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970Y1 -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 Google Patents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970Y1
KR200274970Y1 KR2020020004203U KR20020004203U KR200274970Y1 KR 200274970 Y1 KR200274970 Y1 KR 200274970Y1 KR 2020020004203 U KR2020020004203 U KR 2020020004203U KR 20020004203 U KR20020004203 U KR 20020004203U KR 200274970 Y1 KR200274970 Y1 KR 200274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iron
iron pipe
uneven
spik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진
Original Assignee
이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진 filed Critical 이학진
Priority to KR2020020004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970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철관수구와 주철관을 연결함에 있어, 수압에 따라 주철관이 신축가능하고 지진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연결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이에 대응되는 처짐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휨 응력을 가지며, 또한 주철관 고정을 위한 스파이크가 결합되는 상부압륜과 주철관수구에 결합되는 하부압륜으로 별개의 독립체로 이루어지도록 한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에 관한 것으로서, 제 1몸체에는 스파이크가 조임보울트에 의해 축설되도록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삽입공이 관통된 하우징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는 요철편이 형성되며, 제 2몸체에는 연결보울트가 연결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일측단부에는 상기 요철편과 대응되는 요철편이 형성되되, 상기 요철편과 요철편 사이에는 유동간격 S가 형성됨에 따라, 기존에는 연결보울트와 스파이크 수량이 일정하였으나 연결보울트의 설치수량에 상관없이 주철관의 고정을 위한 칼날모양의 스파이크가 수압에 의해 관 표면을 파고 들어 주철관이 빠지지 않도록 잡아 주는데 있어서 스파이크의 수량을 연결보울트 보다 많은 수량으로 자유롭게 설치가능하므로 스파이크와 주철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접촉률을 향상시켜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유동간격 S를 갖는 요철편에 의해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하중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한 연결부위의 변형을 방지하고 외력에 대한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PREVENT SECESSION PRESSED WHEEL FOR CAST IRON PIPE}
본 고안은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탈방지 압륜에 의해 주철관수구와 주철관을 연결함에 있어, 수압에 따라 주철관이 신축가능하고 지진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연결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이에 대응되는 처짐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휨 응력을 가지며, 또한 주철관 고정을 위한 스파이크가 결합되는 상부압륜과 주철관수구에 결합되는 하부압륜으로 별개의 독립체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주철관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파이크의 설치·수량을 많게 하여 주철관을 고정하는 스파이크의 접촉면적 범위를 최대한 크게(넓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탈방지압륜이라 함은 관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쇠의 일종으로써, 특히, 고압의 수압이 작용되는 상수도 주철관을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수도 주철관은 직경이 크고 고압의 수압이 작용되므로 주철관 연결시 수압 및 외부 충격에 의한 누수 및 이탈현상이 발생되므로 견고한 연결과 완벽한 누수방지를 위한 밀폐가 요구되는 바, 현재, 상수도 주철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이탈방지압륜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압륜(100)은 소정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삽입공(102)이 중심을 향하도록 관통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03)이 형성되며 일측단부에는 환형의 누름쇠(104)가 돌출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삽입공(102)에 끼워져 조임보울트(112)에 의해 축설되며 단부 일측면이 칼날모양으로 이루어져 관 표면을 파고드는 형태의 스파이크(120)와,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체결공(103)에 끼워지되, 일측단부가 고리형태로 절곡되고 연결너트(122)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보울트(130)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소정크기의 내경과 외경을 갖는 링형상으로 외주면 일부위가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고무링(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탈방지압륜(100)은 소정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선단 내면에는 경사면(15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걸림턱(153)이 형성된 주철관수구(150)와, 주철관(16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주철관수구(150)의 경사면(152)에는 고무링(140)이 내삽되고 주철관(160)의 단부 일부위가 위치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체결공(103)으로 끼워진 연결보울트(130)가 주철관수구(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53)에 거치된 상태로 연결너트(122)에 의해 조여져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주철관(160)은 몸체부(110)의 삽입공(102)에 끼워져 조임보울트(112)에 의해 축설된 스파이크(120)에 의해 압착·고정되며, 상기 고무링(140)은 연결보울트(130)에 의한 이탈방지압륜(100)과 주철관수구(150)의 연결시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누름쇠(104)에 의해 압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은 단일체의 몸체부에 주철관수구에 고정되는 연결보울트와 주철관을 고정하는 스파이크가 방사상으로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등분·분할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주철관 및 주철관수구의 직경 크기에 따라 방사상으로 4, 6, 8...