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938Y1 -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938Y1
KR200273938Y1 KR2020020003631U KR20020003631U KR200273938Y1 KR 200273938 Y1 KR200273938 Y1 KR 200273938Y1 KR 2020020003631 U KR2020020003631 U KR 2020020003631U KR 20020003631 U KR20020003631 U KR 20020003631U KR 200273938 Y1 KR200273938 Y1 KR 200273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urved lens
glasses
connector
rim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화
Original Assignee
장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화 filed Critical 장영화
Priority to KR2020020003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938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테안경 조립구조는 곡면렌즈에 조립나사로 연결구와 코다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간간이 조립불량으로 인해 조립된 곳이 회전하는 등의 그 조립상태에 따라 무테안경의 조립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아울러, 전면에서 보았을 때 조립나사가 안경의 외관을 미려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과 조립나사를 이용한 체결구조는 조립공수를 증가시켜 작업시간을 증가시키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무테로 제작된 곡면렌즈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금속재의 연결구와 코다리를 간단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조립시키면서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과 안정성, 그리고 안경의 미려함을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테안경의 조립구조{ASSEMBLING STRUCTURE FOR A RIMLESS GLASSES LENS}
본 고안은 무테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테로 제작된 곡면렌즈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금속재의 연결구와 코다리를 간단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조립시키면서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과 안정성, 그리고 안경의 미려함을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무테안경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테안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렌즈(1)에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된 안경테가 형성되지 않고 곡면렌즈(1)자체에 연결구(2)와코다리(3)를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무테안경은 곡면렌즈(1)에 안경다리(4)를 연결하는 연결구(2)와 코다리(3)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곡면렌즈(1)의 양측단에 통공(5)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곡면렌즈(1)의 통공(5)과 대응되도록 연결구(2)와 코다리(3)에도 통공(5)을 형성한다.
이어서, 곡면렌즈(1)의 통공(5)과 연결구(2)와 코다리(3)의 통공(5)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나사(6)를 안경의 전면으로부터 삽입시키고, 연결구(2)와 코다리(3) 및 곡면렌즈(1)를 관통한 조립나사(6)의 종단에 너트(7)를 결합시켜 연결구(2)와 코다리(3)가 곡면렌즈(1)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곡면렌즈(1)내측에는 체결된 너트(7)의 외부로 돌출된 조립나사(6)의 끝단에 합성수지재 보호캡(도시하지 않음)을 씌워 혹시라도 발생할지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보호캡은 안경을 자주 닦는 것과 오랜 사용으로 쉽게 분리 이탈되어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분실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안경에 충격이 가해지던지 착용자가 안경을 벗거나 착용하는 과정에서 보호캡이나 조립나사가 눈동자나 눈동자부근의 안면에 접촉되어 찰과상을 일으키는 등의 안전성에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곡면렌즈에 조립나사로 연결구와 코다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간간이 조립불량으로 인해 조립된 곳이 회전하는 등의 그 조립상태에 따라 무테안경의 조립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아울러, 전면에서 보았을 때 조립나사가 안경의 외관을 미려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과 조립나사를 이용한 체결구조는 조립공수를 증가시켜 작업시간을 증가시키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테로 제작된 곡면렌즈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금속재의 연결구와 코다리를 간단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조립시키면서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과 안정성, 그리고 안경의 미려함을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에 조립되는 연결구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3(b)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에 조립되는 코다리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소정형상의 곡면렌즈(1)에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코다리를 조립하는 무테안경(20)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곡면렌즈(1)의 양측단으로 결합되고,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는 끼움부(11)와; 상기 끼움부(11)의 접촉단에 아치형상의 완곡면(12)과 날개부(13)를 구비하고,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설된 탄부(14)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돌출부(15); 및 상기 끼움부(11)의 타측면은 조립나사(17)로 체결하도록 관통한 관통공(1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결합부(10);를 연결구(18)와 코다리(19)의 선단에 구비하여 곡면렌즈(1)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곡면렌즈에 조립되는 연결구와 코다리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부(11)의 일면에 돌설된 탄부(14)는 굳이 원주방향이 아닌 사각방향으로나 타원방향으로도 형성하여 돌출부(15)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에 조립되는 연결구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3(b)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에 조립되는 코다리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무테안경(20)에 관련되며, 특히 소정형상의 곡면렌즈(1)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구(18)와 코다리(19)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무테안경(20)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공을 형성하지 않은 곡면렌즈(1)의 양측단으로 결합되는 연결구(18)와 코다리(19)의 선단에 결합부(10)를 형성하게 된다. 