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918Y1 -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 Google Patents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918Y1
KR200276918Y1 KR2020020005051U KR20020005051U KR200276918Y1 KR 200276918 Y1 KR200276918 Y1 KR 200276918Y1 KR 2020020005051 U KR2020020005051 U KR 2020020005051U KR 20020005051 U KR20020005051 U KR 20020005051U KR 200276918 Y1 KR200276918 Y1 KR 200276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lab
steel
fixed
arcu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랑
이선영
최태식
Original Assignee
(주)환경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경그룹 filed Critical (주)환경그룹
Priority to KR2020020005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918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구조물을 2층으로 설치하여 차량이 상하 양방 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에 교좌장치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 강교박스와 슬래브를 설치하여서 된 하부교량과,
상기 하부교량 양측에 위치하여 교각에 설치된 다수의 아치형 기둥과,
상기 하부교량 상부 아치형 기둥 중앙에 위치되고 양측 전후면에 슬래브 지지돌기를 갖는 강상판 슬래브와,
상기 강상판 슬래브 양측 전후면에 형성된 슬래브 지지돌기를 슬래브 체결홈에 끼워 고정하고 상단 플래트를 아치형 기둥에 고정한 수직 기둥 및 사이드 고정 강관과,
상기 아치형 기둥 양측면에 인장보강부재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강상판 슬래브 가장자리의 체결 볼트홀에 대응되어 볼트고정 된 상부교량을 형성하여 상부 교량을 형성하여 차량 통행을 상하부 교량으로 분할 통행할 수 있도록 2층 아치형 교량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Two-story arch-type bridge frame for reducing traffic jam}
본 고안은 교량구조물을 2층으로 설치하여 차량이 상하 양방 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을 아치형 2층구조물로 형성하여 차량이 정체되는 출. 퇴근시간에 교량의 상부 교량과 하부 교량으로 분산 시켜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와 연결된 기존의 교량은 단순히 다리 역할만 할 수 있도록 된 교량으로서 그 구조물은 도1과 같이 하부에 교각의 우물통 기초(100)가 세워지고 그 위에 보를 갖는 교각(100')이 설치된다.
상기 교각 보(300) 상부에는 교좌장치(200)설치되고 교좌장치(200)에는 상부에 슬래브(400)를 갖는 강교박스(500)가 설치된 구조이다.
이렇게 형성된 기존의 교량은 연결된 도로의 폭과 같거나 약간 작게 건설된다. 그 실예로서 서울의 한강다리와 연결되는 대부분 도로는 통상 주행선이 6차선(편도 3차선)일 경우 교량의 주행선은 4차선(편도2차선)으로 이루어져 도로보다 1차선씩 줄게되므로 대부분의 교량에서는 병목현상이 발생되어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교량을 아치형 2층 구조물로 형성하여 차량이 정체되는 출. 퇴근시간에 교량의 상부 교량과 하부 교량으로 분산시켜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교각에 교좌장치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 강교박스와 슬래브를 설치하여서 된 하부교량과,
상기 하부교량 양측에 위치하여 교각에 설치된 다수의 아치형 기둥과;
상기 하부교량 상부 아치형 기둥 중앙에 위치되고 양측 전후면에 슬래브 지지돌기를 갖는 강상판 슬래브와;
상기 강상판 슬래브 양측 전후면에 형성된 슬래브 지지돌기를 슬래브 체결 홈에 끼워 고정하고 상단 플레이트를 아치형 기둥에 고정한 수직 기둥 및 사이드 고정 강관과;
상기 아치형 기둥 양측면에 인장보강부재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강상판 슬래브 가장자리의 체결 볼트홀에 대응되어 볼트고정 된 상부교량을 형성하여 차량의 통행을 상,하 교량으로 동시에 통행시킬 수 있도록 2층 아치형 교량으로 이루어진 교량구조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교량구조물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아치형 교량구조물 구성품 분리도.
