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14Y1 -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14Y1
KR200272014Y1 KR2020020000289U KR20020000289U KR200272014Y1 KR 200272014 Y1 KR200272014 Y1 KR 200272014Y1 KR 2020020000289 U KR2020020000289 U KR 2020020000289U KR 20020000289 U KR20020000289 U KR 20020000289U KR 200272014 Y1 KR200272014 Y1 KR 200272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ands
coupled
arm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철
Original Assignee
차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철 filed Critical 차성철
Priority to KR2020020000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1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회전이 용이한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폰을 통화자의 입과 귀에 닿이게 하여 스피커나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고 양손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통화함에 있어서,
통화자 부근의 고정 구조물에 부착 또는 장착되는 경사진 산형의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윗면 중앙 홈에 삽입 결합하여 상하좌우로 회동되어 방향을 결정하는 관절레바(20)와, 상기 관절레바(20)와 결합하여 상하로 신축이 되어 거리를 조정하는 암(30)과, 상기 암(30)의 중상단부의 지지대(32)에 직각으로 삽입결합하고 휴대폰(1)을 수납 고정하여 상하좌우 미세 회동되는 홀다세트(40)가 결합 구성되어 신축회전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여, 손을 잡고 통화하는 것과 같은 통화품질을 유지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Hand-Free Type Mobile Phone Cradle Device}
본 고안은 차량의 운전석 또는 사무실 책상 부근의 구조물에 거치된 휴대폰을 통화자가 손으로 원하는 위치의 입과 귀에 닿게 하여 양손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이하 핸즈프리라 함) 휴대폰으로 통화하기 위한 신축회전이 용이한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며, IPC 분류로는 B60R 11/02, H04M 1/00 및 M04B 1/38 등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하는 기술은 통화자 부근의 구조물에 부착된 핸즈프리키트에 스피커와 이어폰이 연결되어 통화하는 통칭 "핸즈프리"장치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핸즈프리 장치의 문제점은 하울링(소리가 울리는 현상)과 수신감도저하 등 통화품질저하를 감수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어폰 사용의 번거러움과 구입가격또한 만만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통화자의 입과 귀에 닿이게 하여 스피커나 이어폰 없이 핸즈프리 상태로 통화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통화자 부근의 고정 구조물의 구조에 대응하는 거치장치를 장착시켜 고정시켜야 하고, 사용시 휴대폰을 통화자가 원하는 위치(거리 및 방향)에 오게하여 정지시켜야 하고, 다양한 통상 휴대폰 규격에 대응하는 휴대폰 수납대(홀다)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널리 사용되고 표준화 되어있는 부품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토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설치 위치 및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상태 및 작동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베이스프레임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암 결합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장치의 홀더 세트의 조립, 분해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70)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홀다(80)의 조립,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폰 2. 통화자 3. 운전석 4. 책상
10. 베이스프레임 11. 밑판 12. 마운트 20. 관절레바
21. 레바컵 22. 레바 23. 콘넥터 30. 암
31. 신축관 32. 지지대 33. 손잡이 40. 홀다세트
41. 레버볼트 42. 반구컵 43. 홀다베이스 44. 홀다
45. 탄성편 50. 완충페드 60. 행거 70. 베이스프레임
71. 밑판 72. 수납구 80. 홀다 83. 외측판
