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961Y1 - 조리기물 - Google Patents

조리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961Y1
KR200269961Y1 KR2020010039202U KR20010039202U KR200269961Y1 KR 200269961 Y1 KR200269961 Y1 KR 200269961Y1 KR 2020010039202 U KR2020010039202 U KR 2020010039202U KR 20010039202 U KR20010039202 U KR 20010039202U KR 200269961 Y1 KR200269961 Y1 KR 200269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steak
aluminum
cookwa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견
소화알루미뷰테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견, 소화알루미뷰테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견
Priority to KR2020010039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961Y1/ko

Links

Landscapes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가볍고 열전달 효율이 높으며 용기의 미관을 살리고 내구성이 향상된 조리기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중심에 알루미늄제심재를 두고, 그 심재의 일측 표면에는 철제 피복재층을, 그리고 타측 표면에는 스페인레스제나 티타늄제의 피복재층을 피복시켜서 된 복합적층재로서 조리기물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조리기물{Cook ware}
본 고안은 레스토랑이나 식당등에서 사용되는 스테이크접시, 후라이팬, 중국 냄비등의 조리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테이크 접시의 대부분은 주철로 만들어져있다. 스테이크 접시를 주철로 만드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의 가장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스테이크 접시는 이것을 직화 또는 오븐 등에서 고온 가열하는 일이 많고 스테이크접시를 도자기등으로 만들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접시 위에 얹힌 스테이크를 나이프로 자를 경우 주철제 접시의 경우에는, 나이프에 의해 긁히더라도 상처가 잘나지 않으며, 또 상처가 난 경우에도 산화피막이 있으므로 상처가 눈에 잘 뜨이지 않는다는 점도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후라이팬이나 중국냄비는 한장의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많다. 철제의 것은 그의 감각에 의해 요리를 돋보이게 한다는 잇점도 있고, 요리에 철분도 보급 할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으며, 또 알미늄제인 것은 무엇보다도 경량이라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주철제 스테이크 접시는 대단이 무거워서 약 1kg 정도의 무게가 나가고 있다.
이와같이 무거운 스테이크 접시를 목제의 받침대에 얹어 접시에 요리를 담으면 전체 중량이 2kg 정도되므로 이것을 다루는 종업원의 손목, 팔에 걸리는 부담은 대단하여 장기노동으로 손목이나 팔에 근육염등의 직업병이 발생할 수가 있다. 특히 여자 웨이트리스나 설거지를 담당하는 종업원에서 직업병의 발생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 한장의 철판으로 만들어진 후라이팬이나 중국냄비도 주철제 스테이크 접시와 마찬가지로 무겁고, 한장의 알루미늄판으로 만든 후라이팬이나 중국 냄비는 요리의 느낌을 손상하며, 요리에 철분을 보급할 수가 없고 부식성이 커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강도가 높고 표면 광택이 우수하고, 내식성이 높은 스테인레스제조기물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스테인레스제의 경우 철제 보다도 열전도성이 나빠 온도분포가 용기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여 소위 온도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볍고 열전달 효율이 높으며 용기의 미관을 살리고 내구성이 있는 조리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물은 알루미늄제 심재와, 용기의 내측면을 형성토록 상기 알루미늄제 심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스테인레스제 및 티타늄중에서 선택되는 상부(내측) 피복재층과,
상기 알루미늄제 심재의 바닥으로 적층되는 하부(외측) 철제 피복재층으로 된 복합적층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루미늄이란 순수알루미늄외에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것이며, 철이란 순철외에 철합금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물에서는 알루미늄제 심재를 갖는 복합적층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체가 주철제 또는 한장의 철판제의 것과 비교하여 경량이며, 용기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재질이 스테인레스 또는 티타늄 합금이어서 미려한 색상을 가지며, 알루미늄에 의해 열분포가 고르게 유지되고 강도가 큰 철재 및 스테인레스 또는 티타늄제가 알루미늄제 심재를 감싸고 있어 강도가 크고 알루미늄의 취약한 내식성을 크게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조리기물인 스테이크 접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스테이크 접시 12 : 목재받침대
13 : 스테이크 21 : 알루미늄제 심재
22 : 상부 피복재층 23 : 하부피복재층
24 : 산화피막 25 : 알루미늄피복재층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조리기물인 스테이크 접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테이크 접시(11)는 거의 사각 형상의 접시모양이며, 가열된 상태에서 목제의 대(12)에 얹혀 있다. 스테이크 접시(11)에는 스테이크 등의 요리(13)가 얹혀지며, 스테이크 접시는 복합적층재로 형성되어 있다. 복합적층재는 제1도와 같이 알루미늄제심재(21) 및 이것의 양면에 각각 마련된 상하부 피복재층(22,23)의 다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늄제 심재(21)의 상면, 즉 용기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적층되는 상부 피복재층(22)은 스테인레스제 또는 티타늄합금제로 구성되고, 화기에 접촉하는 용기의 바닥면은 하부 철제피복재층(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심재(21)의 두께는 대략 2.4mm이며, 상하부 피복재층(22,23)의 두께는 0.3mm~1.0mm이다. 또 하부 철제피복재층(23)에는 열처리가 되어 있어, 그의 표면에는「흑피」라는 산화피막(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에서와 같이 스테인레스재로 된 상부 피복재층(22)위에 알루미늄피복재층(25)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스테이크접시(11)를 고온가열하였으나 비틀어짐이나 휘어짐을 볼 수 없었다. 이는 심재(21)의 양면에 강도가 높은 철제와 스테인레스제 또는 티타늄으로 된 상하부 피복재층(22,23)이 상하에 2층으로 존재하는 것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만약 알루미늄제 심재의 한쪽면만 철제 피복재가 있다면 바이메탈과 같이 알루미늄제와 철제의 열팽창 차이에 따라 가열시에 비틀어짐이나 휘어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상기 복합적층재로 만들어진 스테이크접시(11)는 같은 사이즈의 주철제와 비교하면 무게는 60~80%정도로서, 예를 들어 종래의 주철제 스테이크 접시의 무게가 1kg이라 한다면 0.6kg 정도의 무게가 나가게 된다.
또 상기 복합적층재로 후라이팬을 만들면 그의 외관은 한장의 철판제와 조금도 다르지 않으므로 철제후라이팬의 애호가가 많은 요리의 프로나 가정주부에게 환영받는다.
본 고안은 전체가 주철제 또는 철판제와 비교하여 경량이므로 취급이 편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이를 취급하는 사람에게 피로를 유발하는 일이 없고 외관이 미려하며, 알루미늄제에 의해 온도 분포 특성이 고르게되어 용기 내면에 온도 얼룩이 생기는 일이 없는 조리기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종의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심재의 양측을 강도가 높고 내식성이 큰 철제 및 스테인레스제(또는 티타늄)가 감싸고 있어 열팽창 차이에 의한 비틀어짐이나 휘어짐이 방지되고 내식성이 있어 내구성 있는 조리기물이 제공되어지게 된다.

