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03Y1 -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03Y1
KR200270303Y1 KR2020010016895U KR20010016895U KR200270303Y1 KR 200270303 Y1 KR200270303 Y1 KR 200270303Y1 KR 2020010016895 U KR2020010016895 U KR 2020010016895U KR 20010016895 U KR20010016895 U KR 20010016895U KR 200270303 Y1 KR200270303 Y1 KR 200270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output
horn
horn sound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원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이무원
조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원, 조상호 filed Critical 이무원
Priority to KR2020010016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03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경적음선택스위치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경적음선택스위치의 주변으로 음성입력 마이크로폰 및 음량조절수단이 설치된 리모콘과, 차량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제반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시가 잭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경적음선택신호를 제공받아 경적음의 종류를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특정 경적음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출력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경적음 및 음성관련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함으로써, 운전 중 교통상황에 따라 운전자 임의로 일정 보이스의 경적음을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음성으로 제 3 자에게 경보함에 따라 운전상황과 시간 및 장소에 따른 적절한 보이스 및 경보출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에 구비된 시가 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어려움이나 차체 훼손없이 간단하게 설치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Voice Horn of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연계하여 설치된 일반적인 경음기(Horn)와는 별도로 리모콘상에 운전상황에 따른 경적음을 출력 선택하기 위한 경적음선택스위치와 마이크로폰을 각각 설치하여 운전 중 운전자 임의로 일정 보이스의 경적음을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음성으로 경보하여 운전 상황에 따른 적절한 보이스 및 경보출력이 가능한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경음기(Horn)는 주행 중 차량의 전방에 출현되는 장애물이 주행을 방해할 경우 및 차량의 주행을 주위에 경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경보음 장치로, 대개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설치된 넓다란 원판을 운전자가 주행 중 누르게 되면 스피커를 통해 일정 경적음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경음기는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설치된 넓다란 원판, 즉 일명 클랙슨이라는 푸쉬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원이 스피커로 인가되어 스피커가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전기식 혼과, 대형 버스 및 트럭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에어 컴프레서의 공기압이 혼에 작용하게 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에어 혼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 이와 같은 종래의 경음기는 운전 상황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사운드의 경보음만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주택가나 도심지의 주행 중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자동차 경적음 때문에 발생되는 소음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됨으로써 이의 규제를 위하여 법규가 한층 강화되고 있으며, 일부국가는 주택가 또는 도심지에서의 경음기 사용을 전면 규제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연유로 클랙슨을 누르는 압력 정도에 따라 가변저항값이 변화되어 경적음의 출력레벨을 조절하거나 운전상황에 따라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 경적음을 운전자 임의로 출력시키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장치들은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설치 및 작동되므로 운전자가 별도로 설치하기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며, 설치시에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분해하거나 조립하여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연계하여 설치된 일반적인 경음기(Horn)와는 별도로 리모콘상에 운전상황에 따른 경적음을 출력 선택하기 위한 경적음선택스위치와 마이크로폰을 각각 설치하여 운전 중 교통상황에 따라 운전자 임의로 일정 보이스의 경적음을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음성으로 경보하여 운전 상황과 시간 및 장소에 따른 적절한 보이스 및 경보출력이 가능한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계하여 설치된 일반적인 경음기와는 별도로 리모콘상에 경적음선택스위치와 마이크로폰 및 컨트롤러를 각각 설치한 후 차량 실내에 구비된 시가 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용 액세서리 형태로 제공하여 간단하게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한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 경음기를 나타낸 외관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이스 경음기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모콘 11: 마이크로폰
15: 음량조절수단(Volume) 30: 컨트롤러
31: 메모리 33: 보이스 IC
35: 증폭부(Amplifier) 37: 전원제어부
38: 과전류검출부 39: 서미스터(Thermistor)
50: 스피커 70: 시가 잭(Cigar Jack)
SW1∼SW6: 경적음선택스위치들 SW10: 마이크동작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복수의 경적음선택스위치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경적음선택스위치의 주변으로 음성입력 마이크로폰 및 음량조절수단이 설치된 리모콘과, 차량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전원을 제공받아 제반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시가 잭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경적음선택신호를 제공받아 경적음의 종류를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특정 경적음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출력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경적음 및 음성관련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 경음기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리모콘(10), 컨트롤러(30), 스피커(50) 및 시가 잭(7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보이스 경음기는 기존의 스티어링 휠과 연계되어 설치된 클랙슨과는 별개로 설치되며, 그에 따라 기존의 클랙슨과는 그 기능 및 동작이 구별되어 별도로 작동하게 된다.