85. 걸림잭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내부의 운전석 또는 사무실의 책상 부근의 고정 구조물에 본 고안 장치를 부착 또는 장착하여 고정시키고 통화자가 손으로 수납된 휴대폰을 통화자가 원하는 위치의 입과 귀 부근으로 이동 정지시켜 스피커나 이어폰의 연결없이 양손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통화할 수 있게 하는 신축회전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이하 거치장치라 함)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A), (B)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장치의 설치위치 및 사용예의 사시도로써 운전석(3) 부근의 문짝 도아트림(3a), 프론트 필라(3b), 사이드루프(3c) 및 루프파넬(3d) 부근에 본 거치장치를 설치토록 제공하고 있다. 이는 통화자(2)의 몸의 규격(앉은키 등) 및 장애요인(귀, 눈 등)에 따라 대응함과 각종차량의 내부구조 및 악세사리의 배치 형태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수납된 휴대폰(1)을 손으로 당겨 상기 통화자(2)의 입과 귀에 닿게 하여 양손을 놓은 상태에서 통화한 후 손을 사용해서 설치면의 위치로 되돌아 거치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상태 및 작동 사시도로서, 차량의 문짝 도아트림(3a)에 본 고안의 거치장치를 설치하여 휴대폰(1) 수납전 거치상태와 수납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거치장치는 고정구조물의 설치면에 부착 및 장착되는 기초구조인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후기 암(30)의 중간에서 연결 결합하여 상하좌우로 회전동작(이하 회동이라 함)이 되어 방향을 조절하는 관절레바(20)와, 상하 신축이 직선상으로 되어 거리를 결정하는 암(30)과, 상기 암(30)의 상단부와 직각으로 결합하고 휴대폰(1)을 수납하여 상하좌우로 회동이 되어 방향의 미세조정이 되는 홀다세트(40), 휴대폰(1)을 상기 홀다세트(40)에 끼울때에 상기암(30)의 휨을 방지하는 완충페드(50)와, 상기 고정구조물의 설치면(3a)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암(30)의 상단부를 걸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행거(6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도3은 (A)(B)(C)(D)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요소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4는 (A)(B)(C)는 본 고안 장치의 베이스프레임의 평면(A), 측면(B) 및 정면(C)을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5는 본 고안장치의 암 결합부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6은 (A)(B)(C)는 본 고안장치의 홀다세트(40)의 조립 및 분해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에 의거 상세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3의 (A)와 도4의 (A)(B)(C)에 도시한 베이스프레임(10)은 설치면(부착면)에 사각형에 양끝단 좌우에 반원형의 토(11b)와 체결공(11a)이 평면상으로 형성된 밑판(11)의 저면에, 설치면의 구조물의 재질이 고정볼트(14)로 체결하기 어려운 경우에 접착력이 강한 접착제(11c)가 부설된다. 상기 밑판(11)에서 직방향으로 경사진 산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마운트(12)는 상부 경사면에, 후기의 관절레바(20)를 삽입하여 회동토록 하는 반구형의 공간이 도4(B)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방향 45° 각으로 형성된 마운트홈(12a)과 상기 마운트홈(12a)과 상하로 연속 절개되어 형성된 조임벽(12b)이 도 4(B)의 아래턱(12d) 높이까지 관통 연결되어, 상기 마운트(12)의 양측면 상하의 상기 조임벽(12b)를 관통하는 2단홀(12c)에 삽입 체결하는 조임볼트(13)와 너트(13a)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조임벽(12b)이 신축되어 상기 마운트홈(12a) 전체도 신축되며 상기 관절레바(20)의 회동력을 제어하게 되어 힘을 가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밑판(11)과 마운트(12)는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력이 있는 열가소성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관절레바(20)는 레바컵(21), 레바(22) 및 콘넥터(23)가 직선 결합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과 후기의 암(30)과 중간 결합하여 상하좌우로 회동이 되어 방향을 조절토록 제공된다.
더 상세하게는, 깊숙한 반구형으로 형성된 레바컵(21)은 개구 개선면에 에즈홈(21a)이 형성되어 가압에 의한 레바(22)의 수납과 상기레바의 회동을 원할히 하면서 수납후 상기레바(22)가 이탈되지 않도록 강한 탄성재질로 구성된다.
레바(22)는 일측이 상기 레바컵(21)에 삽입되어 원회전이 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상기 콘넥터(23)에 삽입되는 관통된 나사공(22a)이 형성된 사각바(22b)가 직선상으로 일체 형성된다.
콘넥터(23)은 환봉형태로서 일측이 상기레바(22)의 사각바(22b)를 수납하는 사각홈(23a)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23a) 상하로 상기 레바(22)와 결합하는 나사공(23b)이 형성되고 타측은 후기의 암(30)의 외관(31a)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나사공(23c)이 형성 제공된다.
