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977Y1 -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 Google Patents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77Y1
KR200271977Y1 KR2020010039888U KR20010039888U KR200271977Y1 KR 200271977 Y1 KR200271977 Y1 KR 200271977Y1 KR 2020010039888 U KR2020010039888 U KR 2020010039888U KR 20010039888 U KR20010039888 U KR 20010039888U KR 200271977 Y1 KR200271977 Y1 KR 200271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bar
support
guardrai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원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9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7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상에 횡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충격흡수바의 내측에 보강용 와이어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중으로 반감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면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상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되는 중공형의 충격흡수바; 상기 충격흡수바 내부에 설치된 보강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Guardrail structure equipment of structure elasticity high}
본 고안은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상에 횡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충격흡수바의 내측에 보강용 와이어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중으로 반감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면 일측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은 차량운행 중 차량의 과속 또는 운전자의 실수로 인해 차량이 도로변을 이탈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급커브길 및 낙석지역, 낭떨어지 지역 등에는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현재 고속도로 및 시내 일부 위험구간에도 국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도로용 가드레일은, 하단부가 노면에 매설되는 지주(Post)와, 파형단면으로 성형되어 지주의 일측 또는 양쪽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지주 및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이같은 가드레일은 통상적으로 0.5-1m의 높이로 설치되어 지는데, 상기 가드레일의 높이가 이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안전상의 문제와 과도한 설치비 등 여러가지 제반 문제점이 병행된다.
하지만 상기 가드레일이 0.5-1m의 높이로 제작 설치될 경우, 상기 지주상에 설치되는 지지판이 운전자의 주변시야를 대부분 가리게 됨에 따라, 주변 경관을 제대로 관찰할 수 없었던 것이며, 이같은 상태로 운전자가 장시간 주행하게 되면, 상기 운전자는 같은 길을 반복적으로 운행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어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급커브길 및 낙석 지역, 낭떨어지 지역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은 일반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 보다 더욱 보강된 강성을 요구하고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특성은 외면한체 외관상의 시설에 치중한 나머지 대형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예를들어 운전자의 실수로 급커브길 및 낭떨어지 지역에 설치된 가드레일과 정면으로 심하게 충돌하게 될 경우, 상기 지지판이 차량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충분히 완충시키지지 못함으로써, 가드레일을 파손시키면서 도로 외측으로 이탈하게 되거나, 견고한 구조물인 경우 미흡한 완충으로 인해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신공항 고속도로에서 도로 및 철도의 병행구간은 S급의 성능요건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으며, S급은 충돌조건 14ton, 80km/hr, 15°에서 최대처짐이 1.1m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고현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살펴보면, S급 충격에 대한 가드레일의 대응력은 현저히 부족하게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많은 차량의 탑승자들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 및 신체장애를 겪게 될 수 있는 위험에 직면해 있는 것이며, 보다 향상된 강도와 완충력를 갖는 가드레일의 설치가 시급한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주상에 보강용 와이어가 내설된 복수개의 충격흡수바를 이격 설치하여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지주 최하단에 설치된 충격흡수바 사이에 완충용 중공관을 설치하여 소형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 결합단면도.
도 3은 지주 최하단에 설치된 충격흡수바 사이에 완충용 중공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 20: 충격흡수바, 22: 만곡부, 24: 연결바, 30: 고정수단, 40: 보강용와이어, 42: 와이어클립, 50: 완충용중공관.
이와 같은 구성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로면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상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되는 중공형의 충격흡수바; 상기 충격흡수바 내부에 설치된 보강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상기 지주의 최하단에 설치된 충격흡수바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중공관이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 결합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로면 일측에 설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연결 설치되는 충력흡수바(20)와 상기 충격흡수바(20)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보강용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도로면 일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급커브길 및 낙석지역, 낭떨어지 지역 등에서는 "H" 형상의 철재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 직진 도로에서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같은 지주(10)는 그 하단이 지면과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 일부분이 약 1420mm 정도로 매입되며, 지상으로는 약 780mm정도 돌출되도록 설치하되,각 지주간의 간격은 지역에 따라 편차를 감안하여 약 2000mm 정도 등간격을 가지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주가(10)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지주(10) 하단에 장방형의 플랜지부를 형성한 후, 지면과 볼트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렇게 설치된 지주(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 자형의 중공형으로 제작된 충격흡수바(20)가 볼트 등의 고정수단(30)에 의해 각각 설치된다. 즉, 운전자의 실수로 인해 차량이 가드레일의 충격흡수바(20)와 충돌하게 되면, 차량의 범퍼 부위가 충격흡수바의 만곡부(22)와 가장 먼저 부딪히게 되며, 상기 충격흡수바(20)는 차량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바(20)에 가해지는 충격이 클 경우, 상기 충격흡수바(20)가 심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바(20) 내측에 보강용 와이어(40)가 내설된다. 