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995Y1 -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995Y1
KR200238995Y1 KR2020010012234U KR20010012234U KR200238995Y1 KR 200238995 Y1 KR200238995 Y1 KR 200238995Y1 KR 2020010012234 U KR2020010012234 U KR 2020010012234U KR 20010012234 U KR20010012234 U KR 20010012234U KR 200238995 Y1 KR200238995 Y1 KR 200238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ridge
support
hol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2020010012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995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격된 렌즈를 각각 브릿지 및 안경다리에 의해 고정 결합하는 통상의 무테안경에 있어서, 그 브릿지의 렌즈 받침부 상하부에 절개 요홈을 형성하고, 그 렌즈 받침부의 내부에는 절곡가능한 금속편을 매입형성하므로서, 렌즈 받침부에 렌즈를 거치 결합한 상태에서 그 렌즈 받침부를 필요량 절곡하면 상하 절개 요홈에 의해 용이하게 받침부가 절곡됨은 물론 받침부 내부에 매입된 금속편에 의해 절곡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제거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렌즈 및 브릿지의 설정각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의 곡률에 관계없이 소비자의 취향 및 체형에 알맞은 적정의 안경 전개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가늘고 강하며 변형이 자유로운 무테안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릿지 내부에 매입되어진 금속편 일측으로는 렌즈와 브릿지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나사체결될 수 있는 너트 대용의 텝공을 형성함으로서 기존의 너트와 같은 부품 사용을 자제하여 원가절감과 함께 물품 취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신규의 간소화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ing angle of lens of rimless spectacles}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테안경 브릿지의 렌즈 받침부에 상하 절개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절곡가능한 금속편을 매입형성하여 다양한 곡률을 갖는 렌즈의 커브각에 따라 적절하게 브릿지의 렌즈 받침부를 절곡함으로서 안경착용의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키도록 한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유테안경과 더불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하고자 미적요소를 한층 부각시킨 무테안경이 일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테안경은 렌즈의 도수에 따라 그 렌즈의 내외부에는 적정의 곡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곡률을 갖는 한쌍의 렌즈를 별도의 브릿지에 의해 이격되게 고정하고, 고정된 렌즈의 양단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걸이부를 갖는 안경다리를 절첩가능하게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전기한 렌즈와 안경다리 및 렌즈와 브릿지의 연결부에는 각각 체결나사 및 너트, 와셔 등의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그 체결수단에 의해 보다 견고한결합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통상의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렌즈 받침부는 각각의 곡률을 서로 달리하는 렌즈를 모두 결합하기 위해 저도수의 렌즈와 고도수의 렌즈가 갖는 곡률의 중간치를 산출하여 그 도수의 렌즈 곡률에 따라 받침구의 각도를 미리 설정하여 일률적으로 사용하거나, 몇종의 렌즈 곡률에 따른 각도를 갖는 받침구를 마련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무테안경은 렌즈의 도수에 따라 렌즈의 곡률이 각기 상이하므로 일률적인 형상을 갖는 브릿지 및 안경다리로 각각의 렌즈를 결합하게 되면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데, 렌즈의 곡률이 너무 평평한 경우에는 렌즈에 고정된 안경다리를 펼쳤을 때 외향으로 너무 벌어져 착용감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렌즈의 곡률이 급격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체결된 안경다리를 펼쳤을 때 내향으로 너무 오므러져 사용자의 귀부근을 압박하므로 역시 착용감이 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렌즈 