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400Y1 -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400Y1
KR200275400Y1 KR2020020005578U KR20020005578U KR200275400Y1 KR 200275400 Y1 KR200275400 Y1 KR 200275400Y1 KR 2020020005578 U KR2020020005578 U KR 2020020005578U KR 20020005578 U KR20020005578 U KR 20020005578U KR 200275400 Y1 KR200275400 Y1 KR 200275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ylinder
pipe
removal devi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진
Original Assignee
안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진 filed Critical 안영진
Priority to KR2020020005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400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심을 이루지 않는 상태일지언정 연결부위의 용융비드를 용이하게 제거 마무리할 수 있는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축(31)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34), 실린더 복수곳의 로드(32a)상에 설치되는 롤러(32), 로드를 실린더 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33), 상기 로드를 신축시키는 확개수단(35)을 포함하는 구성 또는 회전축(41)의 끝단에 제거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제거수단은 회전축(41)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44), 선단에 커터(46)가 구비되어 실린더 복수곳에 설치되는 롤러(42), 롤러를 실린더 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43), 상기 롤러를 신축시키는 확개수단(45)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Coupling bead remove device for sewerage pipe}
본 고안은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심을 이루지 않는 상태일지언정 연결부위의 용융비드를 용이하게 제거 마무리할 수 있는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높은 수압을 감안하여 금속재로 제조되는 반면에, 하수도관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실정이다.
또한 하수도관은 그 설치환경에 따라 단일벽체의 구조와 2중벽체의 구조로 분류될 수 있고, 상기 2중벽체 구조의 하수도관은 내구성 및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철재심을 나선상으로 인서트시키거나 내부에 나선상의 중공부를 형성시키거나 내부공간부에 발성성수지를 충진시키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시공시의 상수도관은 금속재로 되어 있어 용접에 의해 서로를 연결시키는 반면에, 하수도관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 용접 대신에 용착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킬 양 파이프(10)(10')의 단면을 발열체를 사용하여 가열 용융시킨 상태에서 양 파이프를 맞대이게 되면 용융비드(12)가 발생하면서 경화되어 결국 용착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는 내부에 나선상의 중공부(11)가 형성된 2중벽체 구조의 하수도관 구조로서 용착 연결시킬 경우 단면에 노출 형성된 중공부에 용융비드(12)가 충진되면서 용착되어 그 연결강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용착방법은 파이프의 열결부위 내외벽에 용융비드(12)가 돌출 잔류되는 구조가 되고 이럴 경우 외벽에 형성된 용융비드(12)의 잔류는 사용상 하수도관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나 내벽에 형성된 용융비드(12)는 사용상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는 것에 의해 사전제거하지 않으면 않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용융비드 제거장치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 그 제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융비드 제거장치(20)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회전되는 회전축(21), 파이프의 내벽에 접촉하는 반경축을 이루어 상기 회전축(21)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커터(22), 및 상기 회전축을 베어링축으로 지지시키는 지지대(2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거장치(20)에 의해 양 파이프(10)(10')의 용착이 완료되면 일측 파이프 내로 제거장치(20)를 밀어 넣고 회전축(21)을 회전시키게 되면 일방향으로 힌지 설치된 커터(22)가 제켜져 회전하면서 돌출 형성된 용융비드(12)를 커팅제거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폐단이 있었다.
