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508Y1 -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508Y1
KR200266508Y1 KR2020010038505U KR20010038505U KR200266508Y1 KR 200266508 Y1 KR200266508 Y1 KR 200266508Y1 KR 2020010038505 U KR2020010038505 U KR 2020010038505U KR 20010038505 U KR20010038505 U KR 20010038505U KR 200266508 Y1 KR200266508 Y1 KR 200266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mobile phone
battery
casing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원 filed Critical (주)베스트원
Priority to KR2020010038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508Y1/ko
Priority to JP2002043572A priority patent/JP3716345B2/ja
Priority to US10/081,080 priority patent/US20030114203A1/en
Priority to CN02105244A priority patent/CN142621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3Terminal boxes for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와 접속하는 배터리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이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재로 성형된 케이싱(31)에 플런저 하우징(32)을 복수개 형성하여, 그 플런저 하우징(32)의 내부에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플런저(34)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하며, 이 플런저(34)의 하부를 도전체로 된 리턴스프링(37)이 지지하도록 하여 플런저 하우징(32)의 하단부를 도전체로 된 베이스 커버부재(35)로 밀폐함으로써 상기 플런저(34)가 휴대폰 본체(10)에 결합되는 배터리(20)의 단자(21)와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하고, 케이싱(31)의 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부재(35)는 휴대폰의 PCB기판(11)에 솔더링으로 접합시켜 배터리의 전원이 플런저(34), 리턴스프링(37) 및 베이스 커버부재(35)를 차례로 통과하여 PCB기판(11)의 여러가지 전자부품에 공급되게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battery contactor for a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의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휴대폰의 본체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서로 접촉하는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몸체(4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42)과, 이 고정편(42)의 한쪽 선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고정편에 대하여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부림성형되면서 가운데부분이 위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림성형된 탄성접촉편(43)이 인터페이스 커넥터 몸체(41)를 통과하여 휴대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조립된다.
상기 종래의 배터리 접속단자는 박판의 스트립을 구부림성형하여 이루어지므로 반복하중을 오랫동안 받게 되면 탄성접촉편(43)이 고정편(42)에 대한 복원력을 잃고 변형됨으로써 배터리 단자와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아니라 상기 종래의 배터리 접속단자는 성형된 박판의 스트립이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인터페이스 커넥터 몸체에 조립하기가 어려워 조립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배터리 접속단자가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되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수명이 긴 배터리 접속단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터리 접속단자를 도시하기 위하여 휴대폰 본체로 부터 배터리를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터리 접속단자의 분리사시도,
도 3은 휴대폰의 PCB에 조립된 본 고안의 배터리 접속단자가 휴대폰의 케이스 안에 설치된 상태의 부분 조립단면도,
도 4는 종래 배터리 접속단자의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폰 본체 20: 배터리
21: 배터리 단자
30: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접속단자 31: 케이싱
32: 플런저 하우징 32a: 구멍
32b: 플런저출구 32c: 결합홈
34: 플런저 34a: 스토퍼
34b: 하단면 35: 베이스 커버부재
36: 환형 결합부 36a: 걸림돌기
37: 리턴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플런저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개의 플런저 하우징을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각 플런저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와, 상기 각 플런저 하우징에 끼워져 결합되는 환형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상기 각 플런저 하우징을 밀폐하게 결합되며 저면은 휴대폰의 PCB기판에 솔더링으로 접합되는 베이스 커버부재 및 상기 플런저 하우징의 구멍안에 삽입되어 상기 플런저를 베이스 커버부재의 바닥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플런저 구조를 가지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구조도 간단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휴대폰 본체를 나타내고, 20은 휴대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를 가르킨다. 휴대폰 본체의 배터리 결합부의 하단에 본 고안에 따른 1쌍의 배터리 접속단자(30)가 설치되어 배터리(20)의 단자(21)와 서로 접촉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접속단자(30)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갯수가 변화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3개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접속단자(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런저 하우징(32)을 구비하며,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는 케이싱(31)을 포함한다. 상기 각 플런저 하우징(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플런저(34)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32a)을 구비하고, 상단 측벽에는 상기 구멍(32a)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플런저출구(32b)가 형성된다.
