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440Y1 -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440Y1
KR200335440Y1 KR20-2003-0027745U KR20030027745U KR200335440Y1 KR 200335440 Y1 KR200335440 Y1 KR 200335440Y1 KR 20030027745 U KR20030027745 U KR 20030027745U KR 200335440 Y1 KR200335440 Y1 KR 200335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xing
glasses
fix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엽
Original Assignee
장종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엽 filed Critical 장종엽
Priority to KR20-2003-0027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440Y1/ko
Priority to PCT/KR2003/002838 priority patent/WO2004059368A1/en
Priority to AU2003285802A priority patent/AU200328580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 안경을 제작함에 있어서, 렌즈에 별도의 구멍을 가공하지 않고도 간편·용이하게 렌즈를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두께 및 곡률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렌즈 결합시 압착에 따른 하중으로 인해 고정부위에 응력이 발생되어 그 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면 일측 선단부에 압착편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나사축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받침대와; 중앙에 상기 나사축이 끼워지는 장공부가 관통되고, 내측면 일측단은 돌기가 하향 돌출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타측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고정돌기가 하향 돌출된 고정체가 구비됨에 따라, 렌즈에 구멍을 가공하자 않고서도 렌즈를 견고하게 지지·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도수차이에 따른 두께 및 곡률에 따라, 나사방식에 의해 조여지는 고정체를 그에 알맞는 곡률을 갖도록 절곡·형성시켜, 렌즈의 고정에 따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렌즈의 지지·고정시 발생되는 고정체의 휨현상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LENS COMBINATION STRUCTULE OF RIMLESS GLASSES}
본 고안은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테 안경을 제작함에 있어서, 렌즈에 별도의 구멍을 가공하지 않고도 간편·용이하게 렌즈를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두께 및 곡률에 따라, 보다 더,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렌즈 결합시 압착에 따른 하중으로 인해 고정부위에 응력이 발생되어 그 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glasses)이라 함은 시력이 좋지 않아 시야확보가 어려운 경우나 시력보호가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각각의 시력에 따라, 그에 알맞는 도수(dioptLie)를 갖게 되며, 통상적으로, 안경테, 다리부, 코다리 및 렌즈로 구성되어져 있고,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해 안경테에 다리부가 절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신체(얼굴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최근에는 안경이 사용자의 시력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국한되게 사용되지 않고, 미를 표출하기 위한 악세서리 등의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안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안경테에 의해 안경 전체적인 무게를 최소화 하고 보다 더, 미려한 개성연출을 위해 반무테 안경이나 무테 안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전자의 반무테 안경은 렌즈의 일부위가 안경테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며, 후자의 무테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안경테가 전혀 없이 바로 코걸이나 양측방에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현재, 안경테에 의해 렌즈 전체가 고정되는 안경보다는 반무테로 이루어진안경이 경량이고 다양한 모양을 표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무테안경은 안경테가 전혀 요구되지 않으므로 반무테 보다 더 경량화와 다양한 모양으로의 표출은 물론, 렌즈의 모양을 자유롭게 다양한 형태로 제작·연출할 수 있고, 안경테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착용자의 얼굴을 자연스럽게 가림없이 드러나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안경테에 의해 렌즈가 결합되는 안경보다는 경량이고 다양한 모양으로의 표출이 가능하며 개성적인 외관 및 미려함을 표출할 수 있는 무테안경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의 무테안경에서는 렌즈를 고정하기 위해 렌즈에 구멍을 뚫고 이에,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이, 렌즈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멍가공공정이 요구되므로 그 작업이 난해하고 번거로우며, 또한,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강도가 약한 재질(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렌즈가 쉼게 균열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등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공되어진 구멍을 이용하여 렌즈를 고정함에 있어, 체결나사에 의해 렌즈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조여져 고정되므로 접촉부위가 취약하고, 사용시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바로 렌즈에 가해지게 되므로 그 취약한 부위가 쉽게 균열 및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무테안경에서는 렌즈 조립시 위치 조절 즉, 사용자의 시력과 렌즈가 갖는 도수의 중심 일치를 위한 렌즈의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이 불가능하고, 렌즈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어려워 체결나사에 의한 조립시 중심 일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조립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폐단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테안경을 제작함에 있어서, 렌즈에 구멍을 가공하자 않고서도 렌즈를 견고하게 지지·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도수차이에 따른 두께 및 곡률에 따라, 나사방식에 의해 