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614Y1 - 위패 - Google Patents

위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614Y1
KR200270614Y1 KR2019990000906U KR19990000906U KR200270614Y1 KR 200270614 Y1 KR200270614 Y1 KR 200270614Y1 KR 2019990000906 U KR2019990000906 U KR 2019990000906U KR 19990000906 U KR19990000906 U KR 19990000906U KR 200270614 Y1 KR200270614 Y1 KR 200270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que
stomach
hanger
cover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083U (ko
Inventor
문재열
Original Assignee
문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열 filed Critical 문재열
Priority to KR2019990000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61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614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불교등지에서 사용하는 위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이대의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위패가 걸이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커버가 결합되고, 전면에는 LED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LED 노출구멍이 형성되는 위패로 구성하되, 상기 커버는 위패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좌우,하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테 내측에 밀실하게 결합되어, 사용시 위패지로 촛불과 같은 그을음이 붙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위패 전면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위패지를 일회용으로 고정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위패 사용시 커버에 의해 촛불 등에서 발생된 그을음이 위패지에 달라 붙는 그을음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영단에서 간편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위패{A mortuary tablet}
본 고안은 주로 불교등지에서 사용하는 위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패를 사용시 촛불등에서 발생된 그을음이 위패지에 달라 붙는 그을음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위패를 장기간 보관함은 물론 위패가 영단에서 간편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위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사용하는 위패는 크게 신주의 이름이 적어지는 위패지와, 상기 위패지의 전면에 위치하고 위패지에 적어진 이름이 외부로 투시되도록 투명한 합성수재로 이루어지는 위패로 나뉘어지며 이러한 위패는 단위의 걸이대가 연결 조합된 영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위패를 사용시에는 신주의 이름이 적어진 위패지를 위패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한 후 걸이대에 형성된 LED에 위패를 걸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위패는 위패지를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촛불에서 발생된 그을음은 상승하면서 각 위패지에 달라 붙게 된다. 따라서 위패를 항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없을뿐 아니라 수시로 위패지를 교환하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뿐 아니라 위패를 LED에 걸어 사용하기 때문에 위패가 걸이대에서 수시로 분리되거나 LED가 파손될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위패를 사용시 촛불등에서 발생된 그을음이 위패지에 달라 붙는 그을음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위패를 장기간 보관함은 물론 위패가 영단에서 간편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위패를 제공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위패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위패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위패의 설치 사용상태도,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위패 전면에 위패지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위패 11 ; LED 노출구멍 12 ; 고정돌기
13 ; 결합테 20 ; 위패지 30 ; 커버
40 ; 걸이대 41 ; LED 42 ; 자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걸이대의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위패가 걸이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커버가 결합되고, 전면에는 LED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LED 노출구멍이 형성되는 위패로 구성하되,상기 커버는 위패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좌우,하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테 내측에 밀실하게 결합되어 사용시 위패지로 촛불과 같은 그을음이 붙는 것을 방지토록 하고,상기 위패 전면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위패지를 일회용으로 고정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위패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위패의의 측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위패의 설치 사용상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위패 전면에 위패지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도 신주의 이름이 적어지는 위패지(20)와, 상기 위패지(20)의 전면에 위치하고 위패지(20)에 적어진 이름이 외부로 투시되도록 투명한 합성수재로 이루어진 위패(10)와, 상기 위패(10)가 걸어지며 상단에 LED가 형성된 걸이대(40)로 이루어져 기본적으로 작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다만, 본 고안은 위패사용시 촛불 등에서 발생된 그을음이 위패지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위패가 영단의 걸이대에 간편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분리걸이대(40)의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자석(42)과, 상기 자석(42)의 자력에 의해 위패(10)가 걸이대(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커버(30)가 결합되고, 전면에는 LED(41)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LED 노출구멍(11)이 형성되는 위패(1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커버(30)는 위패(10)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좌우,하단측에 돌출 형성된 결합테(13) 내측에 밀실하게 결합되어 사용시 아래방향에 위치한 촛불에서 발생된 그을음이 위패지(20)로 붙는 것을 방지한다.또한, 위패(10) 전면에는 위패지(20)를 일회용으로 사용시 일시적으로 고정 사용할 수 있는 고정돌기(12)가 형성된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3에서와 같이 영단측에 걸이대(40)를 상하 좌우로 배열시킨다.(걸이대를 영단에 배열 고정시키는 방법은 통상 사용하는 기술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음) 이후 위패(1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테(13)에 커버(30)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커버(30)를 약간 강압적으로 누르면 결합테(13) 내측으로 밀실하게 삽입 고정되고, 커버(30)와 위패(10)가 일체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위패(10)는 전체적으로 상단을 제외한 하단, 좌우측면이 완전 밀폐된 상태가 된다.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위패(10)의 상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위패지(20)를 위패(10)와 커버(30) 사이에 삽입한 후, 금속재로 이루어진 커버(30)를 자석(42)에 부착시키면 위패(10)는 도2에서와 같이 걸이대(40)측에 부착 결합되고, LED(41)는 LED 노출구멍(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LED 노출구멍(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LED(14)는 인등처럼 불을 밝혀 영단의 장엄함을 연출하게 된다.이와 같은 상태에서 촛불에서 그을음이 발생하더라도 위패(10)는 하단과 좌우측이 밀실하게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그을음이 위패지(20)에 달라 붙는 것이 방지되고, 자석(42)의 자력을 이용하여 위패(10)를 걸이대(40)에 부착 결합시키기 때문에 그만큼 탈부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한편, 위패지(20)를 그을음으로 부터 보호하여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일회용으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도4에서와 같이 위패지(20)를 위패(10)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2)에 고정하여 사용하면 되고, 사용하고 난후에는 일회용이므로 폐기 처분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위패의 배면은 커버에 의해 상면을 제외하고는 기밀하게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촛불에서 발생된 그을음이 위패지에 달라 붙는 그을음 현상이 방지되므로 항상 청결하게 위패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따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이대에 부착되는 위패는 커버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고, 이 금속재는 걸이대에 형성된 자석을 통하여 분리/부착되기 때문에 그만큼 분리/부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신주의 이름이 적어지는 위패지(20)와, 상기 위패지(20)의 전면에 위치하고 위패지(20)에 적어진 이름이 외부로 투시되도록 투명한 합성수재로 이루어진 위패(10)와, 상기 위패(10)가 걸어지며 상단에 LED가 형성된 걸이대(40)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40)의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자석(42)과, 상기 자석(42)의 자력에 의해 위패(10)가 걸이대(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배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커버(30)가 결합되고, 전면에는 LED(41)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LED 노출구멍(11)이 형성되는 위패(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위패(10)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좌우,하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테(13) 내측에 밀실하게 결합되어 사용시 위패지(20)로 촛불과 같은 그을음이 붙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패(10) 전면에 고정돌기(12)를 형성하여 위패지(20)를 일회용으로 고정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
KR2019990000906U 1999-01-25 1999-01-25 위패 KR200270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06U KR200270614Y1 (ko) 1999-01-25 1999-01-25 위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06U KR200270614Y1 (ko) 1999-01-25 1999-01-25 위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83U KR20000016083U (ko) 2000-08-16
KR200270614Y1 true KR200270614Y1 (ko) 2002-04-03