암(30)은 신축관(31), 지지대(32) 및 손잡이(33) 순으로 직선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어 상하로 신축되어 거리를 결정한다.
신축관(31)은 힘을 가한 신장과 축소가 이루어 지기 위하여 직경이 다른 다겹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관의 하단부는 상단부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어 있고,각 내관의 하단부 외경이 내, 외관의 상단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후 상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휴대폰 무게를 지탱하고 힘을 가한 신축이 되는 끼워마춤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관(31)의 외관(31a) 하단부는 상기 관절레바(20)의 콘넥터(23)를 삽입하여 결합볼트(34, 35)와 너트(34a, 35a)가 체결 결합되며, 내관(31b) 상단부는 후기 지지대(32)의 환봉부를 수납하고 결합볼트(36)와 너트(36a)로 체결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관(31b) 표면을 타각 또는 프레스 가압으로 압착하여 접합턱(37)이 형성되어 결합고정된다. 이하 설명하지 않은 제 1내관(31c) 및 제 2내관(31d)는 각각 끼워 맞춤으로 상기 외관(31a)과 내관(31b)에 결합된다.
지지대(32)는 일측이 상기 신축관(31)의 내관(31b) 상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환봉형의 프러그(32a)가 형성되어 있고, 후기의 홀다세트(40)의 레바볼트(41)를 수납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사각바(32b)가 상기 프러그(32a)에 이어 직선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2)의 타측단은 후기 손잡이(33)를 체결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32c)가 상기 사각바(32b)에 이어 직선 형성된다.
손잡이(33)는 상기 지지대(32)의 상단부 파이프(32c)와 체결 결합되어 상기 암(30)의 신축과 회동시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육각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있다.
홀다세트(40)는 레바볼트(41), 반구컵(42), 홀다베이스(43), 탄성편(45) 및 홀다(44)의 순으로 직선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1)을 수납하여 손으로 상하좌우 미세 회동시켜 통화자(2)의 입과 귀에 위치토록 제공된다.
상세한 구성요소로는, 도3의 (D)와 도6(A) 홀다 베이스 측면 및 정면도와 도6(B)의 홀다(44) 및 탄성편(45)의 분해사시도 와 도6(C)의 휴대폰(1) 수납시의 홀다세트(40)의 결합정면도 를 참고로 설명한다.
레바볼트(41)은 일측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구컵(42)에 삽입시켜 회동되고 중간부는 사각바로 형성되어 상기 암(30)의 지지대(32)의 사각형의 관통된 홈에 삽입되며, 타측단은 나사진 볼트로 일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너트(41a)와 후기의 완충페드(50)와 체결 결합된다.
반구컵(42)은 상기한 관절레바(20)의 레바컵(21)과 동형이나 규격이 작은 형태로 상기한 관절레바(20)의 설명과 같으며 후기의 홀다베이스(43)의 반구홈(43c)에 삽입결합된다.
홀다베이스(43)는 사각형태의 밑면(43a)에서 직방향으로 산형의 돌출된 마운트(43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43b) 상부의 중앙에는 상기 반구컵(42)을 수납하는 반구홈(43c)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홈(43c) 중앙 개구부의 좌우로 연결되어 상기 마운트(43b)의 하단부의 높이까지 절개되어 형성된 조임벽(43d)은, 상기 마운트(43b)의 양측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이단홀(43e)을 통한 조임볼트(46)과 너트(46a)의 체결력에 의해 신축이 되어 상기 반구컵(42)을 조이거나 완화시켜 상기 레바볼트(41)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
L자형으로 일체 형성된 탄성편(45)는 상기 홀다베이스(43) 및 후기의 홀다(44)의 밑판(44a)과 결합되는 체결홈(45a)이 형성된 밑면의 수직면에 도 6의 (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의 돌기부(45b)가 밑면과 평행한 위치로 형성되어 휴대폰(1)의 두께 중간부 높이에 밀착되어 상기 휴대폰(1)에 끼어 넣을 때 탄성력에 의해 잡아주게 된다. 또한 휴대폰(1) 탈거시는 수직의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판 스프링 재질로 구성된다.
