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302Y1 -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302Y1
KR200213302Y1 KR2020000026389U KR20000026389U KR200213302Y1 KR 200213302 Y1 KR200213302 Y1 KR 200213302Y1 KR 2020000026389 U KR2020000026389 U KR 2020000026389U KR 20000026389 U KR20000026389 U KR 20000026389U KR 200213302 Y1 KR200213302 Y1 KR 200213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rage container
contents
packag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근 filed Critical 이성근
Priority to KR2020000026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302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수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한 형상을 갖는 주용기와; 상하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주용기의 상단 테두리부에 하단부를 접착하며, 일정한 형상을 갖지 않도록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 보조 용기로 구성함으로써 수납 용기의 운반시 발생되는 유동에 의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2중으로 포장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포장 비용을 절감하고 포장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운반이 간편해지고 수납 용기 처리시 가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 용기{Collecting receptacle}
본 고안은 식품류 등을 포장하는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내용물이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도 별도의 비닐 포장으로 2중 포장을 실시하지 않고도 액체 내용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 용기에 유연성 재질을 갖는 보조용기를 일체로 형성한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이재질의 1회용 포장 용기는 내부가 비닐로 코팅된 상태이기 때문에 포장 내용물이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도 포장 용기에 포장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뚜껑으로 복개시킨 상태에서 포장 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포장 내용물이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즉, 국물이 있는 식품인 경우에는 포장 용기를 운반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유동에 의해 내용물의 액체가 뚜껑과 포장 용기 사이에 누출되어 운반자에게 액체 내용물이 비산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유동이 계속되는 상태에서는 포장 내용물이 포장 용기에서 이탈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져 내용물을 버리게 되는 문제까지 발생된다.
따라서 1회용 포장 용기는 1차적으로 액체를 포함하는 포장내용물을 비닐 포장한 후에 포장 용기에 포장하고, 마지막으로 별도의 비닐봉지에 다시 재포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액체를 포함한 식품을 포장하는 경우에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2중, 3중으로 포장을 실시해야 하므로 포장 비용이 늘어남과 아울러 반복 포장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비닐봉지에 임의적으로 재차 포장된 포장 용기를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운반 후에는 1회용 포장 용기와 비닐봉지 등의 쓰레기가 2중으로 발생됨으로써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 내용물이 포함되는 식품류의 포장 및 음식 쓰레기의 운반이 가능하도록 수납 용기의 상부에 유연성 재질의 보조용기를 부착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비닐 포장을 실시하지 않고도 판매자의 번거로움을 경감시키도록 하고, 소비자는 간편하게 운반 및 용기의 후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납 용기 2 ; 비닐백
3 ; 손잡이공 4 ; 고정끈
5,6 ; 고정띠 5a,6a ; 요철부
7 ; 손잡이 8 ; 뚜껑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납 용기는 내용물이 수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한 형상을 갖는 주용기와; 상하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주용기의 상단 테두리부에 하단부를 접착하며, 일정한 형상을 갖지 않도록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 보조용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보조용기의 상단부에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요부와 철부를 갖는 고정띠가 부착될 수 있다.또한, 상기 보조용기에는 용지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그리고 상기 보조용기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고정끈을 삽입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 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비닐 코팅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분해가 가능한 종이 재질의 사발형 수납 용기(1) 상단면 전영역에 걸쳐 한 겹의 비닐재로 형성된 보조용기를 고주파 열융착하여 수납 용기(1)와 비닐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비닐재가 비닐백(2)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비닐재의 상부에는 손잡이공(3)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포장 용기(1) 및 비닐백(2)의 재질은 재활용이 가능하거나, 분해가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의한 비닐백을 구비한 수납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포함된 식품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비닐백(2) 상부의 손잡이공(3)을 파지한 상태로 수납 용기(1)를 운반하게 되면, 액체 내용물이 비닐백(2)에 의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이 운반자에게 튀기거나, 내용물이 수납 용기(1)에서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상태로 포장을 완료시켜도 무방하나, 도 2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닐백(2)의 상단부에 고정끈(4)을 삽입한 상태로 설치하여 고정끈(4)의 일단을 잡아당기면 고정끈(4)이 비닐백(2)의 개구된 상단부를 조여줌으로써 비닐백(2)의 개구부가 밀봉되어 수납 용기의 밀봉이 실시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비닐 코팅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분해가 가능한 종이 재질의 대략 원통형태의 수납 용기(1) 상면 전영역에 걸쳐 한 겹의 비닐재를 고주파 접착하여 수납 용기(1)의 상단과 비닐재의 하면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수납 용기(1)의 상단에 비닐백(2)을 구비하도록 한다. 여기서 비닐백(2)의 개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자형(一字形)의 요부(5a)와 철부(6a)가 형성된 고정띠(5)(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비닐백(2)의 양측 상단에는 각각 손잡이(7)를 부착고정하여 운반시 수납 용기(1)의 취부가 간편하게 실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납 용기는 액체가 포함된 내용물을 개구부를 통해 수납 용기(1)의 내부에 수납시킨 후에 개구부에 부착된 고정띠(5)(6)의 요철부(5a)(6a)를 결합시킴으로써 비닐백(2)의 개구부를 밀봉시킨 상태에서 손잡이(7)를 파지하여 수납 용기(1)를 운반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 용기에 수납된 액체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운반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 보다 수납 용기의 개구부의 밀봉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구현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결속된 상태의 수납 용기(1)의 상부에서 뚜껑(8)으로 닫아줌으로써 외관상 포장 내용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포장 내용물이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 실시예들에서 수납 용기(1)에 부착되는 비닐백(2)은 투명 재질의 비닐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불투명 재질의 비닐재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납 용기(1)의 내부에 용기 내부를 소정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함으로써 수납 용기(1) 내부에 한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동시에 수납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비닐백을 구비한 수납 용기는 비닐백이 수납 용기의 상단에 일체로 접착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비닐포장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수납 용기에 외부에 비닐용기를 이용하여 재포장을 실시한 상태와 동일한 효과를 거두기 때문에 수납 용기를 운반하는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내용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2중으로 포장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포장 비용을 절감하고 포장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운반이 간편해지고 수납 용기 처리시 가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수납 용기는 재질을 재활용이 가능하거나, 분해가능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근래에 입법되어 국내에서 2002년경에 시행될 예정인 제조물 책임법에도 부응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그리고 본 고안 수납 용기는 주용기 및 보조용기의 재질을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종이, 합성수지 또는 생분해성 소재 등으로 제조하여 수납되는 내용물 및 용기가 사용되어지는 조건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실시함으로써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4)