Family

ID=5475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06U KR200270614Y1 (ko) 1999-01-25 1999-01-25 위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6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83U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0614Y1 (ko) 위패
USD409665S (en) Combined image reflector with poster disk and holding sleeve
JP3205436B2 (ja) 表示パネル体取付構造
JPS6118534Y2 (ko)
KR970001841Y1 (ko)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JPH11155416A (ja) 観賞魚用水槽におけるガラス蓋支持具
JPH055612Y2 (ko)
JPH0648656Y2 (ja) 照明器具
JPS6120620Y2 (ko)
JPH0624085Y2 (ja) 蛍光管保護カバー
JP3178553B2 (ja) 照明器具
KR930007855Y1 (ko) 교환식 아이샤도우 케이스의 착설구조
JPH0239284Y2 (ko)
KR820000110Y1 (ko) 앨범(album)을 내설할 수 있게한 사진틀
KR900010680Y1 (ko) 램프캡 고정장치
KR200176826Y1 (ko) 액자가 부착된 거울
JPS5917045Y2 (ja) 電球取付装置
KR830001337Y1 (ko) 접착식 텔레비젼 필터
JPH0511362B2 (ko)
JPS6290802A (ja) 表示装置
KR900008744Y1 (ko) 음향기기의 스피이커 박스 착탈장치
KR200382357Y1 (ko) 회전식 광고물 거치장치
JPS58194203A (ja) 口金付螢光灯器具
JPS5847606Y2 (ja) 螢光灯器具のカバ−着脱装置
KR940013444A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물걸레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