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436Y1 -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436Y1
KR200291436Y1 KR2020020018256U KR20020018256U KR200291436Y1 KR 200291436 Y1 KR200291436 Y1 KR 200291436Y1 KR 2020020018256 U KR2020020018256 U KR 2020020018256U KR 20020018256 U KR20020018256 U KR 20020018256U KR 200291436 Y1 KR200291436 Y1 KR 200291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ound
switch
sire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석
Original Assignee
이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석 filed Critical 이남석
Priority to KR2020020018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436Y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경보 사이렌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보사이렌 조작 장치를 경보용 앰프본체와 분리시켜 별도로 제작하되 차량내 마이크 세트와 결합함으로써 차량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운전자의 조작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렌 조작을 위한 제 1 내지 제 4버튼(23~26)을 사용자(운전자)가 선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선택되었다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1)과: 상기 마이컴(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음향신호들 중 제어신호 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저장부(22)와; 상기 사용자가 육성으로 경고를 발성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하는 마이크 스위치(27)와; 상기 사용자가 발성하는 육성경고음을 전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마이크(MIC)와; 일 입력측으로는 상기 음향 저장부(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타 입력측으로는 상기 마이크(MIC)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마이크 스위치(27)가 온동작하면 상기 마이크(MIC)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 스위치(27)가 오프동작하면 상기 음향 저장부(22)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전달경로 스위칭 수단(SW)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Car use a horn making a device}
본 고안은 차량용 경보 사이렌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보사이렌 조작 장치를 경보용 앰프본체와 분리시켜 별도로 제작하되 차량내 마이크 세트와 결합함으로써 차량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운전자의 조작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승용차 혹은 승합차들과 달리 공공의 업무를 수행하는 차량들은 일반 차량에서 사용하지 않는 경광음 발생장치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광음 발생장치는 긴급사항 예를 들어 범인의 추적 혹은 환자의 이송 등등의 목적으로 일반 차량들의 교통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않고 조속한 이동을 하기 위하여 일반 차량들에게 이를 경고하고 양보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술한 경광음 발생장치는 경고음의 발생장치와 경고등(燈)의 발광/점멸장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경고등(燈)의 발광/점멸장치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반면에, 경고음의 발생장치는 차량의 실내공간을 크게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종래의 경고음의 발생장치는 큰 부피의 앰프와 일체로 구성되며, 큰 출력을 요하기 때문에 해당 차량들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무전기나 라디오겸용 카세트 등과 별도의 구현되어진다.
따라서, 경보사이렌 조작장치가 내장된 앰프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좁은 공간을가지는 차량(경찰차량, 소방차, 앰블런스)내에 설치하기가 매우 부적합하였으며, 더욱이 교통의 흐름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여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운전자의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는 경고음의 발생장치는 통상 운전자의 발 주변에 설치되는데, 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마저도 앰프에 일체로 구현됨에 따라 운전자가 경고음의 발생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안전운전을 위배하는 행동을 수행하여야하는 등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어진 선행 기술(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121208호)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보용 앰프 본체(1)와 경보 사이렌 조작장치(2)를 서로 분리시킨 분리형이므로, 경보용 앰프본체(1)와 경보사이렌 조작장치(2)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좁은 공간을 가지는 차량에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경보용앰프 본체(1)와 경보사이렌조작장치(2)를 분리하여 서로 연결토록하고, 상기 경보사이렌 조작장치(2)의 전면에 사이렌 음량 크기용 볼륨(2A), 전원스위치(PW), 외부입력 조작스위치(AX), 경광등 조작스위치(LP), 경찰차량용 사이렌조작스위치(S1), 소방차량용 사이렌조작스위치(S2), 앰블런스용 사이렌 조작스위치(S3)를 각각 돌출 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스윗치(PW),(AX),(LP),(S1-S3) 각각을 내부 중앙처리장치의 입력포트에 연결하여 제어함으로써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면중 LED1∼LED6은 상기 각 스위치(PW),(AX),(LP),(S1∼S3)의 조작에 따른 동작표시 발광다이오드이고, VR2는 사이렌의 소리 높낮이 조절용 가변저항, P4는 외부 입력단자, 2B는 마아크 접속용 소켓, 3은 경보사이렌 조작장치의 고정대, 4는 연결도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보사이렌 조작장치(2)는 차량의 탑승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임의 위치에 고정 설치가 가능하여 조작의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치는 참조번호 2로 지칭되는 경보사이렌 조작장치가 차량의 실내 프론트 패널의 기기 외부에 따로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긴급 자동차의 경우 운전석 주변에 매우 다양한 기능의 장치들이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치는 참조번호 2로 지칭되는 경보사이렌 조작장치가 운전자와 조금만 떨어져있는 경우에도 버튼을 조작하기에는 쉽지 않으며, 더욱이 순간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교통상황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경보 사이렌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보사이렌 조작 장치를 경보용 앰프본체와 분리시켜 별도로 제작하되 차량내 마이크 세트와 결합함으로써 차량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운전자의 조작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경보사이렌 조작장치 및 경보용 앰프 본체의 연결 상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사이렌 조작장치 및 경보용 앰프 본체의 연결 상태 