  1. 내용물이 수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한 형상을 갖는 주용기와;
    상하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주용기의 상단 테두리부에 하단부를 접착하며,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 보조용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느 수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상단부에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요부와 철부를 갖는 고정띠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에는 주용기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고정끈이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용기.
KR2020000026389U 2000-09-20 2000-09-20 수납 용기 KR200213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389U KR200213302Y1 (ko) 2000-09-20 2000-09-20 수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389U KR200213302Y1 (ko) 2000-09-20 2000-09-20 수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302Y1 true KR200213302Y1 (ko) 2001-02-15

Family

ID=7307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389U KR200213302Y1 (ko) 2000-09-20 2000-09-20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3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7517C2 (ru) Контейнер, снабженный внутренним пакетом
CN106061857B (zh) 具有套圈和盖的可重新密封容器
US5429263A (en) Package system
TWI308547B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0929457B1 (en) A packaging container
US20140097183A1 (en) Canister
FI110860B (fi) Suljettuun pussiin pakatuille tuotteille tarkoitettu varastointi- ja jakelulaite
WO2009153558A1 (en) Container
US11077992B2 (en) Reusable pouring spout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ouring and storage of particulate material housed in bulk packaging
JPH06263158A (ja) 注出栓及び該注出栓付き自立性包装体
KR200213302Y1 (ko) 수납 용기
US5163578A (en) Sealable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ntainer
NZ247711A (en) Soap powder carton having a lid with a recessed cavity to enable the grasping of a measuring scoop handle
GR910300145T1 (en) Package for liquid and powdered products
US3695504A (en) Attachable container closure
JPS5937495Y2 (ja) 包装容器
AU686018B2 (en) A container
JPH10278962A (ja) 包装容器用内容物取り出し具の取付け構造
US20030230577A1 (en) Method for inhibiting the leakage of containers during shipping and containers formed therefrom
JPS5917817Y2 (ja) 容器の蓋
EP0363292A1 (fr) Conditionnement pour un bac ou plusieurs bacs emboités chargés partiellement de produits granulaires ou pulvérulents
KR20110003369U (ko)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FR2914284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liquides ou materiaux pulverulents avec systeme de distribution
JPH09267849A (ja) 非開放形スパウト付軟包材容器
KR19980065410U (ko) 쌀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