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856Y1 -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856Y1
KR200270856Y1 KR2019970044891U KR19970044891U KR200270856Y1 KR 200270856 Y1 KR200270856 Y1 KR 200270856Y1 KR 2019970044891 U KR2019970044891 U KR 2019970044891U KR 19970044891 U KR19970044891 U KR 19970044891U KR 200270856 Y1 KR200270856 Y1 KR 200270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solenoid
valve
cover
brak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137U (ko
Inventor
경 일 박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2019970044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5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10ABS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유압밸브는 전자기를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가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요크, 요크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하는 밸브장치를 갖추고, 요크는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덮개를 구비하고, 덮개는 내측 원주단면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덮개와의 결합시 돌출부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선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압밸브는 솔레노이드의 요크 형상을 개선하여 자속이 요크를 따라서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흐르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속의 흐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크의 덮개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많은 수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선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솔레노이드에 비하여 향상된 전자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작동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본 고안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장치로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은 자동차의 구동륜의 과도한 슬립을 억제하여 자동차의 방향 안정성과 구동력을 확보하는 장치로써, 자동차의 제동시 각 차륜의 휠 실린더로 가해지는 제동유압을 감압, 유지, 증압하여 압력을 조절하므로 적당한 코너링 포스를 확보하여 조향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제동 정지 거리를 가장 짧게 되도록 마찰계수의 가장 큰 값을 얻을 수 있는 슬립률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휠속도 센서, 액츄에이터, 제어부 등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츄에이터에는 각각의 브레이크 휠실린더로 유압을 감압, 유지 증압을 실시하여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에는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노멀 오픈형 밸브(Nomal open valve)와 노멀 크로즈형 밸브(Nomal close valve)가 설치된다.
이중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크로즈형 밸브(10)는 외곽에 솔레노이드 코일(11)과 솔레노이드 코일(11)의 외체를 형성하는 요크(12)를 구비하고, 솔레노이드 코일(11) 내측에는 내부에 전기자(13)와 이 전기자(13)에 결합된 플런저(14)가 마련된 슬리브(15)와 슬리브(15)의 일측으로 결합된 코어(16)가 내측에 설치된 밸브하우징(17)을 구비한다.
그리고 밸브하우징(17)의 내부에는 오일이 유입되는 오리피스(18)와 유입된 오일이 배출되는 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출입되는 오일의 정화를 위한 필터(20)가 설치된다. 또한 플런저(14)의 복귀동작을 위한 복귀스프링(21)이 슬리브(15) 내부에 전기자(13)와 코아(16) 사이에 지지되어 플런저(14)가 솔레노이드 코일(11)의 작동전 항시 오리피스 유로(18)를 닫고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요크(12)는 하우징(17)과 접하는 부분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된 원통형상의 본체(12a)와 이 본체(12a)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덮개(12b)를 구비한다. 이 덮개(12b)는 원형 고리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17)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단차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22)는 밸브(10)가 결합되는 블록(미도시)에의 견고한 밀봉 결합을 위한 것으로 블록에 결합된 밸브(10)의 결합부분으로 부터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노멀 오픈형 밸브(10)에서 요크(12)의 덮개(12b)는 상당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덮개(12b)가 결합된 부위에는 솔레노이드 코일(11)을 권선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요크(12)의 크기가 밸브하우징(17)과 같은 크기로 되어야 하기 때문에 요크(12)의 설계에 상당한 제한을 가지고 있고, 솔레노이드 코일(11)의 권선에 상당한 제한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요크의 덮개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많은 권일권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된 유압밸브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된 유압밸브의 솔레노이드 요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페달 51...마스터 실린더
52...휠 54...노멀 오픈형 밸브
57...휠감지센서 60...노멀 크로즈형 밸브
61...슬리브 62...전기자
63...플런저 64...코아
65...요크 65a...요크 본체
65b...요크 덮개 65d...돌출부
67...복원스프링 70...솔레노이드 코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는 전자기를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가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요크, 상기 요크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하는 밸브장치를 갖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내측 원주단면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와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선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압밸브가 적용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유압회로는 브레이크 페달(50)과 브레이크 페달(50)의 작동으로 브레이크장치로 오일을 공급하는 마스터 실린더(51)를 구비하고, 차량의 휠(52)에 설치된 브레이크 장치로 공급되는 오일을 제어하는 유압밸브를 구비한다.