외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보사이렌 조작장치의 구성 회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의 특징은, 통상의 마이크 단말기와 유사한 외관의 하우징 전면에 경찰차량용 사이렌조작스위치, 앰블런스용사이렌 조작스위치, 비상용 사이렌 스위치, 수동사이렌 스위치 등등을 보튼 타입으로 각각 돌출 되도록 형성하며, 해당 하우징의 측면에는 마이크 방송을 위한 버튼 스위치 및 볼륨 조정을 위한 로터리형 볼륨 조정을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운전자)가 선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선택되었다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음향신호들 중 제어신호 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가 육성으로 경고를 발성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하는 마이크 스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발성하는 육성경고음을 전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마이크와; 일 입력측으로는 상기 음향 저장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타 입력측으로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마이크 스위치가 온동작하면 상기 마이크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 스위치가 오프동작하면 상기 음향 저장부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전달경로 스위칭 수단를 포함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마이크 센트와 일체화되어 있는 경보사이렌 조작장치 및 경보용 앰프 본체의 연결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상세 회로도이다.
상기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경보용앰프 본체(10)와 경보사이렌조작장치를 분리하되 경보사이렌조작장치는 마이크 단말기에 병합되어 일체화되어진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단말기는 통상의 마이크 단말기와 외관은 유사하나, 그 하우징 전면에 경찰차량용 사이렌조작스위치(24), 앰블런스용사이렌 조작스위치(23), 비상용 사이렌 스위치(25), 수동사이렌 스위치(26) 등등을 보튼 타입으로 각각 돌출 되도록 형성하며, 마이크 단말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마이크 방송을 위한 버튼 스위치(27)가 구비되어 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볼륨 조정을 위한 로터리형 볼륨 조정을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차량용 오디오마이크본체(20)에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지며, 이때의 연결은 짹(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오디오마이크본체(20)는 상기 경보용앰프 본체(10)와 컨넥터(도시하지 않았음)로 연결되며, 이때의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용 오디오마이크본체(20)는 외부 스피커(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마이크를 통한 육성 경고음 혹은 각종 사이렌 음향을 표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회로적으로 간략히 도시하면 첨부한 도 3과 같으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23 내지 26으로 지칭되는 제 1 내지 제 4버튼은 상기 도 2의 설명에서 언급하였던 스위치들로써,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상기 제 1 내지 제 4버튼(23~26)을 사용자(운전자)가 선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선택되었다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1)과, 상기 마이컴(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음향신호들 중 제어신호 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저장부(22)와, 상기 사용자가 육성으로 경고를 발성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하는 마이크 스위치(27)와, 상기 사용자가 발성하는 육성경고음을 전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마이크(MIC)와, 일 입력측으로는 상기 음향 저장부(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타 입력측으로는 상기 마이크(MIC)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마이크 스위치(27)가 온동작하면 상기 마이크(MIC)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 스위치(27)가 오프동작하면 상기 음향 저장부(22)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전달경로 스위칭 수단(SW)과, 상기 스위칭 수단(SW)의 출력을 입력받고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경보용앰프 본체(10)를 통해 제공되는 출력신호 게인에 따른 신호를 기준으로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향을 출력하는 차량용 오디오마이크본체(20)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경보용앰프 본체(10)를 통해 제공되는 출력신호 게인의 사용자 조정은 참조번호 RVS로 지칭되는 로터리 볼륨 조정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앰블런스용사이렌 조작스위치(23), 경찰차량용 사이렌조작스위치(24), 비상용 사이렌 스위치(25), 수동사이렌 스위치(26)등으로 대표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버튼(23~26)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운전자)가 선택하였다고 마이컴(21)에서 판단하면, 상기 마이컴(21)은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음향 저장부(22)에 입력되는데, 상기 음향 저장부(22)는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어드레스 신호로 인식하여 해당 어드레스 신호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는 음향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버튼(23~2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육성으로 경고를 발성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하는 마이크 스위치(27)는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신호 전달경로 스위칭 수단(SW)은 하나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상기 음향 저장부(22)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버튼(23~2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황 혹은 선택하지 않은 상황과 관계없이 육성으로 경고를 발성하고자 하는 경우 마이크 스위치(27)를 온동작시킨 상태에서 마이크(MIC)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육성을 입력시키면 상기 신호 전달경로 스위칭 수단(SW)은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만을 출력시키게 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버튼(23~26)의 선택에 따른 앰블런스용 사이렌, 경찰차량용 사이렌, 비상용 사이렌, 수동 사이렌 등등의 음향은 중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신호 전달경로 스위칭 수단(SW)의 출력신호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증폭하여 전달하는 로터리 볼륨 조정스위치(RVS)는 앰프 본체(10)측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로터리 볼륨 조정스위치(RVS)의 조정에 따라 특정 음향이 실질적으로 증폭될 수 있도록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오디오마이크본체(20)를 통해 외부로 경고음향이 표출되어진다.
