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261Y1 -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261Y1
KR200265261Y1 KR2020010035246U KR20010035246U KR200265261Y1 KR 200265261 Y1 KR200265261 Y1 KR 200265261Y1 KR 2020010035246 U KR2020010035246 U KR 2020010035246U KR 20010035246 U KR20010035246 U KR 20010035246U KR 200265261 Y1 KR200265261 Y1 KR 200265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sing plate
fixing member
fixing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근
Original Assignee
홍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근 filed Critical 홍순근
Priority to KR2020010035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261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의 플라스틱 결합체, 즉 덮개와 몸체가 접힘부를 통하여 접혀져 형성되는 파일 수납 공간을 가지며, 또한 이 덮개와 몸체 사이에 개폐를 위한 고정 부재를 가지는 플라스틱 파일 케이스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하나의 고정용 구멍을 가지고 있어 고정 부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몸체의 내벽에 보강 리브를 가지고 있어 몸체와 덮개의 조립시 맞물림이 견고하고, 파일 누름판 및 누름판 착탈홈을 가지고 있어 파일을 정돈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으며, 두꺼운 파일 케이스의 경우 2개의 고정 부재를 사용할 때는 그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용도에 따라 라벨의 내용을 달리 기록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 부재의 외측 표면을 광택면으로 형성하여 부착된 라벨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PLASTIC FILE CASE}
본 고안은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서류를 넣어 휴대할 수 있는 파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부재가 파일 케이스의 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몸체와 덮개의 조립시 맞물림이 견고하며, 휴대하는 파일이 흩어지지 않으며, 아울러 라벨의 부착성을 향상시킨 파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일 케이스는 몸체(2)와 덮개(1)의 개폐 수단인 고정 부재(3)가 장착되는 부분에 있어서, 몸체(2)에 형성된 2개의 고정용 돌기(4)에 끼워져 회동되는 고정 부재(3)의 양 쪽 구조가 모두 일측이 절개된 요홈(5)의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 케이스의 개폐시 고정 부재(3)가 파일 케이스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이탈된 고정 부재(3)의 분실 우려가 있고, 고정 부재(3)의 분실시에는 파일 케이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또한 덮개(1)와 몸체(2)의 재료가 금속이 아니라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연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맞물리는 계단식 결합면의 폭이 좁기 때문에 조립된 후의 덮개(1)와 몸체(2)가 상하ㆍ 좌우에서 약간의 압력을 받아도 맞물림이 쉽게 붕괴되어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순서대로 정리해 둔 크기가 서로 다른 파일들이 휴대 동안 내부의 여유 공간에서 제멋대로 흩트러져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 부재(3)의 표면이 거칠어 라벨 등 식별표를 부착할 수 없거나 부착된다 하더라도 쉽게 떨어져버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몸체(2)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3)의 양 쪽의 요홈 중 어느 한 쪽의 요홈을 구멍(6)으로 형성함으로써, 파일 케이스 몸체(2)로부터 고정 부재(3)의 이탈을방지할 수 있는 파일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2)의 내벽에 보강 리브(7)를 형성함으로써, 몸체(2)와 덮개(1) 결합면의 맞물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파일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일 케이스의 몸체(2) 내부에 파일 누름판(9)과 누름판 고정용 걸이홈(8)을 착설함으로써, 항상 가지런히 정돈된 파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파일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고정 부재(3)의 외부 표면을 거울면 수준의 광택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라벨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부착된 라벨이 쉽게 떨어지지 아니하는 파일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일 케이스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2a, 도 2b는 덮개와 몸체가 결합되고 고정 부재가 잠궈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강 리브의 단면을 보여주는 Ⅰ -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파일 누름판과 누름판 착탈홈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Ⅱ -Ⅱ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덮개 2: 몸체
3: 고정 부재 4: 고정용 돌기
5: 고정용 요홈 6: 고정용 구멍
7: 보강 리브 8: 누름판 착탈홈
9: 파일 누름판 10: 접힘부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파일 케이스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일 케이스의 덮개(1)가 개방된 상태의 몸체(2)의 내부 공간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 부재(3)에 의해 덮개(1)와 몸체(2)가 결합된 상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강 리브의 단면을 보여주는 Ⅰ -Ⅰ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파일 누름판 및 누름판 착탈홈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Ⅱ -Ⅱ선 단면도이다.
통상 파일 케이스는 고정 부재(3)가 장착되는 덮개(1)와 몸체(2)의 외벽 공간 부분에 각각 2개의 돌기(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4)와 조립되기 위해 고정 부재(3)에는 이와 대응하는 요홈(5)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몸체(2)와 결합되는 고정 부재(3)의 고정용 요홈(5)은, 종래에는 좌우 양쪽에 일측이 절개된 동일한 요홈(5)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몸체(2)에 형성된 돌기(4)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3)의 요홈(5) 중 어느 하나를 고정용 구멍(6)으로 대체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 고정용 구멍(6)을 먼저 몸체(2)의 돌기(4)에 끼운 후, 반대 쪽의 요홈(5)을 돌기(4)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파일 케이스의 개폐시 고정 부재(3)의 이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였다. 고정용 요홈(5)과 고정용 돌기(4)가 약간의 탄성이 가해진 상태로 결합되고 고정용 돌기(4)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은 공지의 방법에 속한다.
