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303Y1 - 110v/220v 절환 스위치 - Google Patents

110v/220v 절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303Y1
KR940003303Y1 KR2019910025336U KR910025336U KR940003303Y1 KR 940003303 Y1 KR940003303 Y1 KR 940003303Y1 KR 2019910025336 U KR2019910025336 U KR 2019910025336U KR 910025336 U KR910025336 U KR 910025336U KR 940003303 Y1 KR940003303 Y1 KR 940003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ver
switch
piec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574U (ko
Inventor
박병하
Original Assignee
박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하 filed Critical 박병하
Priority to KR2019910025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303Y1/ko
Publication of KR930016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5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220V 절환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110V 일때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220V 절환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5,16 : 돌출부
3,3',3" : 접속편 4,4' : 퓨우즈 고정구
6,6',15,19 : 체결홈 7 : 접속판
8 : 회전판 9 : 절개부
10,18 : 돌출편 11,23 : 돌기
12 : 누름구 13 : 요홈
14 : 돌출구 17 : 지지구
20 : 가이드 레일 21 : 걸림턱
22 : 탄성편 24,27 : 커버
26 : 나사공 28 : 나사
29 : 퓨우즈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110V/220V의 절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자체를 탄성편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위치를 동전이나 일자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누름구를 눌러 회전시켜 절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절환 스위치는 몸체의 외부로 돌출편을 형성하여 절환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요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돌출편을 형성하고 커버로서 밀폐되게 한 것들이 주종을 이루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절환용 돌출편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편에 충격을 가하거나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하여 돌출편이 조작되어 퓨우즈 및 전자기기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는 요홈에 커버로서 밀폐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스위치를 절환시킬때 일일히 커버를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착탈하여야 하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에는 전원을 절환시킬 수 없었으며 드라이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스위치를 전자기기에 부착시킬때는 나사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서 스위치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었고 과전류에 의하여 퓨우즈의 단선시 교체하기가 어려우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위치 본체의 외부에 커버로 덮어 밀폐하되 커버를 2등분하여 이러환 스위치부와 퓨우즈부로 형성하고 절환 스위치는 중앙에 형성된 요홈에 동전이나 일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누름구를 압착 회전시켜 절환할 수 있도록 하고 퓨우즈부는 간단한 나사로서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 몸체(1)의 일측에 원형의 돌출부(2)를 일체로 형성하고 돌출부(2)의 내부에는 수개의 접속편(3)을 고정설치하되 일측의 상부 접속편(3')에는 220V의 퓨우즈 고정구(4)와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부 접속편(3")에는 110V 퓨우즈 고정구(4')와 일ㅊ로 형성하여 퓨우즈 고정구(4)(4')의 중앙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5)를 돌출 형성하고 원형의 돌출부(2)의 상,하부에는 수개의 체결홈(6)(6')을 형성하며 원형의 돌출부(2)의 내부에는 접속판(7)이 고정된 회전판(8)을 삽입하며 회전판(8)의 배면에는 4곳에 절개부(9)가 형성된 원형의 돌출편(10)을 형성하고 그 외곽에는 상하 일직선에 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돌출편(10)의 중앙에는 스프링(S)을 내장하고 그 위에 누름구(12)를 체결하여 누름구(12)의 정면에는 중앙에 요홈(13)이 형성된 돌출구(14)를 형성하며 누름구(12)의 상하와 좌우 일정위치에 체결홈(15)을 형성하며 배면의 상하부에는 돌출부(16)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지지구(17)를 돌출형성하여 회전판(8)의 돌기(11)와 체결되게 하고 내부에는 회전판(8)의 돌출편(10)과 대칭되는 돌출편(18)을 형성하여 체결하며 그 외에는 평면에 체결홈(1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20)을 형성하며 하단에는 수개의 걸림턱(21)이 돌출된 탄성편(22)을 형성하고 체결홈(19)의 내부 일측에는 돌기(23)를 돌출형성된 커버(24)를 체결고정하고 그 타측에는 가이드 레일(20)에 체결되는 돌기(25)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나사공(26)을 형성한 커버(27)를 나사(28)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10V에서 220V로 전원을 절환하고자 할때는 누름구(12)의 중앙에 형성된 요홈(13)에 동전이나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누름구(12)를 누르면 누름구912)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5)에서 커버(24)의 돌기(23)가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누름구(12)를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누름구(12)를 회전시키면 배면의 돌출구(16)와 지지구(17) 사이에는 회전판(8)의 돌기(11)가 체결되어 있고 돌출편(18)에는 스프링(S)이 압착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하게 되어 누름구(12)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8) 또는 회전하면서 회전판(8)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속판(7)이 회전되면서 몸체(1)에 고정되어 있는 접속편(3)(3')(3")을 회전하면서 접속하여 전원을 절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과전류가 흘러 퓨우즈(29)가 단선되었을시 퓨우즈(29)를 교체하고자 할때에는 퓨우즈 커버(27)의 중앙부에 체결된 나사(28)를 푼 다음 커버(27)를 잡아 당기면 가이드 레일(20)에서는 커버(27)의 돌기(25)가 미끄러져 나와 커버(27)가 이탈하게 되므로 커버(27)를 이탈시킨 다음 퓨우즈(29)를 교체하고 다시 역순으로 커버를 조립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이 간편하고 탄성편을 이용하므로 전자기기에 설치하기가 편리하며 퓨우즈의 단선시 교체가 용이하고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없어도 동전으로서 절환이 가능하며 본체와 커버가 밀페되어 있어 방수의 효과도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스위치 몸체(1)의 일측에 원형의 돌출부(2)를 일체를 형성하고 돌출부(2)의 내부에는 수개의 접속편(3)을 고정설치하되 일측의 상부 접속편(3')에는 220V의 퓨우즈 고정구(4)와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부 접속편(3")에는 110V 퓨우즈 고정구(4')와 일체로 형성하며 퓨우즈 고정구(4)(4')의 중앙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5)를 돌출 형성하고 원형의 돌출부(2)의 상,하부에는 수개의 체결홈(6)(6')을 형성하며 원형의 돌출부(2)의 내부에는 접속판(7)이 고정된 회전판(8)을 삽입하며 회전판(8)의 배면에는 4곳에 절개부(9)가 형성된 원형의 돌출편(10)을 형성하고 그 외곽에는 상하 일직선에 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돌출편(10)의 중앙에는 스프링(S)을 내장하고 그 위에 누름구(12)를 체결하되 누름구(12)의 정면에는 중앙에 요홈(13)이 형성된 돌출구(14)를 형성하며 누름구(12)의 상하와 좌우 일저위치에 체결홈(15)을 형성하며 배면의 상하부에는 돌출부(16)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지지구(17)를 돌출형성하여 회전판(8)의 돌기(11)와 체결되게 하고 내부에는 회전판(8)의 돌출편(10)과 대칭되는 돌출편(18)을 형성하여 체결하며 그 외에는 평면에 체결홈(1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가이드레일(20)을 형성하며 하단에는 수개의 걸림턱(21)이 돌출된 탄성편(22)을 형성하고 체결홈(19)의 내부 일측에는 돌기(23)를 돌출형성된 커버(24)를 체결고정하고 그 타측에는 가이드 레일(20)에 체결되는 돌기(25)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나사공(26)을 형성한 커버(27)를 나사(28)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110V/220V 절환 스위치.
KR2019910025336U 1991-12-31 1991-12-31 110v/220v 절환 스위치 KR940003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336U KR940003303Y1 (ko) 1991-12-31 1991-12-31 110v/220v 절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336U KR940003303Y1 (ko) 1991-12-31 1991-12-31 110v/220v 절환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574U KR930016574U (ko) 1993-07-29
KR940003303Y1 true KR940003303Y1 (ko) 1994-05-19

