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701Y1 -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701Y1
KR200271701Y1 KR2020020000510U KR20020000510U KR200271701Y1 KR 200271701 Y1 KR200271701 Y1 KR 200271701Y1 KR 2020020000510 U KR2020020000510 U KR 2020020000510U KR 20020000510 U KR20020000510 U KR 20020000510U KR 200271701 Y1 KR200271701 Y1 KR 200271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bridge
motor
cag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식
Original Assignee
김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식 filed Critical 김인식
Priority to KR2020020000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701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지(15)에 고정설치되는 모터(18)와; 상기 모터축에 결합구비되는 피니언(19)과; 주탑(12) 내부에 그 승강공간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19)이 치합되는 레크(20)와; 상기 모터(18)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레크(20) 배면에 밀착지지되어 레크(20)와 피니언(19)의 치합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1)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모터(18)가 구동되면 피니언(19)이 회전되면서 레크(20)를 따라 승강되므로 모터(18)의 구동력에 의해 케이지(15)가 승강되며, 이때 지지롤러(21)가 레크(20)와 피니언(19)의 치합을 견고히 지지하므로 케이지(15)가 일측으로 기울지 않고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elevator for bridge inspection}
본 고안은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장교(斜張橋), 현수교와 같이 교량을 지지해 주는 대형 주탑을 편리하게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장교는 강물 흐름의 주선(主線)에 대하여 다리의 축선(軸線)이비스듬하게 이루어진 다리로써, 2차 대전 후에 독일에서 실용화되었다.
사장교는 교각(橋脚)없이 교대(橋臺)만으로 세워지는데, 양쪽에 세워진 주탑 사이에 케이블을 비스듬하게 걸어 상판을 지탱하게 한다.
이러한 다리는 유속이 빠르거나 수심이 깊은 곳의 400-500m 정도의 다리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모양이 보기 좋고 경제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사장교 공법을 이용한 다리로는 서울의 88 올림픽 대교와, 여수의 돌산대교가 있다.
한편, 사장교는 구조적으로 그 구성 부재 중 어떤 한 부분이 취약하거나 변형되면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 활동을 통하여 교량 구성 부재의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그 원인을 추정하고 해결을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만 한다.
교량의 유지관리는 지속적으로 "점검 →분석 →보수, 보강 및 예방 계획 →보수, 보강 및 시설물 설치 →점검"의 순서로 수행하는데,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기술적이고도 체계적인 관리를 요하는 점검 및 분석의 단계이다.
분석의 단계는 안전도를 판단하고 보수, 보강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써, 기술자의 숙련도에 좌우되는 중요한 단계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는 것이 점검의 단계인 것이다. 따라서 교량 점검의 단계는 교량 유지 보수를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자가 교량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여러 위치에 설치된 각종 센서 등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육안을 통한 직접적인점검 과정이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와 같이 기술자가 교량 전체를 육안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가 주탑(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일단이 주탑(1) 내부의 상단에 고정된 와이어로프(5)와, 주탑(1) 내부의 양측면에 상하로 부착된 한쌍의 레일(4)과, 주탑(1) 내부를 작업자 또는 화물을 승강시켜 주는 케이지(2)와, 와이어로프(5)의 타단이 고정되어 회전하는 릴(6)과, 릴(6)을 구동시켜 케이지(2)를 승강시켜 주는 구동장치(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술자는 케이지(2)에 승차한 후 조작스위치를 작동시켜 구동장치(3)를 가동시키면 릴(6)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5)가 김겨지므로 케이지(2)가 상승하게 되며, 그 반대로 작동시켜 케이지(2)를 하강시키므로 기술자는 교량 각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점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는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한쌍의 와이어로프(5) 중 하중이 좀더 걸리는 한쪽의 와이어로프(5)가 더 늘어나게 되어 케이지(2)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기운 상태에서 승강되므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간 경과하여도 케이지가 일측으로 기울지 않도록 한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는,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케이지에 고정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결합구비되는 피니언과; 주탑 내부에 그 승강공간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이 치합되는 레크와; 상기 모터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레크 배면에 밀착지지되어 레크와 피니언의 치합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되면 피니언이 회전되면서 레크를 따라 승강되므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케이지가 승강되며, 이때 지지롤러가 레크와 피니언의 치합을 견고히 지지하므로 케이지가 일측으로 기울지 않고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도2는 사장교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 내지 도5는 본 고안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주탑 15 ; 케이지
16 ; 와이어로프 18 ; 모터
19 ; 피니언 20 ; 레크
21 ; 지지롤러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에서, 사장교의 교각(11) 상부에는 주탑(12)이 설치되고 이 주탑(12) 상부와 다리(13) 사이에는 다수의 케이블(14)로 연결된다.
주탑(12) 내부에는 본 고안의 특징인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가 설치되는바, 도3은 본 고안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의 요부를 보이는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5는 그 평면도로써, 이는, 주탑(12)의 내부에는 케이지(15)가 구비되며, 이 케이지(15)에 모터(18)가 고정설치된다.
