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849Y1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Google Patents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5849Y1 KR200275849Y1 KR2020020004651U KR20020004651U KR200275849Y1 KR 200275849 Y1 KR200275849 Y1 KR 200275849Y1 KR 2020020004651 U KR2020020004651 U KR 2020020004651U KR 20020004651 U KR20020004651 U KR 20020004651U KR 200275849 Y1 KR200275849 Y1 KR 2002758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bridge
- upper slab
- reinforcement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더의 철근 배근에 걸어 고정되고 거푸집이 간편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자재 및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킴과 아울러 시공비용과 공기를 회기적으로 단축토록 하고 안전시공을 수행토록 하는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인력과 시간, 자재를 낭비하고 아울러 막대한 시공비용의 낭비 및 공기 지연을 초래하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 슬라브 시공을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멍에빔 상에 전후방향빔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향빔 상에 콘크리트 타설바닥면이 되기 위한 강판재가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강재 거푸집을 교량의 거더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거더의 철근 배근에 걸어지기 위하여 일측이 터진 걸고리 형태의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일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 수직 하향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거푸집의 멍에빔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부에는 소정 위치에 가격시 파단되기 위한 절단 요입부를 부여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 하방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엠보싱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의 상부 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거더에 걸어 고정되고 거푸집이 간편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여 자재 및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킴과 아울러 시공비용과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토록 하고 안전시공을 기하도록 하는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또는 저지의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건설되는 고가구조물이다.
교량의 상부 구조물은 교각 상에 가장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상부 구조물 위에 아스콘이 포장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일종의 지지물이다.
교량에 있어서 통상 빔(beam)이라 불리기도 하는 거더(Girder)는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 이하 PC 거더라 칭한다)재질이사용되고 교각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며, 이 PC거더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철근 배근을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된다.
교량의 상부 구조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으로서는 데크플레이트와 강판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으나, 데크플레이트 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 후 해체가 되지 않음으로 교량 하부에서 균열 발생을 발견할 수 없는 문제점 등으로 근래에는 강판재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교량의 상부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발췌 일측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상부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10)의 설치는 PC거더(100)에 형성된 철근 배근(101)에 지지판(210)을 용접 고정한 후 상기 지지판(210)에 너트(220)를 용접 고정하고, 상기 너트(220)에 체결되는 볼트(230)에 ㄷ채널(240)을 개구부가 대향되도록 고정 설치하고 이 대향하는 ㄷ채널(240) 사이에 멍에빔(11)과 전후방향빔(12)이 걸쳐 설치되고 그 위에 콘크리트의 바닥면이 되는 강판재(13)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거푸집(10)은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상기 볼트(230)를 풀어내고 상기 멍에빔(11), 전후방향빔(12)과 강판재(13)를 해체하여 재사용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너트(220) 및 볼트(230)를 이용하는 거푸집의 설치구조는 먼저 지지판(210)을 철근 배근(101)에 용접 고정한 다음 여기에 너트(220)를 일일히 용접(250) 고정해야 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이 막대하게 소요되며, 별도의 ㄷ채널(240)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ㄷ채널(240)의 설치 높낮이 위치가 볼트(230)의 체결 상태에 따라 좌우됨으로 결국 거푸집이 설치되는 높낮이 정밀도가 떨어지며, 고소에서 ㄷ채널의 좁은 하부공(241)을 통한 볼트 체결은 작업성이 저하되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 설치된 볼트(230)에 콘크리트 바닥면이 되는 강판재(13)가 끼워지며 설치되기 위하여 강판재(13)에는 볼트(230)의 대응위치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홈(13a)을 형성해 주는 공정이 따라야 했다.
