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83Y1 - 음식물 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83Y1
KR200272083Y1 KR2019990006407U KR19990006407U KR200272083Y1 KR 200272083 Y1 KR200272083 Y1 KR 200272083Y1 KR 2019990006407 U KR2019990006407 U KR 2019990006407U KR 19990006407 U KR19990006407 U KR 19990006407U KR 200272083 Y1 KR200272083 Y1 KR 200272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present
space
fo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394U (ko
Inventor
손계원
김병삼
Original Assignee
손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계원 filed Critical 손계원
Priority to KR2019990006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8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3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83Y1/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음식물을 담아 사용하기 위한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공간부가 형성되게 이중으로 형성하여 열을 차단토록 하여 용기 내부의 뜨거운 음식물의 보온 보지력(保持力)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용기의 외면에 다수의 면부 및 보강돌기를 연속 반복되게 형성하여 용기의 외관을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재질로 되어 각종 음식물을 담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부의 개구부(14)가 내측으로 약간 오므러지고 외주면부에는 외관상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다수의 각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프레싱하여서 되는 면부(13)와 보강돌기(13a)를 갖는 외용기(12)와, 상광하협으로 되는 내용기(11)의 상부가 서로 맞닿는 접촉부위를 심용접하여 공간부(15)가 형성되게 일체화시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음식물 용기{A CONTAINER FOR FOOD AND DRINK}
본 고안은 각종 음식물을 담아 사용하기 위한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공간부가 형성되게 이중으로 형성하여 외부의 열전달 차단으로 용기의 내부의 보온 보지력(保持力)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용기의 외면에 다수의 면부 및 보강돌기를 연속 반복되게 형성하여 용기의 외관을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용기라 함은 밥을 담아 사용하는 밥공기, 국이나 면종류를 담아 사용하는 대접, 많은 양의 밥을 담아 보관하는 밥통, 반찬 등을 담아 사용토록 한 찬기 등으로 분류되어 식사시 용도에 알맞는 음식물을 담아 식탁위에 올려놓고 사용하여 왔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음식물 용기의 대부분은 스테인레스재질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금속재의 음식물 용기는 열전도율이 매우 높아 뜨거운 밥, 국, 면 종류와 같은 내용물을 담아 사용할 때, 용기의 외주면 또한 내용물의 온도와 비슷하게 뜨거워지게 되어 용기를 잡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용기를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잡더라도 이송하는 데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또, 열전도율이 높은 대신에 열손실이 빠르므로서 보온성이 떨어지게 되어 음식물 용기 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금방 식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이러한 금속재로 되는 종래의 음식물 용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만을 담을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를 프레싱하여 제작된 것으로, 이로 인해 용기(20)외관의 미려감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용기의 강성을 감안하여 두께가 두꺼운 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제작하여야 함에 따라 제품코스트가 높아지는 결점 및 재료비를 아끼기 위하여 얇은 재질로 제작할 경우에는 외부충격에 쉽게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도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내,외용기를 공간부가 형성되게 이중으로 중첩시켜 형성하므로서 용기의 보온(保溫) 보지(保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함은 물론 용기내부에 담겨진 뜨거운 내용물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용기의 이동을 간편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용기의 외면에 다수의 면부와 보강돌기를 연속 반복되게 각을 형성하여 용기의 외관을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용기의 원주면에 다수의 면부와 보강돌기에 의해 얇은 두께의 재질로도 강항 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종래 음식물 용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내용기
12 ; 외용기 13 ; 면부
13a ; 보강돌기 14 ; 개구부
15 ; 공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재질로 되어 각종 음식물을 담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부의 개구부가 내측으로 약간 오므러지고 외주면부에는 외관상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다수의 각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프레싱하여서 되는 면부 및 보강돌기를 갖는 외용기와, 상광하협으로 되는 내용기의 상부가 서로 맞닿는 접촉부위를 심용접하여 공간부가 형성되게 일체화시켜 이루어진다.
즉, 용기를 공간부가 형성되게 이중으로 형성하므로서 용기의 보온, 보지(保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의 외면에 다수의 각을 갖도록 프레싱 성형하므로서, 용기의 외관을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하게 창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는 도 1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재질로 되어 각종 음식물을 담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부의 개구부(14)가 내측으로 약간 오므러지고 외주면부에는 외관상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다수의 각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프레싱하여서 되는 면부(13)와 보강돌기(13a)를 갖는 외용기(12)와, 상광하협으로 되는 내용기(11)의 상부가 서로 맞닿는 접촉부위를 심용접하여 내,외용기(11)(12)사이에 공간부(15)가 형성되게 일체화시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음식물 용기(10)는 스테인레스로 프레스 가공되는 밥공기, 대접, 밥통 또는 찬기 등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밥공기, 대접, 밥통 또는 찬기 등과 같은 음식물 용기는 외용기(12) 상부의 개구부를 내측으로 약간 오므린 상태에서 외주연부에다수의 각이 형성되게 프레싱 가공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한 다음, 그 외용기(12)의 내측으로 상광하협의 내용기(11)를 끼우고 그 접면되는 상부를 용접하여서 되는 것으로, 용기(10)의 내,외용기(11)(12)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15)가 형성되게 이중으로 형성되므로서 외용기(12)로는 열전도가 되지 않게 되어 뜨거운 내용물이 담겨져 있더라도 쉽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10)의 표면으로는 열손실이 발생하기 않게 되므로서 용기(10)의 보온(保溫), 보지(保持)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외주연부에 프레싱가공으로 형성되는 면부(13)에 의해 외관상 미려감이 가일층 창출되는 것이다.