이 유압밸브는 작동전 항상 열려있는 밸브인 노멀 오픈형 밸브(54)(Nomal open valve)와 작동전 항시 닫혀있는 밸브인 노멀 크로즈형 밸브(60)(Nomal close valve)로 마련된다. 그리고 오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55)와 저장탱크(55)의 오일을 마스터 실린더(51)로 펌핑하는 펌프(56)가 설치되며, 자동차 휠(52)에는 휠(52)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휠감지센서(57)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8)(Electronic Controll Unit: ECU)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유압밸브중의 노멀 오픈형 밸브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노멀 크로즈형 밸브(60)는 솔레노이드 코일(70) 내측에 밸브장치가 설치되는 구성인데, 솔레노이드 코일(70)은 외체를 이루는 요크(65)가 마련된다.
이 요크(6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관통홀(65c)이 형성된 본체(65a)와 이 요크 본체(65a)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65b)로 구성된다. 그리고 덮개는 원형 고리형상의 판으로 마련되며, 중심부의 홀의 단부에서 요크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부(65d)를 형성한다. 이 요크(65) 내부의 본체(65a)와 덮개(65b)의 돌출부(65d)에는 솔레노이드 코일(70)이 권선되어 있다.
또한 이 요크 본체(65a)의 밸브와 접촉하는 부위인 절곡된 돌출부(65d)의 두께는 덮개(65b)의 두께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것은 이 돌출부(65d)에 코일이 보다 많이 권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밸브장치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슬리브(61)와 이 슬리브(61) 내부에 전기자(62)와 봉상의 플런저(63)가 각각 설치되며 전기자(62)의 외측으로는 슬리브(61)에 고정결합된 코아(64)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리브(61)의 전면에는 내부에 오일유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66)이 설치된다. 이러한 밸브하우징(66)에는 입구부(66a)와 출구부(66b)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플런저(63)에 의하여 개폐되는 오리피스 유로(66c)를 구비한다.
그리고 슬리브(61)의 내부에는 플런저(63)를 지지하며 전자기력이 사라지면 플런저(63)를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67)이 마련된다. 이 복원스프링(67)은 전기자(62)와 코아(64) 사이에 설치되어 플런저(63)가 솔레노이드 코일(70)의 전자기력의 발생전에는 항상 오리피스 유로(66c)를 닫고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하우징(66)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압회로가 구성되는 액츄에이터 블럭에 결합되도록 상부 노출부위에 단차부(68)가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하우징(66)의 오일 유출입부(66a)(66b)에는 유출입되는 오일의 정화를 위한 오일필터(69)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은 차량의 주행중 증압모드, 유지모드, 그리고 감압모드의 수행단계를 거치면서 제동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증압모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50)을 밟으므로써 마스터 실린더(51)의 오일이 노멀 오픈형 밸브(54)를 통해서 휠 실린더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압력은 증가하게 되고, 브레이크장치의 실린더 피스톤이 밀리면서 자동차의 휠(52)이 제동되어 각 바퀴의 속도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휠 속도센서(57)로부터 받은 휠(52)의 속도와 차랑의 속도와의 차이, 즉 슬립율이 일정 범위를 넘으면 제어부는 휠(52)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 노멀 오픈형 밸브(54)를 온시켜서 휠(52)과 마스터 실린더(51) 사이의 유로를 차단시킨다. 이로인해 더 이상의 오일의 압력은 휠(52)로 전달되지 않게 되고, 동시에 노멀 크로즈형 밸브(60)를 작동시켜서 휠(52)에 있는 액압을 브레이크 액의 저장탱크(55)에 받아두게 되며, 이와 동시에 펌프(56)는 오일을 다시 마스터 실린더(51)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상태를 감압모드라 한다.