Family

ID=1932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336U KR940003303Y1 (ko) 1991-12-31 1991-12-31 110v/220v 절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3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14Y1 (ko) * 2017-03-10 2018-03-12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관통홀 마감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574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3966A (en) Light connectable with a key
KR940003303Y1 (ko) 110v/220v 절환 스위치
US7269882B2 (en) Wristwatch and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band to case of wristwatch
US7553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233136B1 (en) Structure of water and dust-proof control box
KR930003922Y1 (ko) 모니터의 캐비넷 체결부재
KR890003151Y1 (ko) 안테나 단자의 접속장치
CN215417958U (zh) 一种电源开关组件
KR950002769Y1 (ko) 전자기기용 퓨우즈 케이스 고정장치
CN2187836Y (zh) 保险丝锁紧装置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CN220957979U (zh) 一种便于更换的led灯板及led灯
KR920000821Y1 (ko) 전선 고정구
KR910006662Y1 (ko) 전자오락기의 스위치장치
KR870004057Y1 (ko) 푸쉬 스위치용 노브(knob)
KR910009242Y1 (ko) 랜턴의 단자판 착탈장치
KR200396922Y1 (ko) 전기부품 케이스 커버 결합구조
KR900010740Y1 (ko) 애자용 고정구
JP2597616B2 (ja) スイッチ
KR200163020Y1 (ko) 초소형 회로차단기의 단자고정장치
KR0130114Y1 (ko) 압압력에 의해 일자 및 십자가 자동전환되는 일체형드라이버
KR930003864Y1 (ko) 노브장치
KR200299042Y1 (ko) 개선된 콘트롤 패널을 구비한 전자렌지
KR200325978Y1 (ko)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모니터 고정장치
KR200257861Y1 (ko) 벽 스위치의 브라켓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