휴대폰(1)을 수납하는 홀다(44)는 상기 탄성편(45)와 상기 홀다베이스(43)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44c)이 형성된 밑판(44a)에서 수직으로 된 뒷판(44b)이 L자형으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1)의 하단부(1e)가 상기 뒷판(44b)에 밀착되어 수납토록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하지 아니한 구성요소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용 볼트와 너트로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대로이며, 체결홈의 숫자에 일치하는 볼트와 너트가 제공되며 고정볼트는 너트가 제공되지 않는다.
도7은 베이스프레임(70)의 사시도와 측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설치면이 협소한 경우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보다 콤팩트하게 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사각형의 밑판(71)은 저면에 접착제(71c)가 부설되고 설치면에 고정볼트(74)로 체결키 위한 체결공(71a)과 토(71b)가 양끝단 좌우에 형성된다. 상기밑판(71)으로부터 수직으로 경사져 돌출 형성된 수납구(72)는 요철의 환형으로 벽이 형성되어 내부는 상기 밑판(71)의 아래까지 동공이 되고 상기 수납구(72)의 중간부에는 상기 관절레바(20)의 레바컵(21)의 삽입시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72b)이 원둘레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관절레바(20)의 중심으로부터 45°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레바홈(72a)과 상기 레바홈(72a)과 연속되어 형성된 조임벽(72c)이 형성되어 조임볼트(73)와 너트(73a)의 체결 강도에 의해 상기 조임벽(72c)이 신축되며, 상기 레바홈(72a)도 신축되어 상기 관절레바(20)의 레바컵(21)을 구속시켜 회동을 조절토록 제공된다.
본 고안의 베이스프레임(70)은 탄성을 갖도록 열가소성수지 또는 열경화성수지로 만들어진다.
도8은 (A)(B)(C)(D)는 본고안의 또다른 형태의 홀다(80)의 상세도로서 상기한 홀다세트(40)의 홀다(44)와 탄성편(45)를 대신하여 휴대폰(1)의 모양이 다르고 다양한 규격의 상기 휴대폰(1)을 수납하도록 제공된다. 이에따르면,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80)은 상기의 홀다세트(40)의 홀다베이스(43)와 체결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81a)이 형성된 밑판(81)과 상기 밑판(81)의 후미에 수직으로 형성된 뒷판(82)과 상기 밑판(81)의 양측면에서 수직으로 직립하여 마주보면 평행 형성된 외측판(83)과 내측판(8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판(83)과 내측판(84)에 후기의 걸림잭(85)을 고정 결합키 위한 잭홈(83b)이 양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판(83)의 잭홈(83b)의 가장자리에는 후기 잭카바(85d)와 체결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83a)이 형성되어 있다.