상기 각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안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플런저(34)는 상기 플런저출구(32b)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출입하도록 전체적으로 상기 플런저출구(32b)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을 가지고, 하단에는 상기 플런저 하우징(32)의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상기 구멍(32a)의 직경보다 약간 작으며 플런저(34)의 전체적인 외경 보다는 큰 직경의 스토퍼(34a)가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내부에 삽입된 플런저(34)는 그 구멍(32a)안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지만, 스토퍼(34a)의 상단면이 플런저출구(32b)의 아래쪽 면에 맞닿아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각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 하단에는 동합금으로 된 베이스 커버부재(35)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부재(35)는 상면에서 돌출된 환형의 결합부(36)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의 결합부(36)는 외주면에, 상기 플런저 하우징(32)의 하단 결합홈(32c)에 걸림고정되는 환형의 걸림돌기(36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 하우징(32)의 하단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는 베이스 커버부재(35)의 환형 결합부(36)의 바닥면과 상기 플런저 하우징(32)의 내측 구멍(32a)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플런저(34)의 스토퍼(34a) 하단면 사이에는 리턴스프링(37)이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34)를 플런저 하우징(32)의 상단 플런저출구(32b)를 통하여 돌출되게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리턴스프링(37)은 동합금으로 만들어져 상단과 맞닿아 있는 플런저(34)와 베이스 커버부재(35)를 서로 통전시켜준다.
상기 플런저(34)는 상기 리턴스프링(37)의 스프링힘을 받아서 스토퍼(34a)의 상단면이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 내측 상단면에 맞닿아 정지하게 된다. 상기 리턴스프링(37)의 상단과 맞닿는 스토퍼(34a)의 하단면(34b)은 경사져 있어 리턴스프링(37)의 스프링힘을 받아서 플런저(34)가 상승할 때 흔들림없이 부드럽게 상승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터리 접속단자를 휴대폰의 PCB기판에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하단에 리턴스프링(37)의 한쪽 선단을 끼워 넣은 복수개의 플런저(34)를 케이싱(31)에 구비된 각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안에 삽입한다. 상기 플런저(34)와 리턴스프링(37)이 삽입된 각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하단에 베이스 커버부재(35)의 환형 결합부(36)를 각각 끼운 상태에서 베이스 커버부재(35)를 케이싱(31)쪽으로 눌러 주면 상기 환형 결합부(36)의 걸림돌기(36a)가 플런저 하우징(32)의 측벽 하단에 구비된 결합홈(32c)에 맞물려고정된다. 이 상태는 케이싱(31)의 저면에 베이스 커버부재(35)가 밀착하여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을 환형 결합부(36)가 밀봉함으로써 그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안에 삽입된 플런저(34)가 리턴스프링(37)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부재(35)가 결합된 케이싱(31)을 휴대폰의 PCB기판(11) 위에 솔더링으로 접합한다. 이렇게 본 고안의 배터리 접속단자를 설치한 PCB기판(11)을 휴대폰 본체(10) 내부에 설치하면 상기 플런저(34)의 상단은 휴대폰 본체(10)의 단자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본 고안의 배터리 접속단자는 스프링 플런저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특히 끼워 맞춤식으로 부품을 조립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향상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휴대폰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휴대폰 배터리 접속단자에 있어서, 내부에 플런저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개의 플런저 하우징(32)을 구비한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의 각 플런저 하우징(3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34)와, 상기 각 플런저 하우징(32)에 끼워져 결합되는 환형 결합부(36)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31)의 저면에 상기 각 플런저 하우징(32)을 밀폐하게 결합되며 저면은 휴대폰의 PCB기판에 솔더링으로 접합되는 베이스 커버부재(35) 및 상기 플런저 하우징(32)의 구멍(32a)안에서 상기 플런저(34)의 하단과 베이스 커버부재(35)의 바닥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34)를 밀어 올리며 동합금으로 만들어진 리턴스프링(37)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접속단자.