상기 수동 사이렌(26)은 온동작시 기타 다른 사이렌 버튼의 동작을 모두 초기화 시키게되며, 특정한 톤의 음향(예를 들어, "삑~삑~")이 출력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21)과 음향 저장부(22) 및 마이크(MIC)는 전원스위치(PSW)의 온동작시에 한하여 구동되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를 제공하면, 경보용 앰프본체와 경보사이렌 조작장치를 분리구성하여 차량내에 설치 용이토록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마이크 단말기와 유사한 외관의 하우징 전면에 경찰차량용 사이렌조작스위치(24), 앰블런스용사이렌 조작스위치(23), 비상용 사이렌 스위치(25), 수동사이렌 스위치(26) 등등을 보튼 타입으로 각각 돌출 되도록 형성하며, 해당 하우징의 측면에는 마이크 방송을 위한 버튼 스위치(27) 및 볼륨 조정을 위한 로터리형 볼륨 조정을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4버튼(23~26)을 사용자(운전자)가 선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선택되었다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1)과:
    상기 마이컴(2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음향신호들 중 제어신호 그에 대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저장부(22)와;
    상기 사용자가 육성으로 경고를 발성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하는 마이크 스위치(27)와;
    상기 사용자가 발성하는 육성경고음을 전기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마이크(MIC)와;
    일 입력측으로는 상기 음향 저장부(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타 입력측으로는 상기 마이크(MIC)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마이크 스위치(27)가 온동작하면 상기 마이크(MIC)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 스위치(27)가 오프동작하면 상기 음향 저장부(22)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전달경로 스위칭 수단(S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KR2020020018256U 2002-06-17 2002-06-17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KR200291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256U KR200291436Y1 (ko) 2002-06-17 2002-06-17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256U KR200291436Y1 (ko) 2002-06-17 2002-06-17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436Y1 true KR200291436Y1 (ko) 2002-10-09

Family

ID=7308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256U KR200291436Y1 (ko) 2002-06-17 2002-06-17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4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6835B2 (ja) カーステレオ
US20130208912A1 (en) Simulation of engine sounds in silent vehicles
US5034996A (en) Sound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harness
JP2013177095A (ja) 車外音導入装置
US5108335A (en) Sound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harness
JP4798474B2 (ja) 後進警報器
US6812854B1 (en) Mirror mounted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WO2008041393A1 (fr) dispositif À courants porteurs en ligne
KR20240054949A (ko) 자동차의 무선 경적장치
KR200291436Y1 (ko) 차량용 경광음 조작장치
CN211087525U (zh) 一种车载行驶语音提示系统
JPH04358936A (ja) 車両用音声伝達装置
KR102040918B1 (ko)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JP2002112400A (ja) カー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H10283573A (ja) 緊急電波発信装置付き緊急車両、緊急電波受信装置付き車両及び緊急電波受信装置付き電子機器
JP2007269044A (ja) 車載用発音装置
KR200207834Y1 (ko) 차량의 혼 작동용 무선 송수신 장치
JP2002023761A (ja) 車両用電子サイレン装置
CN215904404U (zh) 一种用于车辆的行人提示装置及汽车
KR20190059586A (ko) 자동차용 무선 보조 클락션 시스템
JPH0141247Y2 (ko)
CN214202151U (zh) 一种基于can总线的电动车音效装置
KR200176394Y1 (ko) 차량장착 휴대폰용 무선 핸드프리킷
JP3271858B2 (ja) 車載用音響装置
JP2565822Y2 (ja) 車搭載用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