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371B1 -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371B1
KR100375371B1 KR10-1999-0022078A KR19990022078A KR100375371B1 KR 100375371 B1 KR100375371 B1 KR 100375371B1 KR 19990022078 A KR19990022078 A KR 19990022078A KR 100375371 B1 KR100375371 B1 KR 10037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ater pump
engine
pump pulle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327A (ko
Inventor
윤지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3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01P5/12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에 설치되는 워터 펌프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의 일체형 워터 펌프 풀리 대신에 2개의 분리 조합형 워터 펌프 풀리를 채용하면서 텐션수단을 함께 포함하여 워터 펌프 풀리가 축방향으로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체 진동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까지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Water pump pulley of engin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에 설치되는 워터 펌프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전의 일체형 풀리를 배제하고 텐션가능한 조합형 풀리를 제공함으로써, 진동감쇠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 펌프 풀리는 차량 엔진의 냉각장치에서 크랭크 축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으며 크랭크 축의 동력을 워터 펌프로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워터 펌프 풀리는 엔진에 근접 설치되기 때문에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직접 받게 되고, 또 엔진 가동중에는 계속해서 회전을 하게 되므로 벨트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진동이나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차량의 엔진에는 이러한 진동특성을 감안하여 각종 소음차단 및 진동감쇠 요소들을 갖추고 있기는 하나 풀리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운동하는 요소에 대한 고려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전의 일체형 워터 펌프 풀리 대신에 2개의 분리 조합형 워터 펌프 풀리를 채용하면서 텐션수단을 함께 포함하여 워터 펌프 풀리가 축방향으로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체 진동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까지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프링 자리홈 11 : 풀리 케이스
12 : 풀리 보디 13 : 리테이너
14 : 스프링 15 : 스프링 서포터
16a,16b : 걸림턱 17 : 베어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에 있어서, 상기 워터 펌프 풀리는 각각의 스프링 자리홈(10)을 갖는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의 조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는 리테이너(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동시에 스프링(14)을 포함하면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미소 유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스프링 자리홈(10)의 내측에는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 사이에 걸쳐지면서 스프링(14)을 지지해주는 관형태의 스프링 서포터(1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 펌프 풀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워터 펌프 풀리는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의 2개로 분리 제작되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상기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에는 각각 분리면에서부터 안쪽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면서 원주방향으로 통해 있는 형태의 스프링 자리홈(10)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홈에 스프링(14)의 길이 반씩 수납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프링 자리홈(10)의 바깥쪽 테두리 둘레에는 걸림턱(16a)이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스와 보디가 서로 리테이너(13)를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링형태를 하고 있는 리테이너(13)의 양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1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16b)이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에 있는 각 걸림턱(16a)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리테이너(13)를 사이에 두고 케이스와 보디가 일체식으로 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걸림턱 간의 강제 체결시 체결되는 쪽을 라운드 처리하고, 또 프레스등을 이용하면 서로 간의 걸림턱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5는 스프링 서포터를 나타낸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15)는 길다란 얇은 관형태로 되어 있으며, 케이스와 보디에 있는 스프링 자리홈(10)내에서 홈 안쪽면에 밀착 설치되면서 스프링(14)의 운동을 지지해주는 동시에 케이스와 보디의 운동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은 베어링을 나타낸다.