이 모터(18)의 축에는 피니언(19)이 결합구비되어 있고, 피니언(19)은 레크(20)에 치합되어 있는바, 이 레크(20)는 주탑(12) 내부에 그 승강공간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어 모터(18)가 구동되어 피니언(19)이 회전될시케이지(15)가 레크(20)를 따라 승강되는 것이다.
또한 모터(18) 일측에는 지지롤러(21)가 고정설치되어 있는데, 이 지지롤러(21)는 공회전되며 레크(20) 배면에 밀착지지되어 있어, 레크(20)와 피니언(19)의 치합을 더욱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피니언(19)이 레크(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모터(18)의 구동시 피니언(19)이 레크(20)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7은 케이지(15)가 와이어로프(16)를 따라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보조롤러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18)를 구동시키면 피니언(19)이 회전되며, 모터(18)와 피니언(19)은 케이지(15)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19)의 회전시 케이지(15)가 레크(20)를 따라 승강되며, 이때 공회전되는 지지롤러(21)는 케이지(15)의 승강시 레크(2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케이지(15)가 레크(20)와 피니언(19)의 치합 및 이들의 작동으로 승강되므로 케이지(15)가 일측으로 기울지 않으며, 레크(20) 배면의 지지롤러(21)가 레크(20)와 피니언(19)의 결합을 견고히 하므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에 의하면, 모터(18)가 구동되면 피니언(19)이 회전되면서 레크(20)를 따라 승강되므로 모터(18)의 구동력에 의해 케이지(15)가 승강되며, 이때 지지롤러(21)가 레크(20)와 피니언(19)의 치합을 견고히 지지하므로 케이지(15)가 일측으로 기울지 않고 항상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케이지(15)에 고정설치되는 모터(18)와;
    상기 모터축에 결합구비되는 피니언(19)과;
    주탑(12) 내부에 그 승강공간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19)이 치합되는 레크(20)와;
    상기 모터(18)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레크(20) 배면에 밀착지지되어 레크(20)와 피니언(19)의 치합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1)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KR2020020000510U 2002-01-08 2002-01-08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KR200271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10U KR200271701Y1 (ko) 2002-01-08 2002-01-08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10U KR200271701Y1 (ko) 2002-01-08 2002-01-08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701Y1 true KR200271701Y1 (ko) 2002-04-10

Family

ID=7311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510U KR200271701Y1 (ko) 2002-01-08 2002-01-08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7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232B1 (ko) 2012-11-02 2013-03-15 해평토 주식회사 기계식 자동인상 장치와 안전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교량상판 승강장치
KR101301412B1 (ko) 2011-09-22 2013-08-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자동 제어형 감속장치
KR102188045B1 (ko) 2020-05-11 2020-12-08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안전점검장치
KR102537075B1 (ko) * 2023-02-28 2023-05-30 (주)승조이앤씨 교량용 주탑의 거치식 내부점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412B1 (ko) 2011-09-22 2013-08-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자동 제어형 감속장치
KR101243232B1 (ko) 2012-11-02 2013-03-15 해평토 주식회사 기계식 자동인상 장치와 안전스토퍼를 이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교량상판 승강장치
KR102188045B1 (ko) 2020-05-11 2020-12-08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안전 진단 및 점검 시 교량 안전점검장치
KR102537075B1 (ko) * 2023-02-28 2023-05-30 (주)승조이앤씨 교량용 주탑의 거치식 내부점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15846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montieren einer Ölplattform
CN205591111U (zh) 悬臂式可移动型桥梁底部修补用平台装置
CN202226493U (zh) 一种电梯下机械阻止装置
KR200271701Y1 (ko)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CN112942790A (zh) 一种悬挑爬升装置和悬挑结构的施工方法
TWI486300B (zh) 一種升降式物料平台及其使用方法
KR100823859B1 (ko) 고가도로 하부 면 점검 및 보수작업 방법 및 그 점검 및보수장치
CN211010468U (zh) 一种桥梁墩柱检测装置
CN111236613A (zh) 一种建筑施工用防护平台及其使用方法
KR200148505Y1 (ko)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CN215407312U (zh) 一种悬挑爬升装置
CN113501405B (zh) 一种矿井智能检修平台
CN215828131U (zh) 一种矿井智能检修平台
CN109319686A (zh) 一种导轨式升降系统
CN212582683U (zh) 桩基孔口施工设备
CN113653376A (zh) 一种舞台升降台
CN113718724A (zh) 一种更换弧形闸门侧止水橡胶的操作平台及其施工方法
CN106365017A (zh) 智能升降家用梯
CN2499442Y (zh) 升降式安全出入装置
CN115262484B (zh) 船舶拦阻系统
JP3289560B2 (ja) 歩道橋用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CN211973108U (zh) 基于区块链溯源的桥梁工程智慧检测移动平台
CN112844263B (zh) 一种大型化工塔内构件拆装方法
CN216206489U (zh) 一种可拼装的桥梁检测用检测平台
CN220133540U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卸料平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