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939Y1 -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 Google Patents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939Y1
KR200272939Y1 KR2020020002144U KR20020002144U KR200272939Y1 KR 200272939 Y1 KR200272939 Y1 KR 200272939Y1 KR 2020020002144 U KR2020020002144 U KR 2020020002144U KR 20020002144 U KR20020002144 U KR 20020002144U KR 200272939 Y1 KR200272939 Y1 KR 200272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book
sheet
induction groove
tur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학
Original Assignee
서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학 filed Critical 서정학
Priority to KR2020020002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939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의 낱장에 책장 넘김수단이 형성되어 책장을 쉽게 파지(把持)하여 넘길 수 있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에 관한 것이다.
상기 책장 넘김수단은 각각의 낱장 측면에 형성되는 파지유도홈, 또는 각각의 낱장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용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A book having a openning device}
본 고안은 일반적인 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의 낱장에 책장 넘김수단이 형성되어 책장을 쉽게 파지(把持)하여 넘길 수 있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책은 여러 형식이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도1에서와 같이 일측에 제본부(4)를 갖으며, 각각의 낱장은 제본부에 의해 제본되어 있어 한권의 책을 구성하게끔 되어있다.
상기 제본부(4)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도 있으며, 또는 스프링이나 바인더로 형성된 것도 있다.
그러나 책장의 다른 면은 대동소이하게 매끈한 평면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은 마찬가지로써 책 상면(2) 이나, 책 하면(3) 또는 책 측면(1) 또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책의 각각의 낱장은 모두 동일한 측면(상면,하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함, 이하 같다)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각각의 낱장의 어느 일측면이 모두 동일하여 전체가 마치 하나의 면과 같으므로 각각의 낱장을 파지하기가 매우 곤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책을 볼 경우에 각각의 낱장을 넘기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독서하는데 큰 불편을 주고있다.
이는 어린이들이 보는 유아용 책이나, 어린이용 책의 경우에는 그 불편이 더욱 크다. 즉, 손끝의 힘이 약한 어린이들에게는 각각의 낱장의 일면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일면과 같이 되어 어느 한 장을 파지하기가 곤란한 것이며, 이는 그림책이나, 동화책과 같은 유아용 또는 아동용 책의 경우와 같이 그 하나의 낱장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경우에는 그 불편이 더욱 심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불편은 많은 책을 읽어야 할 아동기에 자칫 책을 멀리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 시급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자체에 책장 넘김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손쉽게 책장을 넘길 수 있는 책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책
도2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3은 낱장을 벌린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낱장을 벌린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낱장을 벌린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책 측면 1`: 낱장 측면
4: 제본 부 10: 책 측면
100: 낱장 측면 110: 파지유도홈
120: 파지용 턱 150: 파지용 돌출부
본 고안은 낱장의 책장들로 이루어지며 제본부(4)를 갖는 책에 있어서;
책의 일측면에는 책장 넘김수단이 형성되어 각각의 낱장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이를 좀더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전체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3은 각각의 낱장을 조금 벌려놓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책장 넘김수단은 각각의 낱장 측면에 형성되는 파지유도홈(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유도홈은 각각의 낱장에 서로 지그제그형으로(앞·뒤의 책장의 파지유도홈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하나의 파지유도홈의 앞에 위치하는 앞장의 측면단부가 파지용 턱(120)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되면, 어느 한 낱장의 상기 파지용 턱(120)의 뒷면은 그 다음장의 파지유도홈(110)이 위치하게 되어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어린아이라도 용이하게 파지용 턱(120)을 들어올려 책장을 넘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5는 본 실시예의 각각의 낱장을 벌려놓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는 낱장의 책장들로 이루어지며 제본부를 갖는 책에 있어서;
책의 일측면에는 책장 넘김수단이 형성되어 각각의 낱장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파지유도홈은 어느 한장의 낱장에 형성된 파지유도홈(110`)의 뒷장의 파지유도홈은 그 전장의 파지유도홈 보다 약간 하부에 형성되고, 그 뒷장의 파지유도홈은 또한 그 전장의 파지유도홈 보다 약간 하부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계단형식으로 파지유도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는 어느 한 파지유도홈의 하단부에 연접한 부분이 그 다음장의 파지유도홈에 의해 파지용 턱(120`)으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파지용 턱(120`)에 손가락이 걸리게 되어 쉽게 책장을 넘길 수 있게됨은 도2의 경우와 같다.
도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7은 본 실시예의 낱장을 벌려놓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낱장의 책장들로 이루어지며 제본부를 갖는 책에 있어서;
책의 일측면에는 책장 넘김수단이 형성되어 각각의 낱장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책장 넘김수단은 각각의 낱장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용 돌출부(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용 돌출부(150)는 어느 한 낱장의 다음장에 형성된 파지용 돌출부는 그 전장의 파지용 돌출부 보다 더 하부에 형성되고, 그 다음장의 파지용 돌출부는 그보다 더 하부에 형성되어 파지용 돌출부들은 전체적으로 계단식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지용 돌출부(150)를 손가락으로 집어서 책장을 넘길 수 있으므로 역시 용이하게 책장을 넘기며 책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실시예들의 경우에 각각의 책장 넘김수단을 책의 옆면에 구성한 것을 도시하여 예로 들었으나, 이는 예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기 책장 넘김수단은 책의 상면이나,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며, 본 고안의 균등기술범위임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책의 각각의 낱장에 책장 넘김수단을 구비하여 책장을 손쉽게 집어서 넘길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편리하게 독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특히, 어린이들의 독서에 불편을 덜어주어 어릴적 부터 독서에 친해질 수 있게 도와주게 된다.

