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050Y1 -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050Y1
KR200270050Y1 KR2020020000520U KR20020000520U KR200270050Y1 KR 200270050 Y1 KR200270050 Y1 KR 200270050Y1 KR 2020020000520 U KR2020020000520 U KR 2020020000520U KR 20020000520 U KR20020000520 U KR 20020000520U KR 200270050 Y1 KR200270050 Y1 KR 200270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cover
vehicle d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2020020000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050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등에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케이스 덮개(40)상의 접속구(45)에 상부로 절곡 성형된 상하 탄지편(44a)(44b)에 의해 연결부(44c)를 형성한 형태의 연결단자(43)(43')(43")를 좌우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연결단자(42)(42')(43")가 삽입되도록 조립홈(52)(52')(52")을 형성하는 보호커버(50)를 연결단자(42)(42')(42")를 감싸도록 조립 설치하여 실내등과,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온,오프 작동부의 전원선에 터미널핀(60)을 연결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덮개상의 연결단자와, 실내등,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온,오프 작동부의 전원선과 연결을 상호 터미널 타입의 단자로 형성하여 그 조립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작업을 편리하게 제공하고, 또한, 상기 연결단자를 보호커버로 감싸 파손등의 우려로 부터 보호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A PUSH LOCK SWITCH FOR A CAR ROOM LAMP}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등에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실내등 전원과의 연결방식을 터미널 타입의 단자로 형성하므로서 단자의 연결조립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게 제공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는 점, 소등의 작동을 위한 푸쉬록 스위치가 결합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쉬록 스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노브(2)와; 상기 노브(2)에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4)이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에 의해 탄발적으로 내장되는 케이스(5) 및 상기 케이스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 덮개(7)로 대별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덮개(7)에는 하부의 고정접지판(미도시)과, 상부의 연결단자(7')가 일체로 인서트 성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푸쉬록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밀어주면,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4)을 압축하며 전진한 상태로 미도시된 록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에는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덮개(7)의 고정접지판에 접지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을 온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다시 밀어주면, 상기 미도시된 록부재가 고정해지하면서 탄발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3)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에는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판(4)이 상기 덮개(7)의 고정접지판과 어긋나면서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을 오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푸쉬록 스위치는 이를 자동차의 실내등에 전원을 연결 설치하기 위한 연결단자(7')가 단순히 고리형태로만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7')에 실내등의 전원선(9)을 연결하고, 남땜등에 의해 고정하는 형태로 밖에는 연결할 수 없어, 그 조립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7')가 외부로 노출되게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어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어 전원을 연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등과의 전원선의 연결을 상호 터미널 타입의 단자로 형성하여 단자의 연결조립 및 분리에 따른 작업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외부 충격에 대해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실내등을 전원선과의 연결은 물론 챠량도어의 개폐에 연계적으로 온, 오프작동하는 작동부 전원선과의 연결을 상호 터미널 타입의 단자로 형성하여 단자의 연결조립 및 분리에 따른 작업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외부 충격에 대해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덮개와 일체로 인서트 성형되는 접속구의 연결단자를 절곡 성형된 상하 탄지편에 의해 연결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하여 실내등과,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온,오프 작동부의 전원선에 터미널핀을 연결한 상태로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연결단자의 상부로 보호로커버를 감싸도록 조립 설치한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푸쉬록 스위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은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덮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 플런저 30: 케이스
40: 덮개 42,42',42": 접지판
43,43',43": 연결단자 50: 보호커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노브(10)와; 상기 노브(10)에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25)이 설치된 플런저(20)와; 상기 플런저(20)가 탄발 내장되는 케이스(30) 및 상기 케이스 (30)상부로 결합되되 저면에 고정접지판(42)(42')과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단자를 일체 형성한 접속구(45)가 인서트 성형된 상부 덮개(40)로 구성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45)에는 상부로 절곡 성형된 상하 탄지편(44a)(44b)에 의해 연결부(44c)를 형성한 형태의 연결단자(43)(43')(43")를 좌우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연결단자(43)(43')(43")가 삽입되도록 조립홈(52)(52')(52")을 형성하는 보호커버(50)를 연결단자(43)(43')(43")를 감싸도록 조립 설치하여 실내등과,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온,오프 작동부의 전원선에 터미널핀(60)을 연결한 상태로 상호 조립하도록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26,26'는 가동접지판(25)의 접점, 31은 덮개(40)의 조립돌기(41)가 지지되게 조립되는 케이스(30)의 조립요홈, 34는 탄발스프링, 35는 로크부, 51은 덮개(40)의 조립요홈(46)에 지지되게 조립되는 보호커버(50)의 조립돌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은 덮개(40) 저면의 고정접지판(42)(42')과, 상부에 절곡된 상하 탄지편(44a)(44b)에 의해 연결부(44c)를 일체로 형성하는 세개의 연결단자(43)(43')(43")를 일체 형성하는 접속구(45)를 상기 덮개(40)와 함께 인서트 성형하여 얻게 된다.