곡률에 따라 이에 적합한 결합이 가능한 다수의 안경다리 및 브릿지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렌즈가 접하는 안경다리 및 브릿지의 렌즈 받침부를 수회 커팅하거나 사포지 등의 연마도구를 이용하여 필요량을 갈아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키 위한 방법의 하나로 렌즈와 브릿지 또는 렌즈와 안경다리의 접면부위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경사와셔를 삽입하여 렌즈의 다양한 커브각에 따른 안경다리 및 브릿지의 고정각도를 조절하기도 하나, 이는 작업자가 일일이 삽입하고자 하는 경사와셔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와셔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난해할 뿐만 아니라 조립 후 체결나사가 헐거워지거나 움직여 풀리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200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4645호에 의해, 브릿지 또는 안경다리의 렌즈 받침부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고, 그 요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돌기 및 저면의 또다른 요홈을 갖는 경사와셔를 안출하므로서, 경사와셔 돌기와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요홈을 서로 일치시켜 삽입 고정하므로서, 경사와셔의 방향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체결나사가 느슨해 지더라도 그 연질와셔가 회전되는 문제점을 제거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다수의 돌기 및 요홈을 갖는 경사와셔 또한 반드시 무테안경의 렌즈 곡률에 따른 부가적인 구성요소여서, 그 렌즈의 곡률에 따라 반드시 이를 삽입하여야 하므로 부품의 수가 전혀 감소되지 않은 것이며, 곡률의 차가 매우 심한 경우에는 그 경사와셔를 2~3개 겹쳐 고정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취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그 경사와셔는 제작시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으므로 항상 그 경사와셔의 두께 차에 의해서만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결합각도가 조절되었으나, 렌즈의 곡률은 각각의 도수에 따라 각기 상이한 곡률을 갖게 되므로, 보다 다양한 렌즈 곡률에 따른 정밀한 브릿지 및 안경다리의 고정각도를 설정하지 못함은 물론, 일정한 두께에 의한 경사와셔 삽입으로 균일화된 안경다리의 전개각도를 제공하지 못하는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이격된 렌즈를 각각 브릿지 및 안경다리에 의해 고정 결합하는 통상의 무테안경에 있어서,
그 브릿지의 렌즈 받침부 상하부에 절개 요홈을 형성하고, 그 렌즈 받침부의 내부에는 절곡가능한 금속편을 매입형성하므로서,
렌즈 받침부에 렌즈를 거치 결합한 상태에서 그 렌즈 받침부를 필요량 절곡하면 상하 절개 요홈에 의해 용이하게 받침부가 절곡됨은 물론 받침부의 내측에 매입된 금속편에 의해 절곡형상이 복원되는 것을 제거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렌즈 및 브릿지의 설정각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의 곡률에 관계없이 소비자의 취향 및 체형에 알맞은 적정의 안경 전개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브릿지 받침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는 경사와셔, 평와셔, 고정너트 등을 필요치 않게 하므로서 보다 간편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부품의 수가 현저히 감소되어 생산원가의 감소는 물론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받침구조에 의한 무테안경의 브릿지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받침구조에 의한 무테안경의 브릿지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받침구조에 의한 브릿지의 절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받침구조에 의한 브릿지에 고정핀을 삽입한 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받침구조에 의한 브릿지 고정판의 타실시예도로서,
도 5a는 또다른 고정판의 전체사시도
도 5b는 또다른 고정판이 브릿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렌즈 2 : 브릿지
3 : 받침구 4 : 받침구의 결합공
5 : 렌즈의 결합공 6 : 체결나사
7,7' : 절개요홈 8,8' : 통공
9 : 텝공 10,10A : 금속편
11 : 핀 15 : 장공
16 : 삽입편 17 : 고정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받침구조에 의한 무테안경의 브릿지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 받침구조에 의한 무테안경의 브릿지 측단면도이다.