이때, 외용기(12)의 상부에 내측으로 약간 오므러진 개구부(14)의 내경과, 그 외용기(12)의 개구부(14)에 끼워지는 내용기(11)의 상부 외경을 서로 일치되게 성형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를 통해 견고한 결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용접작업시 외용기(12)와 내용기(11)의 상단부가 서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용접작업을 할 수 있는 고정효과 또한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용접부위는 외관을 미려하게 연마한후 코팅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용기(12)의 외주연부에 다수의 각이 형성되게 프레싱가공하게 되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프레싱가공되어 형성되는 보강돌기(13a)에 외부충격을 견딜 수 있는 강한 내력(內力)이 발생하게 되어 용기(1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음식물 용기 제작시 사용되는 약 1㎜ 두께의 스테인레스를 다소 얇은 두께로 줄여 제작할 수 있어 재료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얇은 재질의 스테인레스를 사용하므로서 가공이 용이하고 사용시 용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를 공간부를 갖는 상태로 이중으로 형성하므로서 용기의 보온, 보지(保持)효과 및 외용기에 열절달됨을 차단하여 뜨거운 내용물을 담은 용기의 이동을 쉽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용기의 외주연에 다수의 각을 형성하므로서,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한 용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외주연에 형성되는 각에 의해 강한 내력이 발생되므로서 얇은 재질의 스테인레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가벼운 용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용기(11)와 외용기(12)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끼운 후 벤딩 결합하여 공간부(15)를 형성시킨 음식물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4)를 내향 벤팅 형성하고, 상기 외용기(12)의 외면에는 다수의 각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프레싱하여 면부(13)와 보강돌기(13a)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내, 외용기(11, 12)의 상측 개구부(14)는 상호 심용접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용기.
KR2019990006407U 1999-04-19 1999-04-19 음식물 용기 KR200272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07U KR200272083Y1 (ko) 1999-04-19 1999-04-19 음식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407U KR200272083Y1 (ko) 1999-04-19 1999-04-19 음식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94U KR19990033394U (ko) 1999-08-05
KR200272083Y1 true KR200272083Y1 (ko) 2002-04-13

Family

ID=5475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407U KR200272083Y1 (ko) 1999-04-19 1999-04-19 음식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11B1 (ko) 2012-12-26 2014-10-15 (주)중앙진공 고강도 형상 및 고효율성을 가지는 도가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11B1 (ko) 2012-12-26 2014-10-15 (주)중앙진공 고강도 형상 및 고효율성을 가지는 도가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94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25712B1 (no) Varmeisolerende beholder
KR200464363Y1 (ko) 강제체결 방식을 이용한 단열용 삼중용기
KR200272083Y1 (ko) 음식물 용기
ITMI20090005A1 (it) Contenitore in materiale cartaceo per alimenti, ad esempio liquidi, in particolare bevande, quale un bicchiere per bevande calde
KR200287877Y1 (ko) 이중조리용기
CN210471292U (zh) 一种便当盒
KR200376665Y1 (ko) 단열, 보온 기능을 갖는 칼국수 그릇
JPH0352971B2 (ko)
KR200263985Y1 (ko) 음식물 용기
JP3927356B2 (ja) 食品用簡易容器
KR200402191Y1 (ko) 주방용 가열용기
KR200350547Y1 (ko) 조리용기
US2714296A (en) scavullo
KR200175261Y1 (ko) 음식물 용기
KR200166058Y1 (ko) 음식물 용기
KR200359212Y1 (ko) 냄비뚜껑의 결속링구조
KR200258462Y1 (ko) 이중벽을 가진 음식용기
KR200256210Y1 (ko) 일회용 컵용기
JP2019119516A (ja) 二重容器
KR200170209Y1 (ko) 음식물용기
CN218105661U (zh) 一种异形双层金属保温壶
JP3889943B2 (ja) 容器体
CN217023695U (zh) 一种壶体及保温壶
JPH0232981A (ja) 飲食料品用容器
JPH0628610B2 (ja) 金属製二重カップ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