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37Y1 -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Google Patents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937Y1 KR200275937Y1 KR2020020002912U KR20020002912U KR200275937Y1 KR 200275937 Y1 KR200275937 Y1 KR 200275937Y1 KR 2020020002912 U KR2020020002912 U KR 2020020002912U KR 20020002912 U KR20020002912 U KR 20020002912U KR 200275937 Y1 KR200275937 Y1 KR 2002759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bag
- paper container
- waste
- garbag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종량제에 의해 쓰레기를 버릴때 사용하는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으로,
종이용기의 상부 내주면에 비닐지를 접착부로 부착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하고, 비닐지의 상단에 다수의 연장부를 돌출형성하므로서,
사용시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어 쓰레기 투입이 용이하면서도, 폐기시 종래의 종량제용 쓰레기 봉투와 같이 입구를 묶어서 폐기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봉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쓰레기 종량제에 의해 쓰레기를 버릴때 사용하는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형태로 고정된 종이용기에 비닐지를 결합하여 종량제용 쓰레기 봉투를 구성하므로서, 사용이 편리하게 하고 봉투내에 쓰레기를 과다하게 담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중 봉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쓰레기 종량제용 봉투는 상단에 봉합용 연장부가 형성된 비닐제 봉투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따라서, 이를 사용시에는 상측의 개구부를 벌려 개방시킨 후 이에 쓰레기를 투입하여 충전하고, 상부의 연장부를 묶어 버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봉투는 단순히 비닐지로 형성되어 있어 쓰레기를 투입시마다 봉투를 손으로 들고 상부를 개방하여 쓰레기를 투입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내부에 쓰레기를 무리하게 충전하여 봉투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였고, 내부에 쓰레기를 너무 많이 충전하여 쓰레기 종량제 제도를 무색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시 일정한 용기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종이용기에 비닐지를 결합하여 구성하므로서, 사용시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어 쓰레기 투입이 용이하면서도, 폐기시 종래의 종량제용 쓰레기 봉투와 같이 입구를 묶어서 폐기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봉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연장부를 다르게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종이용기에 광고면을 형성한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이용기 2 : 비닐지
3 : 연장부 4 : 진공부
5 : 공기배출구 6 : 공기배츨용 손잡이
7 : 접착부 8 : 파스너
9 : 광고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종이용기(1)의 상부 내주면에 비닐지(2)를 접착부(7)로 부착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하고, 비닐지(2)의 상단에 다수의 연장부(3)를 돌출형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종이용기(1)는 도 1 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종이컵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3의 도시와 같이 사각의 가방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종이용기(1)의 측벽과 바닥의 내부에 진공부(4)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일측면에 공기배출용 손잡이(6)에 의해 개방되는 공기배출구(5)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도 6의 도시와 같이 연장부(3)를 돌출하지 않고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파스너(8)를 설치하여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타실시예도로서, 종이용기(1)의 외측면에 광고부(9)ㄹㄹ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쓰레기 봉투를 사용시에는 종이컵 또는 종이가방 형상의 종이용기(1) 상에 설치된 비닐지(2)를 외측으로 젖혀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은 형상으로 만든 후 내부에 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시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종래와 같이 쓰레기 봉투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쓰레기를 봉투내에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쓰레기 봉투내에 쓰레기가 완전히 채워지면 비닐지(2)를 상측으로 올리고 연장부를 서로 묶어 폐기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종이용기(1)의 내측면에는 종래의 일회용 용이컵 등과 같이 합성수지로 방수코팅을 하여 음식물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 4의 도시와 같이 측벽과 바닥에 진공부(4)를 형성하므로서 견고성을 향상시켜 음식물의 수분이나 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측벽과 바닥에 진공부(4)를 형성한 경우, 측벽의 일측에 손잡이(6)에 의해 개방되는 공기배출구(5)를 형성하여 종이용기(1)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6의 도시와 같이 연장부(3)를 돌출하지 않고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파스너(8)를 설치하여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봉투의 폐기기 연장부를 일일이 매듭져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밀폐성을 향상시켜 봉투로부터 악취나 수분 