Claims (6)

  1. 낱장의 책장들로 이루어지며 제본부를 갖는 책에 있어서;
    책의 일측면에는 책장 넘김수단이 형성되어 각각의 낱장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 넘김수단은 각각의 낱장 측면에 형성되는 파지유도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도홈은 각각의 낱장에 서로 지그제그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파지유도홈의 앞에 위치하는 앞장의 측면단부가 파지용 턱(120)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도홈은 어느 한장의 낱장에 형성된 파지유도홈의 뒷장의 파지유도홈은 그 전장의 파지유도홈 보다 약간 하부에 형성되고, 그 뒷장의 파지유도홈은 또한 그 전장의 파지유도홈 보다 약간 하부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계단형식으로 파지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 넘김수단은 각각의 낱장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용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돌출부는 어느 한 낱장의 다음장에 형성된 파지용 돌출부는 그 전장의 파지용 돌출부 보다 더 하부에 형성되고, 그 다음장의 파지용 돌출부는 그보다 더 하부에 형성되어 파지용 돌출부들은 전체적으로 계단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KR2020020002144U 2002-01-23 2002-01-23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KR200272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44U KR200272939Y1 (ko) 2002-01-23 2002-01-23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144U KR200272939Y1 (ko) 2002-01-23 2002-01-23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939Y1 true KR200272939Y1 (ko) 2002-04-20

Family

ID=7308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144U KR200272939Y1 (ko) 2002-01-23 2002-01-23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9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88302S1 (en) File folder
JP2004504175A (ja) しおり
JP4656532B2 (ja) バンド型ファイル用シート封筒
KR200272939Y1 (ko)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KR200410630Y1 (ko) 스탠드 겸용 표지를 구비한 제본물
US3166342A (en) Notebook
JP2010162855A (ja) ブックカバー
KR200358792Y1 (ko) 별책의 결속 구조
KR200337254Y1 (ko) 절취부를 갖는 책장으로 구성한 서적
KR200280350Y1 (ko) 편의성을 강화한 별책(別冊)구조
JP3125291U (ja) 読書用具
JP3166828U (ja) 本文のいずれかが取り換え可能な本
JP3127124U (ja) ブックカバー
JP3119456U (ja) 無線綴じ製本用ポリプロピレン・シート
JP3976748B2 (ja) 箸および箸袋
JPS6210155Y2 (ko)
KR100519587B1 (ko) 북마크
KR200387885Y1 (ko) 파일 바인더
JP2012066523A (ja) 集冊ファイル用別冊、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表紙部及び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綴じ込み方法
JPH09109574A (ja) しおり
JPS59185699A (ja) スライド式フアイル綴具
JP2002254872A (ja) ファイル
JPH0616072U (ja) ポケット付きノート
JPH0616067U (ja) 冊子背部のホルダー
JPH0718862U (ja) 栞兼用ブック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