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41Y1 -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41Y1
KR970001841Y1 KR2019930020389U KR930020389U KR970001841Y1 KR 970001841 Y1 KR970001841 Y1 KR 970001841Y1 KR 2019930020389 U KR2019930020389 U KR 2019930020389U KR 930020389 U KR930020389 U KR 930020389U KR 970001841 Y1 KR970001841 Y1 KR 970001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fastening
groov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519U (ko
Inventor
최성재
Original Assignee
용성전기 주식회사
최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성전기 주식회사, 최성재 filed Critical 용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0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841Y1/ko
Publication of KR950012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 보턴표시부와 고정부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본체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고정부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접속단자
3 : 작동부 4 : 커버
5 : 전구 6 : 하부고정판
7, 39 : 체결공 8 : 고정레버
9 : 고정판 10 : 고정부
11, 55 : 스프링 12 : 보턴표시부
13 : 트랜스 14, 15 : 삽입홈
16 : 고정단자 17, 17' : 유동구
42, 47, 51 : 요홈 19 : 단턱부
20 : 탄성편 21 : 지지구
22 : 절개부 23, 25 : 절단부
24 : 접속구 26, 32, 43, 52 : 돌기
29 : 상부고정판 30, 40 : 걸림턱
31, 38 : 체결홈 33 : 몸체
34 : 나사부 35 : 패킹
36, 45 : 돌출부 37 : 고정구
44 : 보턴 46 : 나사부
48 : 색채표시판 49, 54 : 고정캡
50 : 고무링
본 고안은 각종 전자나 전기 기기등의 작동 유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의 상부에 보턴을 분해 조립되게 설치하여 전구의 교체가 용이하게 하고, 스위치의 작동시 판스프링에 의하여 음향이 발생되도록 한 기기작동 유무 확인 램프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각종 기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구를 이용한 램프용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나, 상기의 스위치는 본체의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의 중앙부에는 전구를 삽입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스위치를 본체를 기기의 배면에서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를 삽입한 다음 외부에서 너트로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구가 파손되었을 경우 기기본체를 열고 전구를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돌출부에서 고정너트를 분리할때 스위치 본체가 자체 하중에 의하여 기기의 하단부로 떨어지며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기기의 본체를 분리하여 전구를 교체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스위치를 접점할때 반응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작동의 유무를 확인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 전, 후에 중앙부가 절개되어 있는 작동판을 유동봉에 체결하여 고정설치하고, 본체의 상부에는 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전구를 설치하되 본체의 일측에는 레버에 의하여 고정구가 유동되는 고정장치를 설치하며, 삽입홈에는 표시캡을 설치하되 표시캡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 하유동 되도록 한 보턴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구에 의하여 기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램프 스위치에 있어서, 본체(1)의 전, 후에는 고정단자(16)가 체결되어 있는 작동부(3)를 형성하여 커버(4)로서 밀폐되게 하고, 본체(1)의 상부에는 전구(5)가 설치되는 하부고정판(6)을 고정설치하며 그 상부에는 체결공(7)이 형성되고 고정레버(8)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9)과 상부고정판(29)을 나사로서 고정설치하여서 된 고정부(10)를 설치하고, 고정부(10)의 상부에는 스프링(11)에 의하여 상, 하 작동되는 보턴 표시부(12)를 설치하며, 그 하단에는 트랜스(1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의 작동부(3)는 전면과 배면에 수직과 수평의 삽입홈(14)(15)을 형성하며 본체(1)의 양측 하단부에는 접속단자(2)를 삽입 고정하고, 수직의 삽입홈(14)에는 상, 하유동구(17)(17')를 스프링(55)을 체결하여 삽입설치하되 유동구(17)의 상부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수개의 단턱부(19)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편(20)을 삽입하며, 그 중앙부에는 지지구(21)를 삽입하고 탄성편(20)에는 양측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절단부(23)가 형성된 접속단자(2)를 설치하여 절단부(23)가 탄성편(20)의 단턱부(19)에 걸리게 설치하고 그 전면에는 커버(4)로서 밀폐되게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10)는 본체(1)의 상부에 전구(5) 고정용 접속구(24)와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고정판(6)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양측에 돌기(26)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체결공(7)이 형성되며 일측 돌기(26)에는 레버(8)가 형성되어 잇는 고정판(9)을 체결하고 그 상부에는 일측에 걸림턱(3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체결홈(31)이 형성되며 체결홈(31)에는 수개의 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고정판(29)을 나사로서 고정설치한다.