이와 같은 덮개(40)는 케이스(30)에 조립돌기(41)와 조립요홈(31)에 의해 상호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고, 그 상부로는 보호커버(50)를 조립하므로서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실내등의 전원선에 연결된 터미널핀(60)을 상기 덮개(40)에 구비된 연결단자(43)(43')에 삽입하여 조립하고,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 작도하도록 하는 온,오프 작동부(미도시)의 전원선에 연결된 터미널핀(60)을상기 덮개(40)에 구비된 나머지 연결단자(43")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다수의 전원선을 연결하고 별도의 납땜작업 등을 행해야하는 불편함이 배제되고 간편하게 조립은 물론 분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본 고안은 상기 연결단자(43)(43')(43")를 외부에서 보호커버(50)가 감싸고 있어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보호커버(50)를 조립식으로 구비하여 부품 고장시 용이하게 분리하여 내부의 부품 수리가 가능하게도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덮개상의 연결단자와, 실내등,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른 작동부의 전원선과 연결을 상호 터미널 타입의 단자로 형성하여 그 조립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작업을 편리하게 제공하고, 또한, 상기 연결단자를 보호커버로 감싸 파손등의 우려로 부터 보호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전방의 노브(10)와; 상기 노브(10)에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25)이 설치된 플런저(20)와; 상기 플런저(20)가 탄발 내장되는 케이스(30) 및 상기 케이스 (30)상부로 결합되되 저면에 고정접지판(42)(42')과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단자를 일체 형성한 접속구(45)가 인서트 성형된 상부 덮개(40)로 구성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45)에는 상부로 절곡 성형된 상하 탄지편(44a)(44b)에 의해 연결부(44c)를 형성한 형태의 연결단자(43)(43')(43")를 좌우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연결단자(43)(43')(43")가 삽입되도록 조립홈(52)(52')(52")을 형성하는 보호커버(50)를 연결단자(43)(43')(43")를 감싸도록 조립 설치하여 실내등과, 차량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온,오프 작동부의 전원선에 터미널핀(60)을 연결한 상태로 상호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2020020000520U 2002-01-08 2002-01-08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200270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20U KR200270050Y1 (ko) 2002-01-08 2002-01-08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20U KR200270050Y1 (ko) 2002-01-08 2002-01-08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050Y1 true KR200270050Y1 (ko) 2002-03-29

Family

ID=7311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520U KR200270050Y1 (ko) 2002-01-08 2002-01-08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65Y1 (ko) 2010-01-19 2011-12-20 유철상 양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푸쉬스위치의 전원공급단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65Y1 (ko) 2010-01-19 2011-12-20 유철상 양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푸쉬스위치의 전원공급단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074B2 (en) Memory card adaptor
US7122752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20070155249A1 (en) Vehicle power plug with a control switch
EP3043424B1 (en) Electrical socket outlet
US20100197171A1 (en) Connector
US11167624B2 (en) Back door handl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397713B (zh) 照明单元
US5378165A (en) Plug detection electrical receptacle
KR200270050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US7715179B2 (en) Power supply for a computer device
US11432411B2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270051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102550190B1 (ko) 정션블록
US4163275A (en) Converter means for vehicle light
US5436421A (en) Progressive switch
JPH07296879A (ja) 電気コネクタ
JPH07169534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3470381B2 (ja) ポジション信号発生スイッチ
KR200435922Y1 (ko) 후드 스위치
JP4194251B2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309297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전원연결구조
KR20020009894A (ko) 자동차의 도어스위치
US11282657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or supplying information on a recharging operation of an electric motor-vehicle or a hybrid motor-vehicle
JP4049128B2 (ja) テーブルタップ
KR200309298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