조여지는 고정체를 그에 알맞는 곡률을 갖도록 절곡·형성시켜, 렌즈의 고정에 따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렌즈의 지지·고정시 발생되는 고정체의 휨현상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무테안경의 렌즈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렌즈를 지지·고정함에 있어서, 렌즈와 직접 접촉되는 고정체 및 받침대에 돌기와 압착편을 형성하되, 상기 압착편은 렌즈와 접촉되는 부위가 같은 곡률을 갖도록 하므로서, 렌즈에 압착편이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결합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연결부재에 의해 다리부가 절첩되도록 결합되고 렌즈가 압착·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무테안경에 있어서, 내측면 일측 선단부에 압착편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나사축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받침대와; 중앙에 상기 나사축이 끼워지는 장공부가 관통되고, 내측면 일측단은 돌기가 하향 돌출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타측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고정돌기가 하향 돌출된 고정체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받침대에는 다수의 원형 돌기가 돌출되고, 연질의 쿠션부재가 부착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받침대 12:압착편
14:나사축 16:고정홈
20:고정체 22:장공부
24:돌기 26:절곡부
28:고정돌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무테안경은 연결부재(2)에 의해 다리부(4)가 절첩되도록 결합되고, 렌즈(L)가 압착·고정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L)를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10)는 내측면 일측 선단부에 압착편(1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나사축(14)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고정홈(16)이 형성되며, 고정체(20)는 중앙에 상기 나사축(14)이 끼워지는 장공부(22)가 관통되고, 내측면 일측단은 돌기(24)가 하향 돌출된 절곡부(26)가 형성되며, 타측단은 하방으로 고정돌기(28)가 돌출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압착편(12)과 고정체(20)의 절곡부(26)에 돌출된 돌기(24)는 고정하고자 하는 렌즈(L)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압착·고정되며, 상기 나사축(14)에는 너트(18)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L)는 도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게 되는 것으로서, 가장자리 부분, 즉, 받침대(10)와 고정체(20)에 의해 압착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두께 D에 비해 중앙부분의 두께 d가 얇게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다리부(4)가 절첩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2)에 받침대(1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10)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나사축(14)에는 장공부(22)에 의해 고정체(20)가 끼워져 결합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고정홈(16)에는 고정체(20)에 돌출된 고정돌기(28)가 위치되어 지지·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받침대(10)와 고정체(20)에 의해 렌즈(L)가 압착·고정되되, 상기 받침대(10)에는 다수의 원형돌기(11)가 돌출되고, 박판형태의 쿠션부재(13)가 부착됨에 따라, 렌즈(L)와 접촉되는 부위가 상기 쿠션부재(13)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면접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원형돌기(11)가 렌즈(L)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연질의 쿠션부재(13)에 의해 간접적인 접촉에 의해 압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선단부에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진 형태의 압착편(12)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고정홈(16)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나사축(14)이 상향돌출된 받침대(10)를 연결부재(2)와 일체화하고, 상기 나사축(14)에 끼워지는 장공부(22)가 관통된 고정체(20)를 이용하여 렌즈(L)를 고정하려면, 먼저, 상기 고정체(20)를 나사축(14)에 끼워지도록 결합한 후, 너트(18)를 조여 가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체(20)가 나사축(14)에 끼워짐과 동시에, 고정체(20)에 돌출된 고정돌기(28)는 받침대(10)에 결합된 고정홈(16)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태에서, 서로 다른 두께 D와 d를 갖는 렌즈(L)를 가결합되어진 받침대(10)와 고정체(20) 사이에 위치되록 한 후, 너트(18)를 조이게 되면, 이들 사이에 위치된 렌즈(L)가 받침대(10)에 형성된 압착편(12)과 고정체(20)의 절곡부(26)에 형성된 돌기(24)에 의해 압착되면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받침대(10)에 형성된 압착편(12)은 렌즈(L)와 접촉되는 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밀착되어 면접촉이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0)는 절곡부(26)가 형성된 부위가 전체적으로 곡률을 갖도록 하향 절곡되어져 있으며, 이는 렌즈(L)를 압착·고정함에 있어서, 렌즈(L)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압착·고정이 이루어지는 가장자리 부위의 두께 D가 중앙부위의 두께 d보다 두껍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렌즈(L)를 압착·고정하는 과정에서, 모서리부위와 간섭 및 접촉되어 그 부위가 균열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20)는 나사축(14)에 끼워져 결합된 후, 너트(18)의 조임에 의해 절곡부(26)에 형성된 돌기(24)가 렌즈(L)를 압착하며 고정시키게 되므로, 렌즈(L)를 압착·고정하는 과정에서, 그 부위에 집중적으로 압착력(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나사축(14)을 기점으로 렌즈(L)가 고정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압착력이 발생되므로, 그 반대쪽에 해당하는 부위는 역으로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려는 하중을 갖게 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체(20)의 타측단에 하향 돌출되어진 고정돌기(28)가 받침대(10)에 형성된 고정홈(16)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서, 고정체(20)의 렌즈(L) 압착에 따른 하중으로 인해 반대쪽 부위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고, 