상기 보턴표시부(12)는 보턴표시부 몸체(33)의 외부 중간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 패킹(35)을 삽입 체결한 다음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7)를 체결하고 나사부(34)의 하단 몸체(33)에는 수개의 ㄱ 형상의 체결홈(38)을 형성하며, 몸체(33)의 내부 중앙부에는 체결공(39)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걸림턱(40)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요홈(42)을 형성하고 각 요홈(42)이 상부외측에는 돌기(43)를 형성한다.
보턴(44)의 상부에는 돌출부(45)를 형성하되 돌출부(45)의 외부에는 나사부(46)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요홈(47)을 형성하여 색체표시판(48)을 삽입한 다음 투명 고정캡(49)으로 고정하며, 보턴(44)의 중간부에는 고무링(50)을 체결하고 하단 양측에는 요홈(51)을 형성하며 요홈(51)의 일측에는 돌기(52)를 형성 스프링(11)을 체결하여 몸체(44)의 내부로 삽입 고정하고, 몸체(44)의 상부에는 고정캡(54)으로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우치 본체(1)를 기기의 일측에 보턴(44)이 돌추되게 고정설치한 다음 기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고자 할대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보턴(44)을 누르면 보턴(4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51)에 몸체(33)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3)가 체결되고 보턴(44)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52)는 몸체(3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효홈(42)에 삽입되며, 이때 몸체(33)의 내부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3)가 보턴(44)에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11)을 받치게 되며 보턴(4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3)는 몸체(33) 요홈(4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41)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보턴(44)은 본체(1)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유동구(17)를 누르게 되고 유동구(17)는 탄성편(20)의 단턱부(19)에 걸려있는 접속단자(2)와 함께 하단으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접속단자(2)는 양측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앙부의 절단부(23)가 단턱부(19)에 걸려 있기 때문에 유동구(17)가 접속단자(2)를 하단으로 누르면 중간의 시점에서 절단부(23)와 탄성편(20)의 크기에 의하여 탄성편(20)의 휘면서 상부로 올라가 접속단자(2)와 음향을 발하면서 접촉하게 되어 전구(5)가 점등하게 되고, 보턴(44)을 놓으면 보턴(44)의 유동구(17)는 스프링(53)(55)의 탄력에 의하여 역순서로 원상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구(5)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고정부(10)의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판(9)의 레버(8)를 일측으로 돌리면 고정판(9)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26)가 보턴(44) 몸체(33)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38)에서 이탈되어 수직으로 맞추어지고 보턴표시부(12)를 분리시키면 전구(5)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 상태에서 전구(5)를 교체하면되고 전구를 교체한 다음 상기의 순서를 역으로하여 보턴표시부(12)를 조립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 전, 후에 중앙부가 절개되어 있는 작동판을 유동봉에 체결하여 고정설치하고 본체의 상부에는 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전구를 설치하되 본체의 일측에는 레버에의하여 고정구가 유동되는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삽입홈에는 표시캡을 설치하되 표시캡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 하유동 되도록한 보턴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탄성편에 의하여 음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동상태를 알 수가 있으며, 본체에서 보턴이 레버에 의하여 간단하게 분리되므로 전구의 파손시 전구의 교체가 용이하며 보턴의 전면에 색상의 표시판을 필요에 의하여 교체가 가능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전구에 의하여 기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램프 스위치에 있어서, 본체(1)의 전, 후에는 고정단자(2)가 체결되어 있는 작동부(3)를 형성하여 커버(4)로서 밀폐되게 하고, 본체(1)의 상부에는 전구(5)가 설치되는 하부고정판(6)을 고정설치하며 그 상부에는 체결공(7)이 형성되고 고정레버(8)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9)과 상부고정판(29)을 나사로서 고정설치하여서 된 고정부(10)를 설치하고, 고정부(10)의 상부에는 