도 2는 덮개(1)가 닫혀진 상태에서 1개 또는 2개의 고정 부재(3)가 잠궈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고안의 파일 케이스는 2개의 고정 부재(3)를 장착하는 실시 양태의 경우, 그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라벨에 기록될 장단의 내용, 예를 들면 분류 기호, 제목 등을 분리하여 그 라벨의 길이에 적합하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긴 내용을 짧은 공간에 기록한다든지, 짧은 내용을 긴 공간에 기록하는 것은 보기도 흉할 뿐더러 글자의 크기를 용도에 맞게 적용하기도 어렵다. 아울러 본 고안은 라벨이 부착되는 고정 부재(3)의 외측 표면을 광택면 수준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 라벨이 쉽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크게 해소하였다.
도 3은 몸체(2)의 보강 리브(7)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인데, 종래에는 상하의 덮개(1)와 몸체(2)가 맞닿아 결합되는 면에 단순히 서로 반대 형상의 계단식 단이 형성되어 결합되지만, 벽 두께가 얇고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상 상하ㆍ 좌우에서 약간의 압력만 가해져도 결합면이 붕괴되면서 포개졌다가 복원되는 등 안정성이 없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 점을 개선하여 Ⅰ -Ⅰ선 단면도와 같이 수직의 보강 리브(7)를 몸체(2)의 벽 부분과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리브(7)의 상단 높이를 계단식 접합면의 하단보다 조금 높게함으로써, 덮개(1)의 이탈 방지와 보강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였다. 보강 리브(7)의 설치 위치와 개수는 몸체(2)의 접힘부(10) 쪽 내벽면을 제외한 3면 각각의 내벽에 하나 이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일 누름판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누름판 착탈홈(8)을 파일 케이스의 세로 폭의 몸체 내벽에 몸체(2)와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파일 누름판(9)을 이 누름판 착탈홈(8)에 탄성적으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휴대 동안에도 파일을 가지런히 정돈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파일 누름판(9)의 재료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 재료일 수도 있고 강판 스트립일 수도 있지만 파일 케이스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누름판 착탈홈(8) 및 파일 누름판(9)의 폭과 길이는 다양한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파일 누름판(9)을 누름판 착탈홈(8)에 착탈하기 위해서 도 4의 조립 단면도에서와 같이 몸체(2)의 내벽 쪽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파일 누름판(9) 쪽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 부분에서 탄성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누름판 착탈홈(8)에의 누름판(9)의 착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파일 누름판(9)의 중간에는 도 4와 같이 아랫 쪽으로 조금 구부려 놓으면 이 부분에 누르는 힘을 집중시킬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본 고안은 파일 케이스의 고정 부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고정 부재의 분실 우려를 대폭 줄였으며, 보강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덮개와 몸체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하였고, 파일 누름판과 누름판 착탈홈을 설치하여 파일을 정돈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아니라, 고정 부재의 외부 표면을 매끄럽게 광택면으로 형성하여 라벨의 부착 성능을 높이고, 부착된 라벨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2개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두꺼운 파일 케이스의 경우 고정 부재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용도에 따라 장단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덮개(1)와 몸체(2) 및 접힘부(10)가 일체로 형성된 파일 수납 공간을 가지며, 상기 덮개(1)와 몸체(2)에 형성된 돌기(4)에 대응하여 삽설되는 요홈(5)이 형성된 고정 부재(3)를 가지는 플라스틱 파일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돌기(4)에 삽설되는 상기 고정 부재(3)의 요홈(5) 중 어느 하나가 고정용 구멍(6)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2)의 내벽에 보강 리브(7)와 누름판 착탈홈(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일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7)가 몸체(2)의 내벽 중 접힘면을 제외한 3면의 내벽에 각각 하나 이상이 상기 몸체(2)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일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 착탈홈(8)에는 착탈 가능한 파일 누름판(9)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일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가 2개이고, 상기 2개의 고정 부재(3)가 서로 다른 크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일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의 외부 표면이 광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파일 케이스.
KR2020010035246U 2001-11-16 2001-11-16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 KR200265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46U KR200265261Y1 (ko) 2001-11-16 2001-11-16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46U KR200265261Y1 (ko) 2001-11-16 2001-11-16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261Y1 true KR200265261Y1 (ko) 2002-02-21

Family

ID=7311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46U KR200265261Y1 (ko) 2001-11-16 2001-11-16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2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0691B2 (ja) ケースの嵌合構造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US5727688A (en) Component holder body
US6382414B1 (en) Disc box
EP2666731B1 (en)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KR200265261Y1 (ko) 플라스틱제 파일 케이스
US7401994B2 (en) Securing clip
JP5435203B2 (ja) 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
JP3976538B2 (ja) 部分開封可能な嵌合容器
JP2001301753A (ja) 両開き蓋付き容器用クリップ及び容器の蓋の結合構造
EP1165392B1 (en) Cover, and assembly of a holder and a cover
JP4813243B2 (ja) 書類用ホルダ
JP4522248B2 (ja) 分電盤
KR200371138Y1 (ko) 결속판형 조립식 상자
JPH0436542Y2 (ko)
KR200355119Y1 (ko) 서랍손잡이
JP2006175462A (ja) トラフ用蓋固定部材、トラフ及びトラフ用蓋固定部材の着脱方法
KR200272414Y1 (ko)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쓰레받기
JP2009034346A (ja) 箸箱
EP1895632B1 (en) Box for fastening in a hole in a hollow wall
JP4441932B2 (ja) 箸箱
KR200242494Y1 (ko) 장식품 케이스의 경첩 체결구조
JPS6020367Y2 (ja) キヤツプ構造
JP4469243B2 (ja) 発泡合成樹脂製容器
JP4187319B2 (ja) 厚紙製引き出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