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905Y1 -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 Google Patents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905Y1
KR200270905Y1 KR2020010039925U KR20010039925U KR200270905Y1 KR 200270905 Y1 KR200270905 Y1 KR 200270905Y1 KR 2020010039925 U KR2020010039925 U KR 2020010039925U KR 20010039925 U KR20010039925 U KR 20010039925U KR 200270905 Y1 KR200270905 Y1 KR 200270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ody portion
precious metal
groov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우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넷
Priority to KR2020010039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905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귀금속의 외면에 다수 개의 돌기부 등을 형성하여 그 문양의 식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을 갖는 귀금속이나 금속 등이 채워져 문양을 구성하는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의 반사를 저감시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PERSONAL ORNAMENTS STRUCTURE FOR DISTINCT FIGURE}
본 고안은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귀금속에 돌출부 등을 형성하여 그 문양의 식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나 목걸이, 귀걸이 등과 같은 각종 귀금속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일반적인 주조법에 의하여 소정 형상을 갖는 귀금속의 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에는 원하는 종류 및 형상을 갖는 보석이나 각종 장식물을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하여 부착시킨 후, 마감작업을 통하여 각종 귀금속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또한, 근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몸체를 구성한 후, 용접 등의 수작업을 통해 귀금속을 제조할 시에 발생되는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과, 생산공정 및 생산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 및, 상품의 불균일에 따른 품질 저하의 문제점 등과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단 주조의 과정을 거쳐 각종 귀금속을 생산하는 방법이 사용되게 되었다.
한편, 상기 다단 주조법에 따라 제조된 귀금속은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 등을 갖는 금속이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문양이 채워져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문양홈은 각종 귀금속에 신미감을 더해 줄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며, 본 고안에 도시된 반지 이외에도 목걸이나 귀걸이, 팔찌 등과 같은 각종 장신구에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1a 내지 도 1i는 다단 주조법에 의해 귀금속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먼저 다단 주조법에 따른 귀금속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는 지지대가 형성된 모형(12)을 제작한 후, 상기 모형(12)을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고무액 등을 부어 경화시키고 경화된 고무틀을 절개하므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홀(22a)이 형성된 제 1주형틀(22)이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주형틀(22)을 제작한 후에는 상기 모형(12)의 외주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문양홈(32)을 갖도록 상기 모형(12)을 변형시키고, 상기와 같이 문양홈(32)을 갖는 모형(12)을 제조한 후에는 상기 모형(12)을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고무액 등을 부어 경화시키고 경화된 고무틀을 절개하여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양형성홈 (42a)이 형성된 제 2주형틀(42)을 제작한다.
또한, 상기 제 2주형틀(42)이 제작되면 상기 제 2주형틀(42)에 왁스액을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상기 제 2주형틀(42)을 분리시키므로서 도 1e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 1왁스모형(52)이 제조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제 1왁스모형(52)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조법으로 주조를 행함으로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문양홈(62a)을 형성된 몸체부(62)가 제조되도록 한다.
또, 상기와 같이 장신구의 몸체부(62)가 제조된 후에는 상기 몸체부(62)를 상기 제 1주형틀(22) 내부에 삽입하고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주형틀(22) 내에 왁스액을 주입하게 되면 상기 몸체부(62)에 형성된 문양홈(62a)이 상기 왁스액에 의해 채워지게 되고, 이를 경화시킴에 따라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2)의 문양홈(62a)에 왁스가 채워진 제 2왁스모형(72)이 상기 장신구의 몸체부(62)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왁스모형(72)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조법으로 주조를 행하고, 상기 문양홈(62a)에는 상기 장신구의 몸체부(62)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 등을 갖는 금속이나 귀금속 등을 채움으로서,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2)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종류의 재질 및 색상 등을 갖는 금속이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문양(82)을 갖는 장신구가 제조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는 그 외면이 고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그 외면에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많은 양의 반사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문양의 식별성이 떨어지게 되며, 특히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경계부분의 식별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어 귀금속의 신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귀금속의 외면에 다수 개의 돌기부 등을 형성하여 그 문양의 식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을 갖는 귀금속이나 금속 등이 채워져 문양을 구성하는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의 반사를 저감시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을 갖는 귀금속이나 금속 등이 채워져 문양을 구성하는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요입홈이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의 반사를 저감시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을 갖는 귀금속이나 금속 등이 채워져 문양을 구성하는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외면은 다수 개의 돌출부 및 요입부를 통하여 요철지게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의 반사를 저감시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다단 주조법에 의하여 각종 문양이 형성되도록 제조된 귀금속의 외면에 돌기부나 요입홈 등을 형성하므로서, 조사되는 빛의 반사가 저감되어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i는 다단 주조법에 의해 귀금속이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J-J'선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K-K'선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L-L'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2: 몸체부, 62a: 문양홈,