KR2020010038505U 2001-12-13 2001-12-13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KR200266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05U KR200266508Y1 (ko) 2001-12-13 2001-12-13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JP2002043572A JP3716345B2 (ja) 2001-12-13 2002-02-20 携帯電話のバッテリ接続端子
US10/081,080 US20030114203A1 (en) 2001-12-13 2002-02-21 Battery connector for mobile phone
CN02105244A CN1426212A (zh) 2001-12-13 2002-02-22 移动电话的电池连接端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05U KR200266508Y1 (ko) 2001-12-13 2001-12-13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508Y1 true KR200266508Y1 (ko) 2002-02-28

Family

ID=1971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505U KR200266508Y1 (ko) 2001-12-13 2001-12-13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114203A1 (ko)
JP (1) JP3716345B2 (ko)
KR (1) KR200266508Y1 (ko)
CN (1) CN1426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286B1 (ko) 2011-03-07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속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94B1 (ko) * 2001-07-02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CN2648627Y (zh) * 2003-08-12 2004-10-13 莫列斯公司 压接式导电端子
JP2005317227A (ja) * 2004-04-27 2005-11-10 Shin Etsu Polymer Co Ltd 圧接挟持型コネクタ
KR100662339B1 (ko) * 2004-07-0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기 기기의 접속 단자
JP4860196B2 (ja) * 2005-07-21 2012-01-2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電池装着部の防水構造
KR100800662B1 (ko) 2006-10-02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장치
US9171419B2 (en) * 2007-01-17 2015-10-27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Coin operated entertainment system
JP2009026582A (ja) * 2007-07-19 2009-02-05 Iwatsu Electric Co Ltd 携帯電子機器の電池パック収納部構造
KR101587092B1 (ko) * 2008-11-04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7736202B1 (en) 2009-01-14 2010-06-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ntact assembly for attachment to an electronics module
JP2011244156A (ja) * 2010-05-17 2011-12-01 Sharp Corp 携帯端末
CN103156576B (zh) * 2011-12-09 2015-12-16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监护仪设备组件、监护仪及监护仪模块
US8995141B1 (en) * 2012-07-27 2015-03-31 Amazon Technologies, Inc. Connector pin on springs
CN103139339B (zh) * 2013-02-07 2016-07-06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Pcb板和包括其的手机
US9502798B1 (en) * 2016-01-22 2016-11-22 Htc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2018168750A (ja) * 2017-03-30 2018-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TWI694758B (zh) * 2017-07-03 2020-05-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11714206B2 (en) * 2019-11-27 2023-08-01 Varex Imaging Corporation Removable battery connecto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6235A (en) * 1989-07-21 1991-11-19 Nec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TW243558B (ko) * 1993-03-23 1995-03-21 Whitaker Corp
JPH11250966A (ja) *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コネクタ
US6049192A (en) * 1999-03-18 2000-04-11 Motorola, Inc. Battery charger having moving door housing for a battery
US6068519A (en) * 1999-10-07 2000-05-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US6663439B2 (en) * 2001-03-02 2003-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ring biased conta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286B1 (ko) 2011-03-07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속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6212A (zh) 2003-06-25
JP3716345B2 (ja) 2005-11-16
JP2003198692A (ja) 2003-07-11
US20030114203A1 (en) 200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6508Y1 (ko)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US20080045059A1 (en) Detect switch provided with an electrical member
US7101207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6957976B2 (en) I/O connector with lock-release mechanism
US8383976B2 (en) Switch with electrical member supported in elastic folded contact
US8150476B2 (en) Battery interface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3282093B2 (ja) 携帯用電子機器の接触端子構造
TWM584993U (zh) 第一連接器及電連接器組件
KR200284437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160100615A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2008004507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arms
CN114141564A (zh) 按钮开关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US20240072485A1 (en) Connector assembly
KR200283189Y1 (ko)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CN112789770A (zh) 弹簧连接器
KR100406937B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CN216698154U (zh) 易于组装定位的开关结构
KR200284287Y1 (ko)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CN110571080A (zh) 按键防水结构
CN210110605U (zh) 一种微型按钮开关
CN214848297U (zh) 一种按压式开关
KR200284288Y1 (ko) 휴대폰의 배터리 접속단자
KR200372302Y1 (ko) 이어폰 커넥터 조립체
CN210325612U (zh) 一种用于电子产品的跷板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