한쌍의 렌즈(1) 사이에 브릿지(2)가 형성되고, 브릿지(2)의 양측 단부에는 렌즈(1)가 안치되는 받침구(3)가 돌설되며, 그 받침구(3)의 결합공(4)과 렌즈(1)의 결합공(5)이 별도의 체결나사(6)에 의해 결합형성되는 통상의 무테안경에 있어서,
전기한 받침구(3)의 내측 상하부에는 절개요홈(7)(7')을 형성하고, 그 받침구(3)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8)(8') 및 텝공(9)이 형성된 절곡가능한 금속편(10)을 매입형성하되,
금속편(10)의 텝공(9)과 받침구(3)의 결합공(4)이 서로 일치되게 매입형성하므로서, 렌즈(1)의 곡률에 따라 전기한 받침구(3)를 상하 절곡형성하여 가장 적절한 렌즈 결합각도로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며,
절곡된 받침구(3)의 상하 절개요홈(7)(7') 중 전개된 절개요홈(7)(7')에는 별도의 핀(11)을 삽입하여 절곡된 받침구가 복원되지 않게 하거나,
일측에 장공(15)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삽입편(16)을 형성한 또다른 고정판(17)을 형성하므로서 체결나사(6)의 결합과 동시에 그 고정판(17)이 함께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브릿지(2)의 받침구(3) 내부에 매입되어진 금속편(10A)을 브릿지 전체에 매입되도록 일체로 연장함으로서, 브릿지 양측의 받침구 뿐만 아니라 브릿지 전체중 어떤 위치에서든지 절곡되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보호캡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무테안경의 브릿지(2)는 그 양측에 돌출된 받침구(3) 상에 렌즈(1)를 거치하고 받침구(3)의 결합공(4)과 렌즈(1)의 결합공(5)을 서로 일치시켜 렌즈(1)측으로부터 체결나사(6)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인데, 통상적으로 렌즈(1)는 그 도수의 차에 따라 각기 상이한 곡률을 갖고 있으므로 이 곡률에 따라 일정한 브릿지(2)의 형성각도를 조정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그 브릿지(2)의 받침구(3)를 절삭하거나 연마하여 그 렌즈의 조립각도를 조정하거나, 경사상의 경사와셔를 삽입하여 이를 조정하였으나, 본 고안 브릿지(2)의 받침구(3)에는 상하 절개요홈(7)(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브릿지(2)의 받침구(3) 일측을 별도의 공구로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그 절개요홈(7)(7')의 일측은 절첩되고 타측은 전개되며 받침구(3)만이 절곡되므로 이에 의해 렌즈(1)의 조립각도를 임의로 변경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 받침구(3)의 내부에는 절곡가능한 금속편(10)이 매입되어 있으므로 이 금속편(10)에 의해 한번 절곡되어진 받침구(3)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며, 금속편(10)의 일측에 형성된 텝공(9)은 전기한 체결나사(6)가 직접 나사 삽입되게 하므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와셔 및 조립너트의 사용이 없이도 브릿지(2) 및 렌즈(1)의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전기한 금속편(10)에는 다수의 통공(8)(8')을 형성하므로서, 금속편(10)을 브릿지(2)의 받침구(3) 내부에 통상의 사출기법인 인서팅 사출에 의해 매입하는 경우 그 통공(8)(8')으로 사출물이 유입되어 상하 연결되게 하므로서 금속편(10)이 받침구(3)의 내부에서 유동되거나 흔들림이 없게 한 것이다.
이렇게 절곡된 브릿지(2)의 받침구(3)는 사용중 충격이나 외압에 의해 다시 역절곡 될 우려가 있으므로, 전개된 측의 절개요홈(7')에 별도의 핀(11)이나 소형의 나사를 압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므로서 받침구(3)의 역절곡이 일어나지 않게 하므로서 보다 안정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의 도시와 같이 일측에는 장공(15)이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는 삽입편(16)이 형성된 다른 고정판(17)을 별도로 형성하므로서, 그 고정판(17)의 장공(15)에는 체결나사(6)의 노출 단부가 삽입되게 하고, 고정판(17)의 삽입편(16)은 브릿지(2) 받침구(3)의 일면에 마련된 삽입공(도면부호는 생략함.)에 압입 고정하고 외부에 고정너트를 체결함으로서 그 고정판(17)에 의해 받침구(3)의 역절곡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정판(17) 자체로서 와셔역할까지 대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브릿지(2)의 받침구(3) 내부에 매입되어진 금속편(10A)이 브릿지 전체에 걸쳐 일체로 매입되어 있어서, 받침구 뿐만 아니라 브릿지 전체의 길이 중 원하는 부분에서의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절곡 고정수단에 있어서, 체결나사(6)의 타측 노출 단부에는 별도의 보호캡(20)을 삽입하여 금속재의 체결나사(6) 노출부로부터 사용자의 안면 등이 보호되게 함은 물론 보다 그 무테안경의 품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절곡방법 및 고정방법에 의해 형성된 무테안경은 그 브릿지 및 렌즈간의 조립각도를 임의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의 조립나사 및 경사와셔, 평와셔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보다 간편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렌즈의 곡률에 구애없이 어떠한 렌즈를 결합하더라도 그 절곡량을 가감하여 균일한 렌즈 