Claims (2)

  1. 알루미늄제 심재와;
    용기의 내측면을 형성토록 상기 알루미늄제 심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스테인레스제 및 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상부 피복재층과;
    상기 알루미늄제 심재의 바닥으로 적층되는 하부 철제 피복재층; 으로 된 복합적층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피복재층 위에 알루미늄 피복재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물.
KR2020010039202U 2001-12-18 2001-12-18 조리기물 KR200269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02U KR200269961Y1 (ko) 2001-12-18 2001-12-18 조리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02U KR200269961Y1 (ko) 2001-12-18 2001-12-18 조리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961Y1 true KR200269961Y1 (ko) 2002-03-27

Family

ID=7311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02U KR200269961Y1 (ko) 2001-12-18 2001-12-18 조리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9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3631C (zh) 加热容器
RU2706815C1 (ru) Изделие с усиленной антипригарной рабочей поверхностью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0269961Y1 (ko) 조리기물
KR200269960Y1 (ko) 조리기물
CN105919408A (zh) 一种新型玻璃陶瓷不粘锅
US20230014523A1 (en) Cookware System with Removable Handles
CN102415822A (zh) 两用厨具盖
NO155999B (no) Belagt metallprodukt.
JP5050547B2 (ja) 電気炊飯器用の内鍋
EP0778744B1 (en) A bottom for frying pans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re intended for heating on a glass-ceramics surface or by magnetic induction
JPH09140593A (ja) 調理用具
CN208524500U (zh) 一种多功能锅
JPH0726984Y2 (ja) 調理器物
JP3245088U (ja) 調理器具
CN214905835U (zh) 一种可控油烟炒锅
CN111018489A (zh) 一种用于不沾炊具的骨瓷材料及其应用、不粘炊具及其制造方法
CN205251205U (zh) 电磁炉大炒锅
JP3048099U (ja) 加熱調理容器
KR200298123Y1 (ko) 전자레인지용 구이팬
CN214760515U (zh) 健康炒锅
Lemme The ideal pot
EP4099877B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comprising a non-stick coating
CN106667232A (zh) 电磁炉大炒锅
JP3243640U (ja) 石目模様の鍋
KR200260528Y1 (ko) 조리용기(調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