도4는 본 고안의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사용상태 측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교각 2:교좌장치
3:강교박스 4:슬래브
5:하부교량 6:아치형 기둥
7:강상판 슬래브 7a:슬래브 지지돌기
7b:슬래브 체결홈 8,8':사이드 고정강관
10:상부 교량 11:고 장력 볼트
12a,12b,12c:플레이트 13,13'수직기둥
14:인장 보강부재 15:체결볼트 홀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에 설치되어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여 주는 교각과, 상기 교각 상에 설치된 교좌장치와, 상기 교좌장치에 강교박스와 슬래브로 이루어진 교량구조물에 있어서,
교각(1)에 교좌장치(2)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 강교박스(3)와 슬래브(4)를 설치하여서 된 하부교량(5)과;
상기 하부교량(5) 양측에 위치하여 교각(1)에 설치된 다수의 아치형 기둥(6)과;
상기 하부교량(5) 상부 아치형 기둥(6) 중앙에 위치되고 양측 전후면에 슬래브 지지돌기(7a)를 갖는 강상판 슬래브(7)와;
상기 강상판 슬래브(7) 양측 전후면에 형성된 슬래브 지지돌기(7a)를 슬래브 체결홈(7b)에 끼워 고정하고 상단 플레이트(12a)를 아치형 기둥(6)에 고정한 수직 기둥(13)(13')과;
상기 수직 기둥(13)(13') 양측에 플레이트(12b)를 대응시켜 고장력 볼트(11)로 연결하고 타측은 아치형 기둥(6)의 휨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플레이트(12c)가 아치형 기둥(6)내측에 고장력 볼트(11)로 고정된 사이드 고정 강관(8)(8')과;
상기 아치형 기둥(6) 양측면에 인장 보강부재(14)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강상판 슬래브(7)가장자리의 체결 볼트홀(15)에 대응되어 볼트고정 된 상부교량(10)을 형성하여 차량의 통행을 상,하 교량(10)(5)으로 동시에 통행시킬 수 있도록 2층 아치형 교량으로 이루어진 교량구조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교량 건설시 통상적인 교량과 같이 하부교량(5)을 형성한 한 후 하부교량(5)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아치형 기둥(6)을 다수 설치한다.
이때 교량설계시 다수 설치되는 아치형 기둥과 그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 구조물의 하중을 계산하여 교각(1)을 세우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교각(1)에 교좌장치(2)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 강교박스(3)와 슬래브(4)를 설치하여 하부교량(5)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하부교량(5)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측 교각(1)에 다수의 아치형 기둥(6)을 설치한다.
상기 하부교량(5) 상부 아치형 기둥(6) 중앙에 위치하도록 크레인으로 양측 전후면에 슬래브 지지돌기(1a)를 갖는 강상판 슬래브(7)를 들어올린 다음 다른 크레인으로 수직 기둥(13)(13')들을 들어올려 강상판 슬래브(7) 양측 전후면에 형성된 슬래브 지지돌기(7a)를 수직기둥(13)(13')의 슬래브 체결홈(7b)에 끼워지도록 한 후 고장력 볼트(11)로 고정한다.
상기 강상판 슬래브(7)를 고정한 수직기둥(13)(13')의 상단 플레이트(12a)는 아치형 기둥(6)에 내면에 고장력 볼트(11)로 고정한다.
이때 수직기둥(13)(13')의 상단에 고정된 플레이트(12a)는 아치형 기둥(6) 내면의 기울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밀착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직 기둥(13)(13')를 아치형 기둥(6)에 수직으로 고정한 후에는 수직기둥(13)(13')양측 외향으로 사이드 고정 강관(8)(8')의 플레이트(12c)를 대응시켜 고장력 볼트(11)로 연결한다. 상기 사이드 고정 강관(8)(8')은 수평으로 연결되고 차량통행시 강상판 슬래브의 인장력을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치형 기둥(6) 양측면에는 인장 보강부재(14)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강상판 슬래브(7)가장자리의 체결 볼트홀(15) 위치에 대응되어 볼트고정 되어 상부교량(1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직기둥 상부에 용착된 플레이트(12a)와 사이드 고정 강관(8)(8')에 고정된 플레이트(12c)는 아치형 기둥(6)내면의 호(弧)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도2와 같이 고정하게 된다.
상기 아치형 기둥(6) 상단 좌우측에는 상부 교량의 강상판 슬래브(4)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인장 보강부재(14)를 연결시켜 상부교량(10)을 지지토록 한다.