도8의 (B)(C)는 걸림잭(85)의 조립 및 분해사시도로서, 잭박스(85b)에 잭(85a)이 삽입 수납되고 압축코일스프링(85c)를 밀착시켜, 상기 외측판(83) 및 내측판(84)의 잭홈(83b)을 통해 밀어넣은 후 잭카버(85d)를 상기 외측판(83)에 밀착한 후 결합볼트(86)와 너트(86a)로 외측판(83)의 나사공(83a)을 통해 체결 결합된다. 결합된 상기 걸림잭(85)은 상기 내측판(84) 안쪽으로 돌출되어 휴대폰(1)을 상방에서 밀어넣으면 상기 압축스프링(85c)의 탄성에 의해 상기 휴대폰(1)의 양측면 상하에서 구속시켜 상기 휴대폰(1)을 잡아 주도록 제공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좌우 회동이 되는 관절레바(20)와 상하직선 신축 되는 암(30)과, 다양한 규격의 휴대폰(1)을 수납하여 상하좌우 미세회동되는 홀다 세트(40) 및 홀다(44, 80)와, 고정 구조물의 다양한 설치면에 대응하여 장착 또는 부착되는 베이스프레임(10, 70)이 결합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방향과 거리를 조정하여 통화자(2)가 원하는 위치에서 휴대폰(1)으로 스피커나 이어폰 없이 차량운행중 또는 사무실에서의 집무시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폰을 손으로 잡고 통화하는 것과 같은 통화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한 구성요소가 표준화 되어 있고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부품으로 구성된 것이 많아 산업이용상 저렴한 비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Claims (5)

  1. 차량운행중 또는 사무실 집무시 휴대폰(1)을 통화자(2)의 입과 귀에 위치케 하여 스피커와 이어폰의 별도연결 없이 양손을 놓은 상태로 통화함에 있어서,
    고정구조물의 설치면에 부착 또는 장착되는 접착제가 부설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밑판(11)과 상기 밑판(11)에서 수직방향으로 산형으로 경사진 마운트(12)가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마운트(12)에 삽입결합하여 상하좌우 회동이 되고 방향을 조정하는 관절레바(20)와,
    상기 관절레바(20)와 결합하고 다겹관으로 구성되어 상하로 직선신축이 되어 거리를 조정하는 암(30)과,
    상기 암(30)의 상단부에 직각으로 결합되고, 휴대폰(1)을 수납하여 상하좌우 회동되어 방향을 미세조정하는 홀다세트(40)와,
    상기 휴대폰(1)의 수납시 가압에 의한 상기 암(3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페드(50)가 결합되어 신축회전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사각 밑판(11)의 양측단 좌우에 반원형의 토(11b)가 형성되어 굴곡진 설치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다른 형태로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71)에서 돌출형성된 수납구(72)에, 상기 관절레바(20)을 삽입결합하는 레바홈(72a)과 걸림턱(72b)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구(72) 내부는 동공이 져있어 콤팩트하게 제작토록 하고 협소한 설치면에 부착 또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다세트(40)의 홀다(44)의 다른 형태로 도8의 (A)(B)(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코일스프링(85c)이 내장된 걸림잭(85)이 L자형 밑판(81)의 외측판(83)과 내측판(84)에 결합되어 다양한 규격의 휴대폰을 수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30)을 걸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면에 별도로 부착 체결되는 행거(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KR2020020000289U 2002-01-04 2002-01-04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KR200272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89U KR200272014Y1 (ko) 2002-01-04 2002-01-04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89U KR200272014Y1 (ko) 2002-01-04 2002-01-04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14Y1 true KR200272014Y1 (ko) 2002-04-12

Family

ID=7311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289U KR200272014Y1 (ko) 2002-01-04 2002-01-04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5028B (en) Attachment device for mobile phone or the like
US20100276315A1 (en) Universal Ear-Bud Holder
US20090090757A1 (en) Cradle for automobile
US5689558A (en) Telephone handset holder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KR200272014Y1 (ko) 핸즈프리형 휴대폰 거치장치
KR100659389B1 (ko) 다용도 거치대
KR20120124742A (ko) 흡착구
US202101389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device securing apparatus
KR20120124740A (ko) 휴대기기 거치대
US7566036B1 (en) Apparatus for securely mounting a listening device within a vehicle
US20120241580A1 (en) Apparatus for holding handheld devices
KR20100129880A (ko) 휴대기기용 거치대
JP2005291404A (ja) 多目的固定具
KR100633553B1 (ko)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KR101044749B1 (ko) 벽걸이 거치대
CN210310187U (zh) 一种移动终端固定装置
JP3125821U (ja) 車載用携帯電話器卓上ホルダー支持装置
KR200210962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278978Y1 (ko) 핸즈프리 거치대
CN211624706U (zh) 多功能的小型电子设备支架
CN221728359U (zh) 一种手机支架
KR100540398B1 (ko) 휴대폰 거치대
CN218301440U (zh) 一种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