한편, 거푸집(10)의 해체시에는 고소에서 상기 ㄷ채널(240)에 형성된 하부공(241)을 통하여 볼트(230)를 일일히 풀어주어야 하는데 그 위치상 작업자세가 불안정하고 위험이 따라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며, 작업성이 떨어져 인력과 시간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거푸집 해체 후에는 미관상 볼트자리 구멍을 콘크리트로 다시 메워 주는 후속 공정이 따라야 하며, 메운 뒤에도 그 자리가 드러나 보여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지지판(210)과 너트(220) 및 볼트(230)와 ㄷ채널(240)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은 지지판(210) 설치공정, 너트(220) 용접 공정, 별도의 ㄷ채널(240) 구비, ㄷ채널(240)을 볼트(230)를 이용하여 고소에서 체결하는 공정, 강판재(3)에 볼트홈(3a) 형성공정, 해체시의 볼트(230) 풀어내기 공정 등 수반되는 많은 공정들이 각각 인력과 시간, 자재를 낭비하고 아울러 막대한 시공비용의 낭비 및 공기 지연을 초래하며, 시공 정밀도 및 미관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근 배근에 걸어져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로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이었던 용접작업 등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공정이 배제되고 간편하게 거푸집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인력과 시간, 자재를 획기적으로 감축하게 하고 이에 따른 대폭적인 시공비 용의 절감, 공기의 단축, 안전시공, 정밀도 향상 및 외관도 미려하도록 하는 교량용 상부 슬라브 설치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일부 발췌 일측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적용된 거푸집 강판재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발췌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적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거푸집 11: 멍에빔
12: 전후방향빔 13: 강판재
13a: 볼트홈 20: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설치구
21: 행거부 22: 수직부
23: 지지부 24: 볼트공
25:절단 요입부 26: 엠보싱 리브
50: 볼트 51: 너트
100: 거더 101: 철근 배근
210: 지지판 220: 너트
230: 볼트 240: ㄷ채널
241: 하부공 250: 용접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는,
교량의 상부 슬라브 시공을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멍에빔 상에 전후방향빔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향빔 상에 콘크리트 타설바닥면이 되기 위한 강판재가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강재 거푸집을 교량의 거더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거더의 철근 배근에 걸어지기 위하여 일측이 터진 걸고리 형태의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일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 수직 하향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거푸집의 멍에빔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직부에는 소정 위치에 가격시 파단되기 위한 절단 요입부를 부여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직부 하방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엠보싱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20)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10)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일측 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 발췌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20)는,
교량의 상부 슬라브 시공을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멍에빔(11) 상에 전후방향빔(12)이 소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향빔(12) 상에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이 되기 위한 강판재(13)가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강재 거푸집(10)을 교량의 PC거더(100)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거더의 철근 배근(101)에 걸어지기 위하여 일측이 터진 걸고리 형태의 행거부(21)와 상기 행거부(21)의 일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 수직 하향 형성되는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 하단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거푸집(10)의 멍에빔(11)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23)를 구비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푸집 설치구(20)는 철편을 이용하여 비틀린 형태의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직부(22)에는 소정 위치에 가격시 파단되기 위한 절단 요입부(25)를 부여하고 상기 지지부(23)에는 상기 멍에빔을 볼트(50)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24)이 형성되었다.
상기 절단 요입부(25)의 위치는 설치시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과 수평위치가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부(22) 하방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엠보싱 리브(2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의 사용상태 및 거푸집 설치구조를 살펴 본다.
본 고안의 행거부(21)를 양측 거더에 대향하여 거더(100)의 철근 배근(101)에 걸어 내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3)에 직접 상기 멍에빔(11)의 일단을 걸쳐 볼트(50)와 너트(51)를 이용 체결하면 상기 멍에빔(11)의 하중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거푸집 설치구(20)는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본 고안의 지지부(23)에 상기 멍에빔(11)이 고정되면 그 위에 소정 간격으로 전후방향빔(12)을 배열 설치하고 상기 전후방향빔(12) 위에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이 되는 강판재(13)를 위치시켜 거푸집(1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20)는 행거부를 거더(100)의 철근 배근(101)에 걸어주기만 하고 지지부(23)와 상기 멍에빔(11)에 형성된 볼트공(24)에 볼트(50)를 체결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거푸집의 설치가 사실상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거푸집(10)의 높낮이 위치조정이 불필요하여 수평도가 자동으로 잡혀짐으로 정밀도가 균일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거푸집의 해체시에는 상기 절단 요입부(25)이하를 가격해 주면 절단 요입부(25)가 파단되어 상기 지지부(23)에 체결된 멍에빔(11)과 여기에 지지되었던 전후방향빔(12) 및 강판재(13)로 이루어진 거푸집(10)이 동시에 낙하된다.