상기 아치형 기둥과 횡 강관 사이드 고정강관, 수직기둥, 강상판 슬래브 등은 플레이트 또는 고장력볼트를이용하여 연결함으로서 교량에 하중을 받을 때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교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량의 승차 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2 또는 도4와 같이 이루어진 상부 교량(10)과 하부교량(5)은 교량의 양끝단은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고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차량의 통행이 복잡한 출, 퇴근시간 때에 상부 교량과 하부교량으로 분산시켜 통행토록 함으로서 교통혼잡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통행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잡한 시간에는 하부교량은 대중교통인 버스 승합차만을 통행하도록 하고 상부교량은 자가용 차량만 통행하도록 하여 차량의 통행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2층구조를 갖는 상부교량과 하부교량은 그 부자재를 공장에서 조립식으로 제작되어 기존의 교량에 설치하거나 새로운 교량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교량을 상부교량과 하부교량으로 형성한 아치형 2층구조물로 형성하여 차량이 정체되는 출. 퇴근시간에 교량의 상부 교량과 하부 교량으로 분산시켜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동시에 교량부재를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시공시 조빕식으로 설치되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으며, 특히 다층 교량을 제공함으로 새로운 교통문화를 창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지상에 설치되어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여 주는 교각과, 상기 교각 상에 설치된 교좌장치와, 상기 교좌장치에 강교박스와 슬래브로 이루어진 교량구조물에 있어서,
    교각(1)에 교좌장치(2)를 설치하고 그 상면에 강교박스(3)와 슬래브(4)를 설치하여서 된 하부교량(5)과;
    상기 하부교량(5) 양측에 위치하여 교각(1)에 설치된 다수의 아치형 기둥(6)과;
    상기 하부교량(5) 상부 아치형 기둥(6) 중앙에 위치되고 양측 전후면에 슬래브 지지돌기(7a)를 갖는 강상판 슬래브(7)와;
    상기 강상판 슬래브(7) 양측 전후면에 형성된 슬래브 지지돌기(7a)를 슬래브 체결홈(7b)에 끼워 고정하고 상단 플레이트(12a )를 아치형 기둥(6)에 고정한 수직 기둥(13)(13')과;
    상기 수직 기둥(13)(13') 양측에 플레이트(12b)를 대응시켜 고장력 볼트(11)로 연결하고 타측은 아치형 기둥(6)의 휨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플레이트(12c)가 아치형 기둥(6)내측에 고장력 볼트(11)로 고정된 사이드 고정 강관(8)(8')과;
    상기 아치형 기둥(6) 양측면에 인장보강부재(14)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강상판 슬래브(7)가장자리의 체결 볼트홀(15)에 대응되어 볼트고정 된상부교량(10)을 형성하여 차량의 통행을 상,하 교량(10)(5)으로 동시에 통행시킬 수 있도록 2층 아치형 교량으로 이루어진 교량구조물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KR2020020005051U 2002-02-20 2002-02-20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KR200276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051U KR200276918Y1 (ko) 2002-02-20 2002-02-20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051U KR200276918Y1 (ko) 2002-02-20 2002-02-20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918Y1 true KR200276918Y1 (ko) 2002-05-27

Family

ID=7311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051U KR200276918Y1 (ko) 2002-02-20 2002-02-20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9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62B1 (ko) 2006-06-27 2008-0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층형 교량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62B1 (ko) 2006-06-27 2008-0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층형 교량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0338B1 (en) Self-supporting precast slab
KR20160026260A (ko) 교량의 난간을 거더로 활용하는 장지간 보도교의 설계 및 시공 방법
KR101120672B1 (ko) 조립식 거더 교량
KR101260863B1 (ko) 아치형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11451B1 (ko)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JP4669464B2 (ja) 歩道用上部構造および歩道用上部構造の構築方法
KR10193736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차량 주행 도로의 박스 구조물
KR200276918Y1 (ko) 교통 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2층 아치형 교량구조물
CN203429520U (zh) 拖板式快速组合钢架立交桥
CN208235303U (zh) 一种预制预应力模块化立交桥
KR20020062882A (ko) 프리캐스트 합성구조를 갖춘 육교
KR20050118111A (ko) 가설 교량
JP3973042B2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JP2010121434A (ja) 道路橋用幅員拡張材の設置方法
JP2006112086A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架け替え方法
KR102057323B1 (ko)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JP6166005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KR100656428B1 (ko) 프리캐스트 난간
JP4256356B2 (ja) 橋脚と主桁のジョイント部材及びこのジョイント部材を用いた橋構造
KR200413021Y1 (ko) 문형식 표지판
JP2002173912A (ja) 鋼道路橋における鋼床版の補強構造
WO2006075863A1 (en) Long-span temporary bridge using cross beam having through-holes
KR100588446B1 (ko) 교량의 연속교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4293060A (ja) 橋梁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