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09Y1 -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 Google Patents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09Y1
KR200267709Y1 KR2019990008376U KR19990008376U KR200267709Y1 KR 200267709 Y1 KR200267709 Y1 KR 200267709Y1 KR 2019990008376 U KR2019990008376 U KR 2019990008376U KR 19990008376 U KR19990008376 U KR 19990008376U KR 200267709 Y1 KR200267709 Y1 KR 200267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haft
power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912U (ko
Inventor
안지용
Original Assignee
안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용 filed Critical 안지용
Priority to KR2019990008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09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9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0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ley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장치의 동력을 피동력장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장치의 축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커플링 또는 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공구없이 조임용너트를 손쉽게 풀수 있고 회전력에 의해 동력전달부재가 축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력장치의 동력전달부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동력장치의 동력을 피동력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에 있어서, 동력장치와 피동력장치의 축(1)(2)에 끼움 설치할 수 있도록 축공(14)을 가지고 있고, 상기 축공(14)은 축공 길이를 따라 형성된 슬롯홀(11)에 의해 절개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조임너트(3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2)가 형성된 일단에서 스프링지지판(13)이 형성되어 있는 타단으로 가면서 확관되어 있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슬리브의 축공(14)을 오므릴 수 있게 슬리브(1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진 삽입공(21)을 가지고, 피동력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벨트(22) 또는 연결체(23)가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슬리브(10) 일단으로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어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진 연결부재(20)를 스프링지지판(13)쪽으로 밀어 슬리브(10)를 축(1)(2)에 밀착 시킴과 동시에 풀림에 의하여 연결부재(20)를 슬리브(10)로부터 이완시키는 조임너트(3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스프링지지판(13)과 연결부재(20) 사이에 개재되어서 축(1)(2)에 설치된 연결부재(20)가 회전력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시에는 반발력에 의해 조임너트(30)의 풀림을 원활하게 해주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동력전달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동력장치의 동력전달부재{AAAAA}
본 고안은 동력장치의 동력을 피동력장치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장치의 축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커플링 또는 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공구없이 조임용너트를 손쉽게 풀수 있고 회전력에 의해 동력전달부재가 축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력장치의 동력전달부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력장치(예:구동모터)의 동력을 피동력장치로 전달하는 커플링 또는 풀리(이하 '동력전달부재'라 함)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 조립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본원 출원인이 출원번호 97- 1145호로 실용신안등록출원 한바 있다.
선출원된 동력전달부재는, 축에 끼워진 슬리브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를 조이면 슬리브의 외측으로 끼워진 플랜지가 전진하면서 슬리브를 축에 긴밀하게 밀착시킴과 동시에 플랜지의 관부 삽입공이 슬리브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져 있어 플랜지는 슬리브와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도록 하였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동력장치의 축과 피동력장치의 축에 동력전달부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벨트 또는 연결체를 동력전달부재에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동력전달부재를 축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조임너트를 슬리브 나사부에서 풀어 플랜지를 후진시키면, 플랜지가 슬리브로부터 이완 되어짐과 동시에 축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던 슬리브도 축으로부터 헐거워져 동력전달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축에 조립 설치되는 종래의 동력전달부재(커플링, 풀리)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분리 조립할 수 있으나, 축으로부터 동력전달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조임너트를 풀을때 많은 힘이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동력전달부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축에 끼워지는 슬리브의 일측단에 스프링지지판을 형성하고, 스프링지지판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스프링에 슬리브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연결부재가 탄성지지되어질 수 있게 한 것으로, 동력장치의 축 및 피동력장치의 축에 조립되어진 동력전달부재를 분리할때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조임너트가 슬리브의 나사부에서 손쉽게 풀어져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분리할 수 있는 동력장치의 동력전달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동력장치의 동력전달부재를 분리 구성한 측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가 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의 다른 실시 예시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슬리브 11 : 슬롯홀
12 : 나사부 13 : 스프링지지판
14 : 축공 20 : 연결부재
21 : 삽입공 22 : 벨트
23 : 연결체 30 : 조임너트
40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동력장치의 동력을 피동력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에 있어서.동력장치와 피동력장치의 축(1)(2)에 끼움 설치할 수 있도록 축공(14)을 가지고 있고, 상기 축공(14)은 축공 길이를 따라 형성된 슬롯홀(11)에 의해 절재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조임너트(3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2)가 형성된 일단에서 스프링지지판(13)이 형성되어 있는 타단으로 가면서 확관되어 있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슬리브의 축공(14)을 오므릴 수 있게 슬리브(1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진 삽입공(21)을 가지고, 피동력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벨트(22) 또는 연결체(23)가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슬리브(10) 일단으로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어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진 연결부재(20)를 스프링지지판(13)쪽으로 밀어 슬리브(10)를 축(1)(2)에 밀착 시킴과 동시에 풀림에 의하여 연결부재(20)를 슬리브(10)로부터 이완시키는 조임너트(3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스프링지지판(13)과 연결부재(20) 사이에 개재되어서 축(1)(2)에 설치된 연결부재(20)가 회전력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시에는 반발력에 의해 조임너트(30)의 풀림을 원활하게 해주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연결부재(20)는 풀리 또는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동력장치의 동력전달부재를 분리 구성한 측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가 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의 다른 실시 예시의 단면 구성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력전달부재는, 키홈에 키(3)가 체결되어진 동력장치의 축(1)과 피동력장치의 축(2)에 조임너트(30)를 끼우고, 그 다음 연결부재(20)를 끼운 후, 스프링(40)을 끼운 상태에서 축의 키홈에 체결된 키에 슬롯홀(11)이 일치되게 하여 슬리브(10)의 축공(14)을 끼운다.