결합부(10)는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는 끼움부(11)가 구비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곡면렌즈(1)의 선단과 접촉되는 끼움부(11)의 접촉단은 아치형상의 완곡면(12)과 날개부(13)가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곡면렌즈(1)의 선단이 끼움부(11)의 완곡면(12)에 삽착되면서 날개부(13)로 인하여 곡면렌즈(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끼움부(11)의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설되는 탄부(14)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돌출부(15)를 구비하고 타측면은 관통공(16)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끼움부(11)의 일면에 돌설된 탄부(14)는 굳이 원주방향이 아닌 사각방향으로나 타원방향으로도 형성하여 돌출부(15)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한 양자의 방식을 병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가 도시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에 있어서, 도 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렌즈(1)에 조립되는 부분인 연결구(18)와 코다리(19)의 선단에 결합부(10)를 형성한 다음, 통공을 형성하지 않은 곡면렌즈(1)의 양측단에 조립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10)는 소정의 '⊂'형상을 지닌 끼움부(11)가 곡면렌즈(1)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바, 상기 곡면렌즈(1)의 선단과 접촉되는 끼움부(11)의 접촉단은 아치형상의 완곡면(11)에 삽착되면서 날개부(13)에 의해 곡면렌즈(1)의 선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끼움부(11)의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설되는 탄부(14)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돌출부(15)를 구비되고 타측면은 관통공(16)을 구비되는 바, 상기 관통공(16)을 통하여 조립나사(17)를 사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때, 조립나사(17)를 통하여 서서히 체결하게 되면 곡면렌즈(1)를 가압하게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부(11)의 일면에 구비된 돌출부(15)가 곡면렌즈(1)의 외경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삽입되어 곡면렌즈(1)를 밀착하기 때문에 양측에서 연결구(18)와 코다리(19)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립나사(17)의 조립되는 위치를 보면 원주방향으로 돌설된 탄부(14)로 이루어진 돌출부(15)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곡면렌즈(1)를 지지하는 힘이 분산효과를 누리게 됨에 따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구성으로 조립된 무테안경은 3면에서 지지하는 효과를 누리게 되는 데, 이를 열거하여 보면:
① 곡면렌즈(1)의 선단에는 끼움부(11)의 접촉단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완곡면(11)이 곡면렌즈의 선단을 삽착하면서 날개부(13)가 곡면렌즈(1)의 선단을 지지하게 된다.
② 끼움부(11)의 일면에 형성된 탄부(14)로 이루어진 돌출부(15)가 곡면렌즈(1)의 외경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삽입되어 지지하게 된다.
③ 끼움부(11)의 타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6)을 통하여 체결되는 조립나사(17)가 곡면렌즈(1)의 외경면을 가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식(곡면렌즈에 통공을 형성함)대로 곡면렌즈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금속재의 연결구와 코다리의 선단에 결합부를 형성한 다음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함에 따라 견고하게 조립할 수도 있는 동시에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과 안정성을 추구하게 된다. 그리고 조립수단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안경의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무테로 제작된 곡면렌즈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금속재의 연결구와 코다리를 간단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조립시키면서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과 안정성, 그리고 안경의 미려함을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형상의 곡면렌즈(1)에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코다리를 조립하는 무테안경(20)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곡면렌즈(1)의 양측단으로 결합되고,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는 끼움부(11)와, 상기 끼움부(11)의 접촉단에 아치형상의 완곡면(12)과 날개부(13)를 구비하고,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설된 탄부(14)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돌출부(15), 및 상기 끼움부(11)의 타측면은 조립나사(17)로 체결하도록 관통한 관통공(1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결합부(10)를 연결구(18)와 코다리(19)의 선단에 구비하여 곡면렌즈(1)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렌즈(1)에 조립되는 연결구(18)와 코다리(19)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부(11)의 일면에 돌설된 탄부(14)는 굳이 원주방향이 아닌 사각방향으로나 타원방향으로도 형성하여 돌출부(15)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2020020003631U 2002-02-05 2002-02-05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200273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31U KR200273938Y1 (ko) 2002-02-05 2002-02-05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31U KR200273938Y1 (ko) 2002-02-05 2002-02-05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938Y1 true KR200273938Y1 (ko) 2002-04-27

Family

ID=7311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631U KR200273938Y1 (ko) 2002-02-05 2002-02-05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9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226A (ko) * 2002-02-25 2002-04-06 배윤수 무테 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080053546A (ko) * 2006-12-11 2008-06-16 장종엽 무테 및 반무테 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226A (ko) * 2002-02-25 2002-04-06 배윤수 무테 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080053546A (ko) * 2006-12-11 2008-06-16 장종엽 무테 및 반무테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6493Y2 (ko)
DK0666490T3 (da) Linsesammenføjningsstruktur til uindfattede briller
JP2001228446A (ja) めがねユニットの組み付け方法
KR200273938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CA2287147A1 (en) Apparatus for installing eyeglass lenses
US6644803B1 (en) Structure for fixing side shield for glasses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0236837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조립구조
CN220829629U (zh) 一种具有副镜的多功能风镜
KR100809943B1 (ko) 렌즈 조립이 용이한 안경
KR20140146799A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0341073Y1 (ko) 안경다리와 안경경첩의 체결구조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CN209496207U (zh) 一种眼镜框的镜圈拆换结构
KR200335440Y1 (ko)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KR20010091688A (ko) 티타늄재 안경테용 안경다리의 연결부 구조 및 그제조방법
KR200253046Y1 (ko) 목재안경테의 코받침결합구조
KR200364388Y1 (ko) 안경 다리
JP3003715U (ja) メガネレンズの連結部材
JP3281311B2 (ja)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TWM638814U (zh) 眼鏡組合結構
TWM636324U (zh) 具嵌入式活動鉸鍊之眼鏡組合件結構改良
KR200272462Y1 (ko) 무테안경용 안경렌즈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