보이스 경음기는 도 1과 같이 리모콘(10)과 컨트롤러(30)와 스피커(50) 및 시가 잭(70)으로 이루어져 단일 제품을 구성하며, 차량 내부와 차체를 훼손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 경음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리모콘(10)은 운전자가 손으로 쥐기 쉬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일면에 복수의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의 주변으로 음성입력 마이크로폰(11), 마이크동작스위치(SW10) 및 음량조절수단(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30)는 리모콘(10)으로부터 출력되는 경적음선택신호를 제공받아 경적음의 종류를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특정 경적음을 내부 메모리(31)로부터 독출하여 출력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10)의 마이크로폰(11)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스피커(50)는 컨트롤러(30)를 통해 출력되는 경적음 및 음성관련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며, 시가 잭(70)은 차량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제반장치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보이스 경음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 블록도로서, 리모콘(10)과 컨트롤러(30)의 세부 회로를 나타내었다.
상기 리모콘(10)은 그 일면에 복수의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의 주변으로 음성입력 마이크로폰(11)이 설치되어 마이크동작스위치(SW10)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입력된 음량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가변저항과 같은 음량조절수단(1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운전상황에 따른 복수의 경보음성과 경적음이 수록된 메모리(31)와, 상기 리모콘(10)의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신호를 제공받아 메모리(31)에 미리 설정된 특정 경적음을 독출하여 신호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10)의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음성 처리하는 보이스 IC(33)와, 상기 보이스 IC(33)로부터 출력되는 경적음 또는 음성을 증폭하여 스피커(50)로 출력하는 앰프와 같은 증폭부(35)와, 상기 시가 잭(7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적절한 전압레벨로 변환시켜 공급하되 보이스 IC(33)가 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는 증폭부(3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제어부(37)와, 상기 증폭부(35)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Iref)와 상호 비교한 후 설정치 이상일 경우에는 전원제어부(37)로 소정의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검출부(38), 및 상기 시가 잭(70)을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인해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전원제어부(37)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서미스터(39)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스피커(50)는 컨트롤러(30)의 증폭부(35)를 통해 출력되는 경적음 및 음성관련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게 되며, 시가 잭(70)은 차량에 설치된 시가단자에 삽입 결합하여 차량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컨트롤러(30)의 전원제어부(37)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이스 경음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모콘(10)의 스위치는 총 7개로 이루어져 있는 데, 그 중 6개의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는 컨트롤러(30)의 메모리(31)에 수록된 특정 경적음 보이스를 선택하는 스위치이고, 나머지 한 개(SW10)는 리모콘(10)에 설치된 마이크로폰(11)의 음성출력 스위치이다.
따라서, 교통상황에 따라 운전자는 특정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를 누르거나 음성출력을 결정하는 마이크동작스위치(SW10)를 눌러 경적음 보이스 또는 음성을 출력시켜 보행자 또는 기타 운전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면 된다.
아울러, 메모리(31)에 수록된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별 경적음 보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상기 표 1과 같이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에 대응하는 음성 또는 경적음이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어 해당 경적음선택스위치(SW1∼SW6)가 선택될 때마다 보이스 IC(33)는 메모리(31)로부터 해당 경적음 데이터를 독출하여 신호처리한 후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동작스위치(SW10)는 운전자가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음성으로 직접 경보할 때 누르는 것으로, 마이크동작스위치(SW10)를 누르지 않으면 음성이 출력되지 않는다.
아울러, 운전 시간과 장소에 따라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출력 레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보다는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친인간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즉, 마이크로폰(11)과 컨트롤러(30) 사이에 음량조절수단(15)과 마이크동작스위치(SW10)가 직렬 연결되어 마이크로폰의 출력과 마이크의 작동 여부를 조절 및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이스 IC(33)는 리모콘(10)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보이스 IC(33)는 그 소비전류가 증가(대략, 대기시 4mA, 동작시 200mA가 됨)하게 되며, 전원제어부(37)에서는 이를검출하여 대기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전환되었음을 판단하여 증폭부(35) 및 스피커(50)로 대략 12V의 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은 소비전류를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10)의 제 1 스위치(SW1)가 선택되었을 경우 그에 해당하는 행, 열 전기라인이 도통되며, 보이스 IC(33)를 이를 인식하여 메모리(31)로부터 제 1 경적음 데이터를 독출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 및 신호처리한 후 증폭부(35)로 출력하게 된다.