따라서,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를 리테이너(13)를 이용하여 서로 간의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고, 또 스프링(14)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일정범위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벨트를 통한 전동시 케이스와 보디 간의 텐션작용에 의해 진동발생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게 되며,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까지도 흡수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전의 일체형에서 2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벨트와의 마찰면에서 발생하는 열도 쉽게 흡수 및 발산시킬 수 있으므로 풀리의 내구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워터 펌프 풀리를 2개의 조합형으로 만들면서 각각이 서로 텐션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자체적으로 진동발생을 억제하고 엔진으로 부터 전해지는 진동도 흡수 및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엔진의 전체적인 소음차단 및 진동감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에 있어서,
    상기 워터 펌프 풀리는 각각의 스프링 자리홈(10)을 갖는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는 리테이너(13)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걸림턱(16a)을 통해 리테이너(13)의 걸림턱(16b)에 걸려지면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동시에 내측에는 풀리 케이스(11)와 풀리 보디(12) 사이에 걸쳐지면서 스프링(14)을 지지해주는 관형태의 스프링 서포터(15)와 스프링(14)을 포함하면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미소 유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2. 삭제
KR10-1999-0022078A 1999-06-14 1999-06-14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KR10037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78A KR100375371B1 (ko) 1999-06-14 1999-06-14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78A KR100375371B1 (ko) 1999-06-14 1999-06-14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327A KR20010002327A (ko) 2001-01-15
KR100375371B1 true KR100375371B1 (ko) 2003-03-10

Family

ID=1959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078A KR100375371B1 (ko) 1999-06-14 1999-06-14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953A (ko) * 2002-10-17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브이벨트 교환이 용이한 브이풀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1610A (en) * 1973-11-02 1976-09-21 Skf Industrial Trading And Development Company, B.V. Water pump
JPS60111016A (ja) * 1983-11-21 1985-06-17 Nippon Soken Inc 水冷式内燃機関のウォ−タポンプ
KR850003774A (ko) * 1983-09-21 1985-06-26 사까이 데쓰노스께 변속 v풀리
JPH0564554U (ja) * 1992-02-07 1993-08-27 エヌ・オー・ケー・メグラスティック株式会社 回転変動吸収プーリ
KR20000020912U (ko) * 1999-05-15 2000-12-15 안지용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1610A (en) * 1973-11-02 1976-09-21 Skf Industrial Trading And Development Company, B.V. Water pump
KR850003774A (ko) * 1983-09-21 1985-06-26 사까이 데쓰노스께 변속 v풀리
JPS60111016A (ja) * 1983-11-21 1985-06-17 Nippon Soken Inc 水冷式内燃機関のウォ−タポンプ
JPH0564554U (ja) * 1992-02-07 1993-08-27 エヌ・オー・ケー・メグラスティック株式会社 回転変動吸収プーリ
KR20000020912U (ko) * 1999-05-15 2000-12-15 안지용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32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2684B (zh) 隔离断开器
RU2617865C1 (ru) Изолирующая разъ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коленчатого вала
KR20080113405A (ko) 무단 드라이브용 인장 장치
US11041549B2 (en) Tensioning device
US11131366B2 (en) Belt tensioner
JP2009529628A (ja) 振動吸収アイソレータ
US10677294B2 (en) Decoupler assembly
JP2005537445A (ja) 一体型プーリ及びトーショナルダンパアセンブリ
MX166201B (es) Montaje de motor o transmision amortiguado hidraulicamente de tipo de buje
JP2008298290A (ja) 巻成された線ばねをドライブプーリ内に備えたねじり振動ダンパ又はデカップラ
KR20180079331A (ko) 디커플링 텐셔너 상의 틈새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AR036535A1 (es) Montante de amortiguamiento friccional
US20160108806A1 (en) Two speed belt drive system
KR100375371B1 (ko) 차량 엔진의 워터 펌프 풀리
US9556948B2 (en) Alternator damper pulley for vehicle
US10295015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having dual elastomeric members
JP4622592B2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H04248017A (ja) 軸受アイソレータ
KR20220007721A (ko) 디커플러
KR970700298A (ko) 로크 업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유체 동역학적 커플링 장치(lock-up clutch and hydrokinetic coupling device comprising same)
JP2013124728A (ja) 回転変動吸収ダンパプーリ
JP5226813B2 (ja) ベルト取付治具
US20170146105A1 (en) Torque converter for a motor vehicle
JP2006097776A (ja) 可変径プーリ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段変速機
JP2008202776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