등분되되, 단일체로 이루어진 몸체부 구조상 스파이크의 설치 수량은 연결보울트의 설치 수량에 비례할 수 밖에 없어 많은 수량의 스파이크를 설치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스파이크에 의한 주철관 고정시 접촉면적율이 저조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지진이나 지반침하 등으로 인해 충격이 연결부위에 가해지게 되면, 하중으로 인해 연결부위가 변형(휨이나 뒤틀림)되거나 파손되어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하여 주철관을 연결함에 있어, 스파이크와 연결보울트가 설치되는 몸체부를 각각의 제 1, 2몸체로 등분하여 독립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연결보울트의 설치수량에 상관없이 스파이크의 설치수량을 원하는 갯수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스파이크와 주철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제 1, 2몸체에 요철편이 형성되어 시공·조립이 간편·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 1, 2몸체의 연결부위에 소정크기의 유격공간 S가 형성되어 주철관의 굽힘 및 신축성이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연결보울트와 조임보울트에 의해 축설되는 스파이크가 구비된 이탈방지 압륜에 있어서, 제 1몸체에는 다수개의 스파이크가 조임보울트에 의해 축설되도록 하고, 제 2몸체에는 다수개의 연결보울트가 연결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2몸체의 일측단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편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2몸체의 결합시 각각의 요철편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동간격 S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분해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탈방지 압륜 10:제 1몸체
10a, 20a:요철편 12:스파이크
14:조임보울트 16:삽입공
18:하우징 20:제 2몸체
22:연결보울트 24:연결너트
26:체결공 30:주철관수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1)은 제 1, 2몸체(10, 20)로 등분되고, 제 1몸체(10)에는 다수개의 스파이크(12)가 조임보울트(14)에 의해 축설되고, 제 2몸체(20)에는 다수개의 연결보울트(22)가 연결너트(24)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 1, 2몸체(10, 20)의 일측단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편(10a, 20a)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파이크(12)가 축설되는 제 1몸체(10)와 연결보울트(22)가 결합되는 제 2몸체(20)가 각각 독립체로 이루어지므로 제 1몸체(10)에 축설되어 주철관(50)을 고정하는 스파이크(12)의 설치수량을 연결보울트(22)의 설치수량에 상관없이 최대한 많은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어 스파이크(12)와 주철관(50)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1, 2몸체(10, 20)의 결합시 각각의 요철편(10a, 20a)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동간격 S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 1몸체(10)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삽입공(16)이 관통된 하우징(18)이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조임보울트(14)에 축설된 스파이크(12)가 상기 삽입공(16)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 2몸체(20)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체결공(26)이 형성되고 연결너트(24)에 의해 단부가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보울트(22)가 상기 체결공(26)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몸체(10, 20)의 일측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요철편(10a, 20a)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나타내는 분해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주철관수구(30)에 밀폐를 위한 고무링(40)이 삽입되고, 고무링(40)에 의해 주철관(50)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되, 주철관(50)에는 조임보울트(14)에 의해 스파이크(12)가 축설된 제 1몸체(10)와 연결너트(24)에 의해 연결보울트(22)가 결합된 제 2몸체(20)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몸체(20)는 연결보울트(22)에 의해 주철관수구(30)에 압착·고정되고, 제 1몸체(10)는 요철편(10a)에 의해 상기 제 2몸체(20)에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제 1몸체(10)의 유동거리는 각각의 제 1, 2몸체(10, 20)에 형성된 요철편(10a, 20a)에 의해 형성된 유동간격 S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8은 누름쇠, 32는 경사면, 34는 걸림턱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몸체(10, 20)로 등분되어 상기 제 1몸체(10)에는 조임보울트(14)에 의해 축설된 스파이크(12)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일측단부에는 요철편(10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몸체(20)에는 연결너트(24)에 의해 연결보울트(22)가 결합되고 일측단부에는 상기 제 1몸체(10)에 형성된 요철편(10a)과 대응되는 요철편(20a)이 형성된 이탈방지 압륜(1)을 이용하여 주철관수구(30)와 주철관(50)을 연결하려면, 먼저, 상기 주철관(50)의 단부로부터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를 순차적으로 끼워 위치되도록 한 다음, 주철관수구(30)에 밀폐를 위한 고무링(40)을 삽입한 후, 상기 주철관(50)의 단부를 끼워 연결한다.