한편, 감압모드로 인해 휠(52)의 속도는 다시 증속되게 된다. 이때 제어부(58)는 휠(52)의 구동을 시간을 두고 지켜 보게되는데, 이를 유지모드라고 한다. 이 유지모드에서는 노멀 오픈형 밸브(54)는 온되고, 노멀 크로즈형 밸브(60)는 오프의 상태로 휠 실린더로 마스터 실린더(51)로부터 전달된 오일이 들어오지도 못하고, 노멀 크로즈형 밸브(60)를 통해서 나가지도 못하게 한다.
그리고 휠(52)의 속도가 다시 살아나면 다시 휠(52)의 속도를 줄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휠 실린더로 압력이 전달되도록 전류를 차단하여 노멀 크로즈형 밸브(60)가 차단되도록 하고, 이에따라 휠(52)의 압력이 저장탱크(55)로 빠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재차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의 노멀 크로즈형 밸브(60)의 작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노멀 크로즈형 밸브(60)는 증압모드시 마스터 실린더(51)로 부터 노멀 오픈형 밸브(53)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브레이크 장치로 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유지모드와 감압모드시에 노멀 오픈 밸브(54)의 작동으로 더 이상의 오일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감압에 의한 오일의 유출이 필요할 경우 노멀 크로즈형 밸브(60)는 온 되어 오리피스 유로(66c)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의 플런저(63)의 작동은 솔레노이드 코일(70)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요크(65)의 본체(65a)와 덮개(65b)를 따라 전자기장이 흐르게 되고, 이 전자기장은 코아(64)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전기자(62)는 후진 구동하여 플런저(63)를 작동시켜 오리피스 유로(66c)를 개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가된 전류가 끊기면 플런저(63)는 복원스프링(67)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전진하여 오리피스 유로(66c)를 닫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압밸브는 솔레노이드의 요크 형상을 개선하여 자속이 요크를 따라서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흐르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속의 흐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크의 덮개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많은 수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선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솔레노이드에 비하여 향상된 전자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작동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자기를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가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요크, 상기 요크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하는 밸브장치를 갖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일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내측 원주단면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와의 결합시 상기 돌출부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선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본체의 밸브와 접촉하는 부위인 절곡된 돌출부의 두께는 덮개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
KR2019970044891U 1997-12-31 1997-12-31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70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891U KR200270856Y1 (ko) 1997-12-31 1997-12-31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891U KR200270856Y1 (ko) 1997-12-31 1997-12-31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37U KR19990032137U (ko) 1999-07-26
KR200270856Y1 true KR200270856Y1 (ko) 2002-05-09

Family

ID=5389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891U KR200270856Y1 (ko) 1997-12-31 1997-12-31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37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6613B2 (ja) スリップ制御装置付き液圧ブレーキ装置用ソレノイド弁
US5443309A (en) Solenoid valve, in particular for hydraulic brake systems with slip control
KR102178448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JP3598409B2 (ja) 液圧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液圧制御弁装置
KR100465201B1 (ko) 안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압 제어용 전자식 밸브
CN109843665B (zh) 电磁阀和用于车辆的液压制动系统
KR100328227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70856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28226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노멀 크로즈형 밸브
KR200270850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28232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노멀 크로즈 밸브
KR100328225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노멀 오픈형 밸브
JP2000309259A (ja) 電磁弁装置
KR100328233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노멀 오픈형 밸브
KR100331656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 요크제조방법
JP4012662B2 (ja) 電磁弁およびブレーキ装置
JP4104482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用電磁弁
JPH10119747A (ja) 電磁弁の取付け構造
KR200279008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3921030B2 (ja) ブレーキ装置
KR100423645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노말 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
JPH11240435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キ装置の電磁弁
KR100328230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H08318838A (ja) 逆止弁
JP2621029B2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