82: 문양, 90: 돌기부,
92: 요입홈, 94: 돌출부,
96: 요입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J-J'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단 주조법에 의해 소정 문양(8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각종 장신구의 몸체부(62) 및 문양(82) 외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90)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62)에 문양(82)이 형성된 각종 귀금속의 외면에 돌기부 (90)를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귀금속의 몸체부(62)나 문양(82) 중 일측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돌기부(90)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돌기부(90)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K-K'선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L-L'선 단면도로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2) 및 문양(82)의 외면에 상기 돌기부를 대신하여 다수 개의 요입홈 (92)을 형성하거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2) 및 문양 (82)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돌출부(94) 및 요입부(96)를 각각 구성하여 그 외면이 요철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신구의 몸체부(62) 및 문양(82) 외면에 상기 돌기부(90)나 요입홈(92), 돌출부(94) 및 요입부(96)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제 1주형틀 및 제 2주형틀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부(90)나 요입홈(92), 돌출부(94) 및 요입부(96) 등과 대응하도록 다수 개의 홈이나 돌기 등을 구성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다단 주조법에 의해 제조된 각종 귀금속의 외면에 스크래치 작업 등과 같은 각종 가공작업을 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2a, 도 2b 내지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문양(82)이 형성된 귀금속의 외면을 다수 개의 돌기부(90)나 요입홈(92) 또는 돌출부(94)나 요입부(96) 등을 통하여 요철지게 형성한 후, 상기 귀금속을 이용자가 착용하게 되면 상기 귀금속의 외면에 조사되는 빛의 반사 량이 상술한 돌기부(90)나 요입홈(92), 돌출부(94) 및 요입부(96) 등에 의해 저감되게 되므로, 상기 각종 귀금속의 몸체부(62)와 문양(82) 등의 경계부분이 돋보이게 됨과 더불어,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다단 주조의 과정을거쳐 제조된 각종 귀금속의 외면에 다수 개의 돌기부나 요입홈 등을 형성하므로서, 귀금속의 외면에 조사되는 빛의 양이 저감되어 귀금속에 형성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각종 귀금속의 신미감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음과 더불어, 귀금속 착용자의 만족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을 갖는 귀금속이나 금속 등이 채워져 문양을 구성하는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의 반사를 저감시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2.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을 갖는 귀금속이나 금속 등이 채워져 문양을 구성하는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외면에는 다수 개의 요입홈이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의 반사를 저감시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3. 소정 형상의 문양홈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홈에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귀금속과 다른 재질 및 색상을 갖는 귀금속이나 금속 등이 채워져 문양을 구성하는 각종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문양의 외면은 다수 개의 돌출부 및 요입부를 통하여 요철지게 형성되어 조사되는 빛의 반사를 저감시켜 서로 다른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KR2020010039925U 2001-12-24 2001-12-24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KR200270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25U KR200270905Y1 (ko) 2001-12-24 2001-12-24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925U KR200270905Y1 (ko) 2001-12-24 2001-12-24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905Y1 true KR200270905Y1 (ko) 2002-04-06

Family

ID=7311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925U KR200270905Y1 (ko) 2001-12-24 2001-12-24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9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415B1 (ko) 2005-10-04 2007-01-16 이승면 액세서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415B1 (ko) 2005-10-04 2007-01-16 이승면 액세서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75523B2 (ja) 装身具の製造方法
US6493912B1 (en) Stone setting methods
SK67694A3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casted and set pieces of jewelry
US7181930B2 (en) Multiple configuration ring
KR200270905Y1 (ko) 문양의 식별성이 향상되는 장신구 구조
CN1751623A (zh) 生产具有金属或者金属合金基体的制品的方法
EP1127510B1 (en) Accessory coatable with nail polish
JPH091269A (ja) 金属製リングの表面加飾方法
US20020023348A1 (en) Metal ornamentation technique
JPH05269011A (ja) 装身具の装飾方法
KR100658194B1 (ko) 중공형 반지의 제조방법
KR100332405B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4543U (ko) 지문이 형성된 장신구
KR100620417B1 (ko)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KR200392456Y1 (ko) 장신구를 이루는 보석고정용 홀더를 갖춘 원본프레임
GB238096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jewellery
JP5901683B2 (ja) 装身具の装飾方法
JP7469784B2 (ja) 金属製装身具
JP4612101B1 (ja) フープタイプのイヤリング又はピア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89132Y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KR102437443B1 (ko) 저중량 반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3070513A (ja) 装飾品の製造方法
KR100266104B1 (ko) 원심 주조를 이용한 투명 수지 내에 무뉘재가 함입된 투명 수지 장식품의 제조 방법
KR200252416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KR20030039699A (ko) 왁스파베 스톤세팅을 이용한 보석장식 귀금속 장신구의제조방법 및 그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