이상태에서, 상기 연결보울트(22)를 주철관수구(30)에 형성된 걸림턱(34)에 거치시킨 후, 연결너트(24)를 조여 제 2몸체(2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 2몸체(20)에 형성된 누름쇠(28)에 의해 주철관수구(30)에 삽입된 고무링(40)은 압착된 상태로 눌려져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주철관수구(30)에 제 2몸체(20)가 고정·결합되면, 제 1몸체(10)를 상기 제 2몸체(20)에 결합시킨 후, 조임보울트(14)를 조여 스파이크(12)로 주철관(50)을 압착·고정시키면 주철관수구(30)와 주철관(50)의 연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의 요철편(10a, 20a)에 의한 결합은 제 2몸체(20)에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편(20a)과 요철편(20a)사이에 제 1몸체(10)에 형성된 요철편(10a)이 위치되도록 끼워진 후, 제 1몸체(1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요철편(10a, 20a)이 맞물린 상태를 이루게 됨에 따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제 1, 2몸체(10, 20)에 형성된 요철편(10a, 20a)은결합시 서로 맞물려 접촉되지 않고 소정크기의 유동간격 S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보울트(22)에 의해 주철관수구(30)에 결합되는 제 2몸체(20)와 주철관(50)을 고정하기 위한 스파이크(12)가 축설된 제 1몸체(10)가 각각의 독립체를 이루게 되므로서, 상기 제 2몸체(20) 고정을 위한 연결보울트(22)의 설치수량에 상관없이 주철관(50)을 고정하기 위한 스파이크(12)의 설치수량을 자유롭게 최대한 많이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파이크(12)에 의해 고정되는 주철관(50)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제 1, 2몸체(10, 20)가 요철편(10a, 20a)에 의해 결합됨에 있어, 소정 크기의 유동간격 S(첨부 도면 도 6참조)을 갖게 되므로 지진이나 지반침하시 외력에 의해 연결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주철관(50)과 이를 고정하고 있는 제 1몸체(10)가 유동간격 S범위 내에서 변형(굽힘) 및 신축가능하므로 외력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함에 따라, 연결보울트의 설치수량에 상관없이 주철관의 고정을 위한 스파이크를 자유롭게 많은 수량으로 설치가능하므로 스파이크와 주철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접촉률을 향상시켜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유동간격 S를 갖는 요철편에 의해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하중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어 충격에 의한 연결부위의 변형을 방지하고 외력에 대한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연결부위의 변형 및 파손에 따른 누수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 압륜의 제작시공·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조임보울트(14)에 의해 축설되는 스파이크(12)와, 연결너트(24)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보울트(22)와, 상기 스파이크(12)가 조임보울트(14)에 의해 축설되도록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삽입공(16)이 관통된 하우징(18)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는 요철편(10a)이 형성된 제 1몸체(10)와, 상기 연결보울트(22)가 연결너트(24)에 의해 결합되며 일측단부에는 상기 요철편(10a)과 대응되는 요철편(20a)이 형성된 제 2몸체(20)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압륜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2)가 축설되는 제 1몸체(10)와 연결보울트(22)가 결합되는 제 2몸체(20)가 각각 독립체로 이루어지고 제 1몸체(10)에 축설되어 주철관(50)을 고정하는 스파이크(12)의 설치수량을 연결보울트(22)의 설치수량에 상관없이 최대한 많은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어 스파이크(12)와 주철관(50)의 접촉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10)와 제 2몸체(20)는 요철편(10a, 20a)에 의해 맞물려져 결합되되,
    상기 제 1몸체(10)의 요철편(10a)과 제 2몸체(20)의 요철편(20a)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유동간격 S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
KR2020020004203U 2002-02-08 2002-02-08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KR200274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03U KR200274970Y1 (ko) 2002-02-08 2002-02-08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03U KR200274970Y1 (ko) 2002-02-08 2002-02-08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252 Division 2002-02-08 2002-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970Y1 true KR200274970Y1 (ko) 2002-05-09

Family

ID=7311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03U KR200274970Y1 (ko) 2002-02-08 2002-02-08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87B1 (ko) * 2002-02-08 2005-12-22 서우실업 주식회사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87B1 (ko) * 2002-02-08 2005-12-22 서우실업 주식회사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1393B2 (ja) 管継手部の離脱防止構造
IE45368B1 (en) A sealing member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US6581984B1 (en) Corrugated spiral pipe with a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200274970Y1 (ko)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20080005525U (ko) 주철관용 고정압륜
JP3052987B2 (ja) 継手構造
KR100511518B1 (ko)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
KR100537487B1 (ko) 주철관용 신축 이탈방지 압륜
JP3506669B2 (ja) 継 手
KR200390448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068778B1 (ko) 상수도관의 직선이음구간 접합구조
JP4638798B2 (ja) 管継手部の離脱防止構造及び管継手部の離脱防止強化方法
EP0913619A1 (en)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a profiled main pipe and a branch pipe
KR200294925Y1 (ko) 주철관용 이탈방지 압륜
JPH07253183A (ja) 継手構造
JP3939100B2 (ja) 耐震継手ならびに耐震管路
JP3663511B2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KR200277239Y1 (ko) 이탈방지압륜의 밀폐구조
KR200373716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KR101095029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200314311Y1 (ko) 누수방지대
JP3052988B2 (ja) 継手構造
KR102524410B1 (ko) 상하수도관의 이탈방지 압륜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408

Effective date: 20050502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