이같은 보강용 와이어(40)는 가격 및 설치의 용이성,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 등 여러가지 조건등을 감안할 때, 직경 Ø12mm - Ø14mm로 구성된 와이어로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용 와이어(40)의 외주연에는 와이어클립(42)이 설치되어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보강용 와이어(40)가 충격흡수바(20) 내부와 부딪히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같은 와이어클립(42)은 독립적으로 상기 충격흡수바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나, 설치상에 용이성과 결합력을 감안할때, 상기 고정수단(30)과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주(10)에 다단으로 고정되는 상기 충격흡수바(20)는 끊김없이 연속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균일한 완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각의 충격흡수바(20) 단부에는 연결바(24)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24)와 충격흡수바(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볼트가 상기 충격흡수바(20)를 관통하면서 연결바(24)와 체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로면 일측면을 따라 설치된 지주(10)에 각각 이격된 상태로 충격흡수바(20)가 설치 고정되며, 상기 충격흡수바(20) 내부에는 안전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보강용 와이어(40)가 설치됨으로써, 급커브길 또는 낙석 지역, 낭떨어지 지역 등에서도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상기 보강용 와이어(40)에 의해 이중으로 반감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차량이 상기 가드레일에 충돌시, 차량의 범퍼는 지주(10)에 설치된 충격흡수바(20)에 가장 먼저 충돌하게 된다. 그러면 하나의 충격흡수바(20)가 완전히 휘어져 완충기능을 상실한 후, 다른 충격흡수바(20)가 차량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격흡수바(20)는 최소의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더욱 보강된 완충성에 의해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급커브길과 같이 한정된 전방 시야구간에서도 각각의 충격흡수바(20) 사이 공간을 통해 운전자의 전방시야가 최대한 확보됨으로써, 더욱 안정된 상태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충격흡수용 중공관(50)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로서, 지주(10)와 상기 지주의 최하단에 설치된 충격흡수바(20) 사이에는 소형차량의 충돌시, 소형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완충용 중공관(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은 완충용 중공관(50)은 상기 지주(10)에 밀착되는 접촉면 보다 상기 충격흡수바(20)에 밀착되는 접촉면이 크게 제작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바(20)에 밀착된 넓은 접촉면을 통해 차량충돌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소형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의 최하단에 설치된 충격흡수바 사이에 완충용 중공관(50)을 설치하게 되면, 차량충돌시 충격흡수바(20)에 의해 충격이 1차적으로 완충된 후, 상기 충격흡수바(20) 내부에 설치된 보강용 와이어(40)에 의해 2차적으로 완충되며, 상기 완충용 중공관(50)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3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소형차량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은 지주상에 보강용 와이어가 내설된 복수개의 충격흡수바를 이격 설치하여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지주 최하단에 설치된 충격흡수바 사이에는 완충용 중공관이 설치됨으로써, 소형 차량 운전자의 충돌시에도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킴에 따라, 소형차량 운전자들도 안전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도로면 일측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상에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되는 중공형의 충격흡수바와; 상기 충격흡수바 내부에 설치된 보강용 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와이어는, 상기 충격흡수바 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클립으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최하단에 설치된 충격흡수바 사이에는, 완충용 중공관이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중공관은, 상기 지주에 밀착되는 접촉면 보다 상기 충격흡수바에 밀착되는 접촉면이 크게 제작된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성 구종의 가드레일 구조물.
KR2020010039888U 2001-12-24 2001-12-24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KR200271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88U KR200271977Y1 (ko) 2001-12-24 2001-12-24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88U KR200271977Y1 (ko) 2001-12-24 2001-12-24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977Y1 true KR200271977Y1 (ko) 2002-04-13

Family

ID=7307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888U KR200271977Y1 (ko) 2001-12-24 2001-12-24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45B1 (ko) * 2012-04-18 2012-09-20 신태은 충격흡수형 강재 난간레일
KR101183543B1 (ko) * 2010-06-23 2012-09-2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개방형 중앙분리대
KR101191896B1 (ko) * 2011-12-30 2012-10-16 안은희 차량용 방호울타리
KR20170116578A (ko) * 2016-04-08 2017-10-19 신광에코로드이엔씨 주식회사 풍하중 저감 및 차량추락방지용 2차 방호난간 기능을 겸비한 방풍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43B1 (ko) * 2010-06-23 2012-09-2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개방형 중앙분리대
KR101191896B1 (ko) * 2011-12-30 2012-10-16 안은희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1182345B1 (ko) * 2012-04-18 2012-09-20 신태은 충격흡수형 강재 난간레일
KR20170116578A (ko) * 2016-04-08 2017-10-19 신광에코로드이엔씨 주식회사 풍하중 저감 및 차량추락방지용 2차 방호난간 기능을 겸비한 방풍벽
KR102007296B1 (ko) * 2016-04-08 2019-08-06 신광에코로드이엔씨 주식회사 풍하중 저감 및 차량추락방지용 2차 방호난간 기능을 겸비한 방풍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004B2 (en) Hybrid energy absorbing reusable terminal
EP0704010B1 (en) Slotted rail terminal
US20070063179A1 (en) A weakened guardrail mounting connection
US6234437B1 (en) Flexible support
US20070063178A1 (en) Guardrail flange protector
KR200271977Y1 (ko) 고탄성 구조의 가드레일 구조물
JP3577497B2 (ja) 道路用防護装置
KR100797863B1 (ko) 방호 울타리
US20040079932A1 (en) Shock-absorbing guardrail device
EP1861548B1 (en) Impact resisting post
US20070063177A1 (en) Yielding post guardrail safety system
KR20220048795A (ko) 가드레일
GB2450352A (en) Wire rope vehicle restraining fence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101938143B1 (ko) 반강성 케이블 방호울타리 및 이에 사용되는 비대칭 블록아웃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KR100542541B1 (ko) 도로 가드레일의 케이블 장착구조
KR101764833B1 (ko) 중앙분리대 및 노측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가드레일의 슬라이딩 지지구조물
KR20040086115A (ko) 가드레일의 충격흡수 구조체
KR100465922B1 (ko) 도로에서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20017544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100478897B1 (ko) 가드레일
KR100515988B1 (ko) 방호책용 완충지주
JP2003119738A (ja) 緩衝式ガード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