스프링(11)에 의하여 상, 하 작동되는 보턴 표시부(12)를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트랜스(1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3)는 전면과 배면에 수직과 수평의 삽입홈(14)(15)을 형성하며 본체(1)의 양측 하단부에는 고정단자(16)를 삽입 고정하고, 수직의 삽입홈(14)에는 상, 하유동구(17)를 스프링(55)을 체결하여 삽입설치하되 유동구(17)(17')의 상부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수개의 단턱부(19)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편(20)을 삽입하며, 그 중앙부에는 지지구(21)를 삽입하고 탄성편(20)에는 양측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절단부(23)가 형성된 접속단자(2)를 설치하여 절단부(23)가 탄성편(20)의 단턱부(19)에 걸리게 설치하고 그 전면에는 커버(4)로서 밀폐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10)는 본체(1)의 상부에 전구(5) 고정용 접속구(24)와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고정판(6)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양측에 돌기(26)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체결공(7)이 형성되며 일측 돌기(26)에는 레버(8)가 형성되어 잇는 고정판(9)을 체결하며 그 상부에는 일측에 걸림턱(3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체결홈(31)이 형성되고 체결홈(31)에는 수개의 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고정판(29)을 나사로서 고정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턴표시부(12)는 보턴표시부 몸체(33)의 외부 중간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 패킹(35)을 삽입 체결한 다음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37)를 체결하고 나사부(34)의 하단 몸체(33)에는 수개의 ㄱ 형상의 체결홈(38)을 형성하며, 몸체(33)의 내부 중앙부에는 체결공(39)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걸림턱(40)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요홈(42)을 형성하며 각 요홈(42)이 상부일측에는 돌기(43)를 형성하고, 보턴(44)의 상부에는 돌출부(45)를 형성하되 돌출부(45)의 외부에는 나사부(46)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요홈(47)을 형성하여 색체표시판(48)을 삽입한 다음 투명 고정캡(49)으로 고정하고, 보턴(44)의 중간부에는 고무링(50)을 체결하고 하단 양측에는 요홈(51)을 형성하며 요홈(51)의 일측에는 돌기(52)를 형성하여 스프링(11)을 체결하여 몸체(44)의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하고, 몸체(44)의 상부에는 고정캡(54)으로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KR2019930020389U 1993-10-06 1993-10-06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KR970001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389U KR970001841Y1 (ko) 1993-10-06 1993-10-06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389U KR970001841Y1 (ko) 1993-10-06 1993-10-06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19U KR950012519U (ko) 1995-05-17
KR970001841Y1 true KR970001841Y1 (ko) 1997-03-17

Family

ID=1936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389U KR970001841Y1 (ko) 1993-10-06 1993-10-06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8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19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841Y1 (ko)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용 스위치
KR960002122Y1 (ko) 기기작동 유무확인 램프의 램프몸체 체결장치
KR200396922Y1 (ko) 전기부품 케이스 커버 결합구조
KR200164525Y1 (ko) 간판형광등용 소켓
JP3787856B2 (ja) 流し元灯照明器具
KR910006579Y1 (ko) 동작확인 표시등의 결합 장치
JPH041620Y2 (ko)
JP3003150B2 (ja) 照明器具
JPH0346416Y2 (ko)
KR830001385Y1 (ko) 형광램프의탈락방지소케트
JPS6236189Y2 (ko)
KR940003303Y1 (ko) 110v/220v 절환 스위치
KR200270614Y1 (ko) 위패
JP2597616B2 (ja) スイッチ
JPS6328623Y2 (ko)
KR0126639Y1 (ko) 랜턴
JPH0128580Y2 (ko)
JP3743010B2 (ja) 照明器具
JPH0327285Y2 (ko)
KR200209709Y1 (ko) 휴즈홀더 고정대
KR0127312Y1 (ko) 형광등용 컨넥터
CN114087587A (zh) 照明灯罩固定装置
JPH0645040A (ja) ランプソケット
JPS6023844Y2 (ja) 多灯用照明器具
KR200179625Y1 (ko) 조명기구의 조명커버 착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