고정돌기(28)가 고정홈(16)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체(20)에 의해 렌즈(L)가 압착·고정되는 과정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는 나사축(14)을 기점으로 양쪽부위가 상반되게 하중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고정체(20)는 안정된 정위치에서 렌즈(L)를 견고하게 압착·고정하게 되며, 상기 고정돌기(28)가 고정홈(16)에 끼워진 상태로 버팀목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서, 고정체(20)가 렌즈(L) 압착에 따른 압착력(하중)으로 인해 일부위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변형되거나 유동 및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를 고정함에 있어서, 받침대(10)에 다수의 원형돌기(11)가 돌출시키고, 이에 연질의 쿠션부재(13)를 부착시키게 되면, 받침대(10)와 고정체(20)에 의해 렌즈(L)가 고정되는 과정에서, 쿠션부재(13)에 의해 렌즈(L)의 표면과 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므로 마찰력을 높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L)를 압착·고정함에 있어, 쿠션부재(13)에 의해 렌즈(L) 표면에 발생되는 흠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를 이용함에 따라, 무테안경을 제작함에 있어서, 렌즈에 구멍을 가공하자 않고서도 렌즈를 견고하게 지지·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렌즈의 도수차이에 따른 두께 및 곡률에 따라, 나사방식에 의해 조여지는 고정체를 그에 알맞는 곡률을 갖도록 절곡·형성시켜, 렌즈의 고정에 따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렌즈의 지지·고정시 발생되는 고정체의 휨현상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를 지지· 고정함에 있어서, 렌즈와 직접 접촉되는 고정체 및 받침대에 돌기와 압착편을 형성하되, 상기 압착편은 렌즈와 접촉되는 부위가 같은 곡률을 갖도록 하므로서, 렌즈의 압착·고정에 따른 견고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렌즈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연결부재(2)에 의해 다리부(4)가 절첩되도록 결합되고 렌즈가 압착·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무테안경에 있어서,
    내측면 일측 선단부에 압착편(1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나사축(14)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고정홈(16)이 형성된 받침대(10)와;
    중앙에 상기 나사축(14)이 끼워지는 장공부(22)가 관통되고, 내측면 일측단은 돌기(24)가 하향 돌출된 절곡부(26)가 형성되며, 타측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고정돌기(28)가 하향 돌출된 고정체(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편(12)은 렌즈(L)와 접촉되는 면이 곡률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에는 다수의 원형 돌기(11)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에는 연질의 쿠션부재(1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KR20-2003-0027745U 2002-12-24 2003-08-28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KR200335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45U KR200335440Y1 (ko) 2003-08-28 2003-08-28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PCT/KR2003/002838 WO2004059368A1 (en) 2002-12-24 2003-12-24 Lens combining structure of rimless glasses
AU2003285802A AU2003285802A1 (en) 2002-12-24 2003-12-24 Lens combining structure of rimless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45U KR200335440Y1 (ko) 2003-08-28 2003-08-28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440Y1 true KR200335440Y1 (ko) 2003-12-06

Family

ID=4934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745U KR200335440Y1 (ko) 2002-12-24 2003-08-28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4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546A (ko) * 2006-12-11 2008-06-16 장종엽 무테 및 반무테 안경
KR20190091889A (ko) 2018-01-29 2019-08-07 박지현 체결 부재가 없는 무테 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546A (ko) * 2006-12-11 2008-06-16 장종엽 무테 및 반무테 안경
KR20190091889A (ko) 2018-01-29 2019-08-07 박지현 체결 부재가 없는 무테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843B1 (en) Eyeglass nose bridge structure
US7344241B2 (en) Glasses having frame for combined use with a cap
JP3040995B1 (ja) 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KR200335440Y1 (ko)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US7543933B2 (en) Eyeglasses
CA2433700A1 (en) Eyeglass with simple connecton structure and screwless hinge
KR20080053546A (ko) 무테 및 반무테 안경
JP3785168B2 (ja) 眼鏡枠
US20010048504A1 (en) Nose pad of eyeglass frame
KR200215644Y1 (ko)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KR200238995Y1 (ko)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US6827439B1 (en) Structure of the rimless eyeglasses
KR20140003944U (ko) 합성수지안경테의 코받침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KR200222097Y1 (ko) 안경테의 코기둥 결합 구조
KR200453136Y1 (ko) 코받침연결간을 가진 조립식안경
CN220419729U (zh) 一种运动眼镜
KR200273938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200284893Y1 (ko) 자석이 장착된 착탈식 무테보조안경
KR200381236Y1 (ko) 반무테 안경
KR200238961Y1 (ko)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KR200174174Y1 (ko) 안경테의 코다리 결합구조
KR200270274Y1 (ko) 무테 안경렌즈 고정구조
KR200307416Y1 (ko) 무테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KR200220749Y1 (ko) 무테안경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