이렇게 한꺼번에 낙하된 거푸집(10)에서 본 고안에서 파단되어 나간 절단 요입부 이하 부분을 체결볼트(50)를 풀어내고 거푸집(10)을 각각의 부재로 해체하여 재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해체작업이 평지에서 이루어짐으로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절단 요입부(25)의 위치가 콘크리트 바닥면 상에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슬라브 하방에는 걸개(20)로 인한 요철이 발생되지 않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함을 잃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었던 지지판의 설치, 지지판에의 너트 용접고정, 별도의 ㄷ채널 구비, 볼트 체결을 통한 ㄷ채널 설치, 고소에 위치한 볼트를 ㄷ채널의 좁은 통공을 통하여 풀어내는 어려운 해체작업 등 막대한 인력과 시간, 자재(지지판, ㄷ채널, 볼트 등)의 낭비를 야기하는 과정들이 배제됨으로써 획기적으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자재를 절감하고 안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는,
거더의 철근 배근에 걸어주는 것으로 고정이 이루어지고 ㄷ채널 개재 없이, 멍에빔을 직접 고정하여 거푸집을 설치 고정토록 함으로써,
강판재 거푸집을 획기적으로 간편하고 설치토록 하고 해체작업도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자재와 인력을 대폭 절감하고 이에 따라 막대한 공비를 절감시키며, 공기를 단축토록 하며 안전시공을 수행하도록 하는 매우 획기적인 기술이다.
Claims (3)
- 교량의 상부 슬라브 시공을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멍에빔 상에 전후방향빔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향빔 상에 콘크리트 타설바닥면이 되기 위한 강판재가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강재 거푸집을 교량의 거더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거더의 철근 배근에 걸어지기 위하여 일측이 터진 걸고리 형태의 행거부와;상기 행거부의 일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 수직 하향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거푸집의 멍에빔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직부에는 소정 위치에 가격시 파단되기 위한 절단 요입부를 부여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직부 하방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엠보싱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651U KR200275849Y1 (ko) | 2002-02-16 | 2002-02-16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651U KR200275849Y1 (ko) | 2002-02-16 | 2002-02-16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5849Y1 true KR200275849Y1 (ko) | 2002-05-17 |
Family
ID=7307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4651U KR200275849Y1 (ko) | 2002-02-16 | 2002-02-16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584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8731A (ko) * | 2002-02-16 | 2003-08-25 | 김용기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
KR20030068732A (ko) * | 2002-02-16 | 2003-08-25 | 김용기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
-
2002
- 2002-02-16 KR KR2020020004651U patent/KR2002758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8731A (ko) * | 2002-02-16 | 2003-08-25 | 김용기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
KR20030068732A (ko) * | 2002-02-16 | 2003-08-25 | 김용기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61430B1 (en) | Constructing an overhang | |
KR20170072080A (ko) | 교량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 |
JP2994222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場所打ち床版部の施工方法及びその型枠 | |
KR100310619B1 (ko) | 철골콘크리트구조물의 상판 거푸집 지지구조 | |
KR200275849Y1 (ko)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
KR100938876B1 (ko) | 반단면 피씨 패널 | |
KR100565384B1 (ko) |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20100105174A (ko) |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 |
KR100469638B1 (ko) |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 |
JP2980567B2 (ja) | 支承装置の交換方法 | |
CN111851318B (zh) | 悬臂桥边跨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 |
KR100804151B1 (ko) | 교량 상판용 피씨구조체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시공방법 | |
KR200276908Y1 (ko)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 | |
JPH11222812A (ja) | 構造物の高さ変更方法 | |
KR200222611Y1 (ko) |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 |
KR100840279B1 (ko) |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 |
KR20030068731A (ko)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 |
JP3824242B2 (ja) | 高架橋無支保工築造工法 | |
KR200365463Y1 (ko) | 교량용 상판 | |
KR200378428Y1 (ko) | 일체형 교좌장치 | |
JPH0820915A (ja) | プレキャスト床版 | |
KR100715695B1 (ko) |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 |
KR200346435Y1 (ko) |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 |
KR20060079395A (ko) | 일체형 교좌장치 및 그 설치방법 | |
KR20030068732A (ko) | 교량용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50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