결합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받침구(3)는 브릿지(2)에 한정되게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구성을 무테안경의 안경다리에 적용하므로서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는 렌즈의 곡률에 따라 전기한 브릿지의 받침구를 임의 절곡하여 용이한 렌즈의 조립각도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곡률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전개각도를 갖는 무테안경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종래와 같은 경사와셔 및 와셔, 조립너트 등을 삽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원가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한쌍의 렌즈(1) 사이에 브릿지(2)가 형성되고, 브릿지(2)의 양측 단부에는 렌즈(1)가 안치되는 받침구(3)가 돌설되며, 그 받침구(3)의 결합공(4)과 렌즈(1)의 결합공(5)이 별도의 체결나사(6)에 의해 결합형성되는 통상의 무테안경에 있어서,
    전기한 받침구(3)의 내측 상하부에는 절개요홈(7)(7')을 형성하고, 그 받침구(3)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8)(8') 및 텝공(9)이 형성된 절곡가능한 금속편(10)을 매입형성하되,
    금속편(10)의 나사공(9)과 받침구(3)의 결합공(4)이 서로 일치되게 매입형성하므로서, 렌즈(1)의 곡률에 따라 전기한 받침구(3)를 상하 절곡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절곡된 받침구(3)의 상하 절개요홈(7)(7') 중 전개된 절개요홈(7)(7')에는 별도의 핀(11)을 삽입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에 장공(15)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삽입편(16)을 형성한 고정판(17)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서 체결나사(6)의 단부가 장공(15)에 삽입되게하여, 체결나사(6)의 결합과 동시에 그 고정판(17)이 함께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브릿지(2)의 받침구(3) 내부에 매입되어진 금속편(10A)을 브릿지 전체에 매입되도록 일체로 연장함으로서, 브릿지 양측의 받침구 뿐만 아니라 브릿지 전체중 어떤 위치에서든지 절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KR2020010012234U 2001-04-27 2001-04-27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KR200238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34U KR200238995Y1 (ko) 2001-04-27 2001-04-27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34U KR200238995Y1 (ko) 2001-04-27 2001-04-27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995Y1 true KR200238995Y1 (ko) 2001-10-12

Family

ID=7310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234U KR200238995Y1 (ko) 2001-04-27 2001-04-27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9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8488A1 (en) Temple connection structure of spectacles frame
US20060017879A1 (en) Glasses having frame for combined use with a cap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US20050099591A1 (en) Eyeglass with auxiliary lenses
KR20210013902A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KR200238995Y1 (ko)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KR102234023B1 (ko) 렌즈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
EP2689286A1 (en) Eyewear.
KR200238961Y1 (ko) 무테안경의 렌즈각도 조절을 위한 받침구조
KR200335440Y1 (ko) 무테 안경의 렌즈 결합구조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140003944U (ko) 합성수지안경테의 코받침
KR200441972Y1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CN209215759U (zh) 一种镜框与镜脚的连接结构以及眼镜
KR102391257B1 (ko)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 구조
KR20100012602U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KR101841244B1 (ko) 안경
CN208384271U (zh) 铰链结构及安装其的眼镜腿和眼镜
JP3100827U (ja) 連結金具及びメガネフレーム
KR200273938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KR200422700Y1 (ko) 무테안경렌즈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JP3039025U (ja) 鼻当てパッドの箱足連結構造
JP3688247B2 (ja) フリーサイズ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