그럼, 증폭부(35)에서는 이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50)로 출력하고 스피커(50)에서는 음성관련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받아 비켜주세요라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리모콘(10)의 마이크동작스위치(SW10)가 선택되어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운전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보이스 IC(33)를 통해 신호처리되어 증폭부(35)로 출력되며, 증폭부(35)에서는 이 음성관련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50)로 출력하고 스피커(50)에서는 음성관련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운전자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과전류검출부(38)는 증폭부(35)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Iref)와 상호 비교하여 과전류의 인가여부를 판단하는 데, 증폭부(35)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스피커(50)에 이상이 발생할 때 흐르는 과전류(대략 2000mA 이상)를 검출하여 전원제어부(37)로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제어부(37)는 과전류검출부(38)로부터 전원차단신호가 출력되면 컨트롤러(30) 및 증폭부(35) 등의 제반회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회로소자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시가 잭(70)과 전원제어부(37) 사이에 서미스터(39)를 설치하여, 동작 중 경음기의 온도가 규정온도(대략 60℃)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체 저항값이 증가되어 전원제어부(37)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경음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 리모콘(10)을 유선으로 구성하였지만, 리모콘(10)에 무선 송신부를 설치하고, 컨트롤러(30)에는 무선 수신부를 추가하여 설치하면 리모콘(10)을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도 설계 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리모콘(10)의 경적음선택스위치를 가감한다든지, 메모리에 수록된 음성을 변경한다든지, 또는 리모콘을 무선으로 설계한다든지 하는 등의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계하여 설치된 일반적인 경음기와는 별도로 유선 리모콘상에 경적음선택스위치와 마이크로폰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운전 중 교통상황에 따라 운전자 임의로 일정 보이스의 경적음을 선택하여 출력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음성으로 제 3 자에게 경보함에 따라 운전상황과 시간및 장소에 따른 적절한 보이스 및 경보출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 실내에 구비된 시가 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어려움이나 차체 훼손없이 간단하게 설치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복수의 경적음선택스위치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경적음선택스위치의 주변으로 음성입력 마이크로폰 및 음량조절수단이 설치된 리모콘;
    차량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제공받아 제반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시가 잭;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출력되는 경적음선택신호를 제공받아 경적음의 종류를 판단한 후 그에 해당하는 특정 경적음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출력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경적음 및 음성관련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컨트롤러 사이에 마이크로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수단;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마이크동작스위치가 직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컨트롤러와 데이터 및 음성신호를 통신하는 유선 리모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상황에 따른 복수의 경보음성과 경적음이 수록된 메모리; 상기 리모콘의 경적음선택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신호를 제공받아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특정 경적음을 독출하여 신호처리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음성 처리하는 보이스IC; 상기 보이스IC로부터 출력되는 경적음 또는 음성을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 및 상기 시가 잭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적절한 전압레벨로 변환시켜 공급하되 상기 보이스IC가 동작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는 증폭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제어부;를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전류과 상호 비교한 후 설정치 이상일 경우에는 전원제어부로 소정의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검출부를 더 구비한 것을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가 잭을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인해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전원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서미스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KR2020010016895U 2001-06-07 2001-06-07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KR200270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95U KR200270303Y1 (ko) 2001-06-07 2001-06-07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95U KR200270303Y1 (ko) 2001-06-07 2001-06-07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03Y1 true KR200270303Y1 (ko) 2002-04-03

Family

ID=7306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895U KR200270303Y1 (ko) 2001-06-07 2001-06-07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61A1 (ko) * 2016-03-03 2017-09-08 김인숙 자동차의 경보장치
US20220135060A1 (en) * 2020-11-04 2022-05-05 Cerence Operating Company Out-of-domain monitoring in parked vehicles
EP4339025A1 (en) * 2022-09-19 2024-03-20 Taeoan Kim Manner knock horn device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61A1 (ko) * 2016-03-03 2017-09-08 김인숙 자동차의 경보장치
US20220135060A1 (en) * 2020-11-04 2022-05-05 Cerence Operating Company Out-of-domain monitoring in parked vehicles
EP4339025A1 (en) * 2022-09-19 2024-03-20 Taeoan Kim Manner knock horn devic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8335A (en) Sound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harness
KR200270303Y1 (ko) 차량용 보이스 경음기
JP3648759B2 (ja) 車両後退警報装置
CN211087525U (zh) 一种车载行驶语音提示系统
JP4735404B2 (ja) リモコン装置
JP2018103938A (ja) サイレン音出力装置
JP2004217192A (ja) 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
KR100341915B1 (ko) 긴급차량 인식용 오디오장치
JP2002023761A (ja) 車両用電子サイレン装置
US6556683B1 (en) Remote turn-on circuit for automobile audio amplifier
KR0174429B1 (ko) 자동차의 스피커 작동 표시 장치
KR20020051767A (ko) 차량의 긴급 사이렌 발생시 오디오 볼륨 조절 장치
CN111032435B (zh) 车辆用信息提供装置以及车辆用信息提供系统
KR200176394Y1 (ko) 차량장착 휴대폰용 무선 핸드프리킷
KR20060088650A (ko) 카 오디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431154Y1 (ko) 차량용 전자 경적장치
KR20020006079A (ko) 차량의 혼 작동용 무선 송수신 장치
KR20070019165A (ko) 차량용 지능형 사운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45642B1 (ko) 경음기의 음량 자동조절장치
KR19990000740A (ko) 자동 음질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079253A (ja) 緊急車両用サイレン装置及び緊急車両用サイレンシステム
KR200291436Y1 (ko)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KR200359659Y1 (ko) 확성기 겸용 경음기
KR100210935B1 (ko) 안전 벨트 장착 상태 음성 경보장치
GB2310577A (en) Automatic switching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