즉 커터(22)가 파이프의 내경에 접근되는 상태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파이프내로 밀어 넣거나 꺼내기가 쉽지 않고, 특히 양 파이프의 연결단면이 편심지거나 동심원을 이루지 못할 경우 고정된 커터의 텐션이 전혀 없어 용융비드의 제거상태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어느 부위는 너무 얇게 제거되고 어느 부위는 전혀 제거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제거되는 등에 의해 연결부위의 강도를 저하시키게 되고, 심할 경우 단턱이 형성되어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자리잡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그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부위의 편심상태에 상관없이 용융비드의 제거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거장치 자체의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는 용융비드의 제거수단이 텐션력을 발휘하도록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거수단이 수축 확개되도록 공압이나 유압 또는 수동 확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일실시예로서 베어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복수곳에 설치되는 롤러, 롤러를 실린더 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 상기 롤러를 확장시키는 확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과, 다른 실시예로서 베어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 선단에 커터가 구비되어 실린더의 복수곳에 설치되는 롤러, 롤러를 실린더 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롤러를 확장시키는 확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텐션력을 발휘하는 롤러 또는 커터가 용융비드를 고르게 눌르거나 커팅시켜 제거시키게 되고, 확개수단의 작동으로 파이프내로들이밀거나 꺼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2중벽체 하수도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연결비드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측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4는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 5는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제거장치의 상세한 구성단면도,
도 7은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하수도관 11: 중공부
12,12' : 연결비드 20,30,40: 제거장치
31,41: 회전축 32,42: 롤러
32a: 로드 33,43: 스프링
34,44: 실린더 35,45; 확개수단
46: 커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4는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 5는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제거장치의 상세한 구성단면도, 도 7은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비드 제거장치(30)는 베어링축을 구비하는 지지대(33)에 축설되는 회전축(31)의 끝단에 제거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제거수단은 회전축(31)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34), 실린더 복수곳의 로드(32a)상에 설치되는 롤러(32), 로드를 실린더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33), 상기 로드를 신축시키는 확개수단(3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롤러(32)는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오목형성이 바람직하고, 상기 확개수단(35)은 유압이나 공압 또는 수동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도면에서의 확개수단(35)은 유압이나 공압을 예시하였다.
상기 구성으로 된 일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양 파이프(10)(10')의 용착이 완료되면 일측 파이프 내로 제거장치(30)를 밀어 넣는다. 이때의 롤러(32)는 스프링(33)에 의해 수축상태인 까닭에 파이프 내경보다 작아 원활하게 밀어넣을 수가 있다.
롤러(32)가 파이프 내벽에 형성된 연결비드(12)를 감지하게 되면 에어나 유압을 이용하는 확개수단(35)을 작동시켜 롤러(32)을 파이프 내벽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외부에서 회전축(3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텐션력을 발휘하는 롤러(32)는 돌출 형성된 연결비드(12)를 눌러 제거시키게 되고 이때의 제거형상은 롤러의 곡률면에 의해 양 끝단이 단턱을 형성하지 않는 원만한 두께로 일정하게 눌려진다.
따라서 양 파이프의 연결단면이 편심지거나 동심원을 이루지 않는 상태라도 텐션력을 발휘하는 롤러에 의해 고른 두께를 형성하는 상태로 용융비드가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융비드는 커팅되지 않는 상태로 제거되는 것에 의해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 제거물을 후처리제거시켜야 하는 공정이 단축된다.
즉 파이프 내벽의 열결비드(12')는 롤러(32)의 곡률형상으로 눌려져 제거된다.
한편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확개수단(35)의 동작을 스톱시켜 롤러(32)를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파이프로부터 꺼내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비드 제거장치(40)는 회전축(41)의 끝단에 제거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제거수단은 회전축(41)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44), 선단에 커터(46)가 구비되어 실린더 복수곳에 설치되는 롤러(42), 롤러를 실린더 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43), 상기 롤러를 신축시키는 확개수단(4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커터(46)는 롤러(42) 보다 소정 길이 낮게 설치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다른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양 파이프(10)(10')의 용착이 완료되면 일측 파이프 내로 제거장치(40)를 밀어 넣는다. 이때의 롤러(42)는 스프링(43)에 의해 신장된 상태인 까닭에 상기 제거장치를 밀어 넣기전 확개수단을 사용하여 롤러(42)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밀어넣게 된다.
커터(46)가 파이프 내벽에 형성된 연결비드(12)를 감지하게 되면 확개수단을 반대로 구동시켜 롤러(42)를 파이프 내벽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축(4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프링(43)에 의해 텐션력을 발휘하는 롤러(42)는 파이프 내벽에 밀착 지지되고 그 선단의 커터(46)에 의해 돌출 형성된 연결비드(12)가 커팅 제거된다.