등이 배출되지 않아 보다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종이용기(1)의 외측면에 광고부(9)를 형성하여 광고문구나 도형 등을 인쇄하므로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어 쓰레기 봉투의 제작비용을 광고수입으로 충당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종이용기(1)를 서로 중첩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절첩 및 중첩이 가능한 종이용기(1)에 비닐지(2)를 부착하여 구성하므로서, 사용시에는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이 사용하고, 폐기시에는 종래의 쓰레기 봉투와 폐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쓰레기 종량제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시 일정한 용기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종이용기에 비닐지를 결합하여 구성하므로서, 사용시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어 쓰레기 투입이 용이하면서도, 폐기시 종래의 종량제용 쓰레기 봉투와 같이 입구를 묶어서 폐기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내부의 내용물에 의해 봉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 종이용기(1)의 상부 내주면에 비닐지(2)를 접착부(7)로 부착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하고, 비닐지(2)의 상단에 다수의 연장부(3)를 돌출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용기(1)를 종이컵형상으로 형성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용기(1)를 사각의 가방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종이용기(1)의 측벽과 바닥의 내부에 진공부(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제 4 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공기배출용 손잡이(6)에 의해 개방되는 공기배출구(5)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제 1 항에 있어서, 비닐지(2)의 연장부(3)를 돌출하지 않고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그 내주면에 파스너(8)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용기(1)의 외측면에 광고부(9)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2912U KR200275937Y1 (ko) | 2002-01-30 | 2002-01-30 |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2912U KR200275937Y1 (ko) | 2002-01-30 | 2002-01-30 |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7608A Division KR20030065251A (ko) | 2002-02-04 | 2002-02-04 |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937Y1 true KR200275937Y1 (ko) | 2002-05-18 |
Family
ID=7311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2912U KR200275937Y1 (ko) | 2002-01-30 | 2002-01-30 |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93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2901A (ko) * | 2017-09-20 | 2019-03-28 | 최준혁 | 종량제 쓰레기봉투 |
KR20240103183A (ko) | 2022-12-27 | 2024-07-04 | 조희성 | 일회용 쓰레기통 일체형 쓰레기 봉투 |
-
2002
- 2002-01-30 KR KR2020020002912U patent/KR20027593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2901A (ko) * | 2017-09-20 | 2019-03-28 | 최준혁 | 종량제 쓰레기봉투 |
KR102083465B1 (ko) | 2017-09-20 | 2020-03-02 | 최준혁 | 종량제 쓰레기봉투 |
KR20240103183A (ko) | 2022-12-27 | 2024-07-04 | 조희성 | 일회용 쓰레기통 일체형 쓰레기 봉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29263A (en) | Package system | |
KR100994113B1 (ko) |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 |
KR20090017695A (ko) | 일회용 백들을 구비한 폐기물 용기 | |
CN102791590B (zh) | 可充装的产品分配系统 | |
CN103261052A (zh) | 容器和袋 | |
KR200275937Y1 (ko) |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
JP3763927B2 (ja) | 使い捨て箱形容器 | |
JP5390329B2 (ja) | 流体の包装容器 | |
WO2001002266A1 (en) | Tissue dispenser container | |
KR20030065251A (ko) | 종이용기를 이용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 |
JPH04189781A (ja) | 導管を備えた袋を内包する2重容器 | |
KR200425905Y1 (ko) | 편리한 쓰레기통 | |
JP2011105355A (ja) | 袋内包容器用の袋 | |
US20070194026A1 (en) | Trash can with integrated pouch for dispensing of plastic trash can liners | |
JP2564044Y2 (ja) | 開栓部材付き詰め替え用液体収納袋 | |
JPH1029654A (ja) | カートリッジ式液体注出容器 | |
CN215584840U (zh) | 便捷式饮用药盒 | |
JP3841875B2 (ja) | 扱き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容器用中蓋 | |
JP2000142797A (ja) | 液体収容用内袋付き容器 | |
KR200213302Y1 (ko) | 수납 용기 | |
JP4212696B2 (ja) | キャップ及び容器の密封方法 | |
JP2876205B1 (ja) | 流体の封入用容器と流体の封入方法 | |
GB2470379A (en) | Disposal bag for use with a bagless vacuum cleaner | |
RU91561U1 (ru) | Пакет из гибкого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 |
EP4110704A1 (en) | A contain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semi-liquid substances and kit comprising said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