버레이 부재(206)를 형성시키는데, 커플링 파이프(208)의 단부와 함께 플랜지(202)의 내주면 테두리를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절삭하고, 절삭된 부위에 용재를 용접하여 채움으로써 오버레이 부재(206)를 형성하며, 이후 오버레이 부재(206)의 표면 가공으로 오버레이 부재(206)와 커플링 파이프(208)를 구비하는 웰딩-넥 타입 플랜지가 제조된다.
전술한 웰딩-넥 타입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열간 또는 온간 방법을 이용 하여 커플링 파이프(208)를 강제압입하였으나, 상온에서 냉간 방법을 이용하여 커플링 파이프를 플랜지의 내경부에 강제 압입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보호 받고자 하는 보호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의 청 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스터브 엔드 부재를 이용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를 연결하는 종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슬립-온 타입 플랜지 104, 204: 파이프
106, 206: 오버레이 부재
108, 208: 커플링 파이프 112, 212: 접촉면
110, 210: 나사부 118, 218: 용접부
202: 웰딩-넥 타입 플랜지

Claims (4)

  1. 유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플랜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파이프와 동일한 재료의 커플링 파이프를 압입하는 단계와;
    상기 커플링 파이프의 단부와 함께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 테두리를 절삭하는 단계와;
    상기 커플링 파이프의 절삭된 단부와 상기 플랜지의 절삭된 내주면 테두리에 상기 커플링 파이프와 동일한 재료의 용재를 용접하여 오버레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버레이 부재를 표면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파이프 압입 단계는 열간, 온간 또는 냉간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80119414A 2008-11-28 2008-11-28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KR10106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14A KR101068220B1 (ko) 2008-11-28 2008-11-28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14A KR101068220B1 (ko) 2008-11-28 2008-11-28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02A KR20100060702A (ko) 2010-06-07
KR101068220B1 true KR101068220B1 (ko) 2011-09-28

Family

ID=4236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414A KR101068220B1 (ko) 2008-11-28 2008-11-28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02B1 (ko) * 2013-07-04 2014-12-29 양중근 냉매배관용 커플링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822B (zh) * 2011-07-18 2013-03-27 刘晖 安装在受电弓上的输气管及其制作方法
CN106546103A (zh) * 2015-09-18 2017-03-29 江西瑞林装备有限公司 用于冶金炉的管道连接结构及冶金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232B2 (ja) * 1989-04-28 1994-07-27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金属管へのフランジ取付方法
JPH08312852A (ja) * 1995-05-19 1996-11-2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フランジ付き防食管継手の製法
KR200261381Y1 (ko) 2001-10-13 2002-01-24 민대석 분체 이송용 이송관의 연결장치
KR200331266Y1 (ko) * 2003-07-11 2003-10-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라이닝된 플랜지를 구비한 클래드 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232B2 (ja) * 1989-04-28 1994-07-27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金属管へのフランジ取付方法
JPH08312852A (ja) * 1995-05-19 1996-11-2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フランジ付き防食管継手の製法
KR200261381Y1 (ko) 2001-10-13 2002-01-24 민대석 분체 이송용 이송관의 연결장치
KR200331266Y1 (ko) * 2003-07-11 2003-10-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라이닝된 플랜지를 구비한 클래드 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02B1 (ko) * 2013-07-04 2014-12-29 양중근 냉매배관용 커플링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02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272B2 (en) Method for joining tubes
US20050146133A1 (en) Mechanical pipe coupling derived from a standard fitting
US20040239115A1 (en) Mechanical pipe coupling derived from a standard fitting
CA2711155A1 (en) Fluid conduits with integral end fitting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20060265852A1 (en) Triple-expanded mechanical pipe coupling derived from a standard fitting
EP2612063B1 (en) Coupling piece for multilayered conduits, method for coupling and assembly obtained by the method.
KR101068220B1 (ko)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제조방법
US3828412A (en) Method of forming high integrity epoxy joint between aluminum tubes
JP2013066911A (ja) 銅管とステンレス鋼管の接続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43961A1 (en) Method for joining plastic pipe
AU2011286156B2 (en) High pressure pipe joint
US20060103136A1 (en) Pipe coupling and method
GB2129897A (en) Joining pipes
JP3198179U (ja) 高圧用継手構造
JP2004068273A (ja) 鋼管膨張型ロックボルトの管端部封止構造および封止方法
KR101694670B1 (ko) 열교환기용 입출구파이프 연결부재
JPS62207518A (ja) 金属管の接合方法
CA2477308A1 (en) Pipe system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H06221474A (ja) 金属管接続方法
JP2584667Y2 (ja) 水道用ダクタイル鋳鉄管用t頭ボルト
US800924A (en) Method of forming pipe-joints.
KR20140026689A (ko) 플랜지 연결 구조체
KR200217615Y1 (ko)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JPH0656168B2 (ja) 突合せ継手緊結方法
JP2010151324A (ja) 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用鋼管、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用鋼管の製造方法及び鋼管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