따라서 양 파이프의 연결단면이 편심지거나 동심원을 이루지 않는 상태라도 텐션력을 발휘하는 커터(46)에 의해 고른 두께를 형성하는 상태로 연결비드가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확개수단(45)을 구동시켜 롤러(42)를 수축시키는 것에 의해 파이프로부터 꺼내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비드의 제거수단이 텐션력을 발휘하도록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거수단이 수축 확개되도록 공압이나 유압 또는 수동 확개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연결부위의 편심상태에 상관없이 용융비드의 제거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거장치 자체의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하수도관을 용용시켜 연결시킬 때 형성되는 용융비드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31)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34), 실린더 복수곳의 로드(32a)상에 설치되는 롤러(32), 로드를 실린더 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33), 상기 로드를 신축시키는 확개수단(35)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2)는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오목형성이고, 상기 확개수단(35)은 유압이나 공압 또는 수동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3. 하수도관을 용용시켜 연결시킬 때 형성되는 용융비드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41)의 끝단에 제거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제거수단은 회전축(41)의 끝단에 형성되는 실린더(44), 선단에 커터(46)가 구비되어 실린더 복수곳에 설치되는 롤러(42), 롤러를 실린더 내에 지지시키는 스프링(43), 상기 롤러를 신축시키는 확개수단(45)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KR2020020005578U 2002-02-25 2002-02-25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KR200275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78U KR200275400Y1 (ko) 2002-02-25 2002-02-25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78U KR200275400Y1 (ko) 2002-02-25 2002-02-25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400Y1 true KR200275400Y1 (ko) 2002-05-11

Family

ID=7311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578U KR200275400Y1 (ko) 2002-02-25 2002-02-25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4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90B1 (ko) * 2006-12-18 2008-04-21 신우씨앤엠솔루션(주) 파이프 고착물 제거장치
KR100844902B1 (ko) * 2007-11-02 2008-07-09 토방토건(주) 내부비드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2389635B1 (ko) 2021-06-21 2022-04-22 (주)한국해양기술 합성수지관 이음매의 내부 융착비드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90B1 (ko) * 2006-12-18 2008-04-21 신우씨앤엠솔루션(주) 파이프 고착물 제거장치
KR100844902B1 (ko) * 2007-11-02 2008-07-09 토방토건(주) 내부비드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2389635B1 (ko) 2021-06-21 2022-04-22 (주)한국해양기술 합성수지관 이음매의 내부 융착비드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691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lastic drainage pipe reinforced by steel strips and the plastic drainage pipe reinforced by steel
CA1312716C (en) Pipe liner process and apparatus
CN101115576A (zh) 液压成形单元
EP0311635A1 (en) METHOD FOR CONNECTING TUBES TO A CURVED WALL.
JP3181052B2 (ja) 継ぎパイプの製造方法
KR200275400Y1 (ko) 하수도관 연결비드 제거장치
WO1999056054A1 (en) Apparatus for repair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method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and a sealing device for repair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uits
RU2250807C2 (ru)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для гофрирования спиралешовной трубы (варианты)
CA1148795A (en) Method of producing a corrugated, multi-ply metal bellows
WO2003035364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verstärkten muffe am ende eines extrudier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ohres durch radiales aufextrudieren eine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KR100316699B1 (ko) 소용돌이형 가스킷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3216760B2 (ja)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装置
JPH0834059A (ja)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装置
KR20020092198A (ko) 나선형으로 주름진 금속 튜브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장치
JPH0957850A (ja)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装置
JP6267327B2 (ja) 製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製管方法
JPS61192409A (ja) 管状体内部の突起物除去装置
JPS62101328A (ja) 複重管製造方法
GB2369173A (en) Apparatus for deforming a liner pipe
JP7344039B2 (ja) 管状体の更生方法及び管構造物
JP3554588B2 (ja) マンホール内のライニング方法
US20180066784A1 (en) Extruded Cold-Expansion Compression Collar
US20160084141A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n exhaust gas converter, tool for a ring press for the manufacture of an exhaust gas converter, ring press comprising a tool, and exhaust gas converter manufactured with a ring press
JPH0671625B2 (ja) 巻込鋼管の製造方法
CN114962848B (zh) 一种非开挖式施工管道修复装置及其修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