먼저, 도1과 도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인 풀리를 축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축(1)(2)에 동력전달부재에 풀리를 위치시켜 가조립한 상태에서 슬리브(10)의 스프링지지판(13)에 스프링(40)의 일단이 지지되어지게 위치시킨다.스프링(40)이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위치하여진 상태에서 연결부재(20)인 풀리를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위치시킨 다음 슬리브(10)의 나사부(12)에 조임너트(3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임너트(30)를 나사부(12)에 조이면, 연결부재(20)인 풀리가 슬리브(10)의 외주면을 타고 전진하게 되고, 풀리가 전진할 때 슬리브(1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진 내경을 가지는 삽입공(21)이 슬리브(1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슬리브(10)를 축(1)(2)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지게 된다.이때, 풀리와 슬리브(10)의 스프링지지판(13) 사이로 위치한 스프링(40)은 압축되어 반발력에 의해 풀리를 버팀지지 시키게 되어 풀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게 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1)(2)에 설치되어진 동력전달부재의 풀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벨트(22)을 도2에서와 같이 연결시켜 동력장치의 동력을 피동력장치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축(1)(2)에 고정되어진 동력전달부재를 축(1)(2)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슬리브(10)의 나사부(12)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30)를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연결부재(20)인 풀리가 스프링(40)의 반발력에 의해 후진 함과 동시에 조임너트(30)가 슬리브(10)의 나사부(12)로부터 수월하게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20)인 풀리가 스프링(40)에 의해 후진하여 슬리브(10)로부터 이완되어지면 슬리브(10)도 축(1)(2)에서 헐거워져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부재(20)를 풀리가 아닌 커플링을 채택한 것으로, 동력장치의 축과 피동력장치의 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축(1)(2)에 고정 설치된 연결부재(20)인 커플링의 사이에 연결체(23)를 개재시켜 커플링의 톱니형상 내면에 연결체(23) 톱니형상 외주면을 맞물림 고정시켜 동력장치의 동력을 피동력장치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동력장치의 동력전달부재는, 동력장치의 축 및 피동력장치의 축에 조립되어진 동력전달부재를 분리할때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조임너트가 슬리브의 나사부에서 손쉽게 풀어져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분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동력장치의 동력을 피동력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에 있어서.
    동력장치와 피동력장치의 축(1)(2)에 끼움 설치할 수 있도록 축공(14)을 가지고 있고, 상기 축공(14)은 축공 길이를 따라 형성된 슬롯홀(11)에 의해 절개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조임너트(3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2)가 형성된 일단에서 스프링지지판(13)이 형성되어 있는 타단으로 가면서 확관되어 있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슬리브의 축공(14)을 오므릴 수 있게 슬리브(1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테이퍼진 삽입공(21)을 가지고, 피동력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인 벨트(22) 또는 연결체(23)가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슬리브(10) 일단으로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어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진 연결부재(20)를 스프링지지판(13)쪽으로 밀어 슬리브(10)를 축(1)(2)에 밀착 시킴과 동시에 풀림에 의하여 연결부재(20)를 슬리브(10)로부터 이완시키는 조임너트(3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스프링지지판(13)과 연결부재(20) 사이에 개재되어서 축(1)(2)에 설치된 연결부재(20)가 회전력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시에는 반발력에 의해 조임너트(30)의 풀림을 원활하게 해주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동력전달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동력전달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의 동력전달부재.
KR2019990008376U 1999-05-15 1999-05-15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KR200267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376U KR200267709Y1 (ko) 1999-05-15 1999-05-15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376U KR200267709Y1 (ko) 1999-05-15 1999-05-15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12U KR20000020912U (ko) 2000-12-15
KR200267709Y1 true KR200267709Y1 (ko) 2002-03-15

Family

ID=5476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376U KR200267709Y1 (ko) 1999-05-15 1999-05-15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371B1 (ko) * 1999-06-14 2003-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12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069A (en) Disengagement-preventing mechanism and bush cutter provided with disengagement-preventing mechanism
SU1718732A3 (ru) Закре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его варианты) и закрепите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US8061924B2 (en) Clamping element for connecting a motor shaft to a transmission via a hub
KR100394261B1 (ko) 두개의 샤프트의 토크전달가능 연결부를 위한 비틀림상강성이고, 유극이 없으며, 가요성인 금속 벨로스형 커플링
IE862695L (en) Fixing a handle on a tool
KR200267709Y1 (ko)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JP3103778U (ja) 取付け装置
CA2143703C (en) Chucking device for fixing a hollow shaft to a shaft
SU1656220A1 (ru) Торцовое крепление ступицы на конце вала
KR200165803Y1 (ko) 커플링
JP2001124100A (ja) かじ取り組立体のスラップヨーク用軸デプレッサ
KR200488688Y1 (ko) 풀리 연결용 커플링
ES2147958T3 (es) Acoplamiento roscado para varillas de transmision de fuerza.
KR200198253Y1 (ko) 파이프 및 축 이음쇠 구조
KR200362055Y1 (ko) 개선된 장,탈착구조를 갖는 벨트풀리
KR200320705Y1 (ko)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KR19980057037U (ko) 커플링의 동력전달 연결부재
KR200324231Y1 (ko) 커플링볼트 결합구조
JPH0440805Y2 (ko)
JP3031803U (ja) カップリング装置
JP2001003917A (ja) 鋼材接続レンチ用引抜き・合わせナット
KR200205864Y1 (ko) 축 이음 장치
KR0120864Y1 (ko) 회전축 고정장치
KR930006606Y1 (ko) 경운기용 분무기의 동력전달장치
JP2600026Y2 (ja) 自動ソケット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