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050Y1 -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050Y1
KR200265050Y1 KR2020010036827U KR20010036827U KR200265050Y1 KR 200265050 Y1 KR200265050 Y1 KR 200265050Y1 KR 2020010036827 U KR2020010036827 U KR 2020010036827U KR 20010036827 U KR20010036827 U KR 20010036827U KR 200265050 Y1 KR200265050 Y1 KR 200265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base
jaw
sli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윤희
안종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6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050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죠베이스에 고착된 렌치볼트에 충격을 가하여 렌치볼트를 이완시키는 헤머링부와, 헤머링부에 의해서 유격이 발생된 렌치볼트를 제거하는 렌치볼트제거부와, 헤머링부 및 렌치볼트제거부를 렌치볼트의 머리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로 이루어지는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APPARATUS FOR CHANGING OF PICK-UP CRANE JAW}
본 고안은 연주공정에서 생산된 주편을 이동시키는 픽업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열의 분위기에서 사용함에 따라 녹이 발생하여 크로스암에 고착된 죠를 제거시키도록 된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공정에서 생산된 주편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은 통(Tong)이 설치되어 주편을 파지하는 펙업크레인이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픽업크레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와이어(10)가 장착되는 풀리(12)가 설치된 지지빔(14)과, 지지빔(1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통(16)과, 통(16)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빔(18)과, 크로스빔(18)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편의 상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재(20)와, 통(16)의 선단에 주편을 파지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된 죠(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빔(14)을 주편의 윗면으로 하강시키고, 지지빔(14)이 하강하여 지지부재(20)가 주편의 상부에 밀착되면 통(16)을 회동시켜 주편을 파지한다.
주편이 파지되면 크레인(미도시)으로 주편이 파지된 지지빔(14)을 상승시킨 후 주편을 이동시킨다.
또한 이 때 통(16)의 선단에 설치되는 죠(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16)의 선단에 형성된 죠베이스(24)에 렌치볼트(26)와 너트(28)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렌치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죠는 사용함에 따라 마모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죠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렌치볼트를 풀고 죠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 때 렌치볼트에 녹이 발생하여 죠의 렌치볼트구멍에 고착되므로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스틸파이프나 녹제거용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렌치볼트를 분리해 낸다.
그러나 렌치볼트에 심하게 녹이 슨 경우에는 렌치볼트 머리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렌치볼트가 고착된 체로 부러져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장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정비시간이 길어져 조업에 차질을 빚게 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죠의 교환작업이 난해하므로 죠의 교체주기가 길어져 죠가 마모된 체로 조업이 실시되므로 주편이 낙하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픽업크레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픽업크레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픽업크레인 죠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의 헤머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헤머링부 50 : 렌치볼트제거부
70 : 이동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 선단부의 죠베이스에 렌치볼트로 고정된 죠를 교환하는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에 있어서, 렌치볼트에 치합된 너트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너트홀더, 렌치볼트 머리부의 소켓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렌치, 렌치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렌치클램프, 렌치클램프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축, 상부축의 선단에 설치된 쉐이커, 쉐이커의 외측면이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상부슬라이더, 상부슬라이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레버, 상부슬라이더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축지지되는 슬라이더로드, 상부슬라이더로드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더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헤머링부; 상부축에 고정 설치된 상부기어, 상부기어에 치합되도록 설치된 하부기어, 하부기어가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축지지되는 하부축, 하부축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클러치, 클러치에 밀착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부슬라이더, 하부슬라이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레버, 하부슬라이더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구동모터에 연결설치되는 하부슬라이더로드로 이루어지는 렌치볼트제거부;상부슬라이더로드가 축지지되고 구동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하부에 하부축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랙,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 베이스와 하부베이스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스크류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픽업크레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픽업크레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픽업크레인의 죠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픽업크레인은 상단에 와이어(10)가 장착되는 풀리(12)가 설치된 지지빔(14)과, 지지빔(14)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통(16)과, 통(16)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빔(18)과, 크로스빔(18)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편의 상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재(20)와, 통(16)의 선단에 주편을 파지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된 죠(22)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16)의 선단에 설치되는 죠(22)는 통(16)의 선단에 형성된 죠베이스(24)에 렌치볼트(26)와 너트(28)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죠(22)의 내부에 볼트를 삽입 설치하기 위하여 렌치볼트(26)를 사용하였지만 육각볼트 등과 같은 일반볼트를 사용하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는 죠베이스(24)에 고착된 렌치볼트(26)에 충격을 가하여 렌치볼트(26)를 이완시키는 헤머링부(30)와, 헤머링부(30)에 의해서 유격이 발생된 렌치볼트(26)를 제거하는 렌치볼트제거부(50)와, 헤머링부(30) 및 렌치볼트제거부(50)를 렌치볼트(26)의 머리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70)로 이루어진다.
먼저 헤머링부(30)는 너트(28)를 고정시키는 너트홀더(32)와, 렌치볼트(26)의 소켓(26a)에 삽입되는 렌치(34)와, 렌치(34)를 고정시키는 렌치클램프(36)와, 렌치클램프(36)에 고정 설치된 상부축(38)과, 상부축(38)의 선단에 설치된 쉐이커(40)와, 쉐이커(40)의 외측면이 치합되는 상부슬라이더(42)와, 상부슬라이더(42)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슬라이더로드(44)와, 상부슬라이더(4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레버(45), 상부슬라이더로드(4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6)로 이루어진다.
너트홀더(32)는 후술하는 베이스(72)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31)의 상부에 설치되며 너트홀더(32)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죠(22) 교환시 크로스빔(18)을 거치하기 위한 크로스빔거치대(33)가 형성된다.
또한 너트홀더(32)가 설치되는 고정부재(31)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너트홀더(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치(34)는 렌치볼트(26)의 소켓(26a)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렌치볼트(26)의 이완시 큰 하중을 받게 되므로 비틀림강도가 큰 고속도강(高速度鋼; High Speed Steel)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치클램프(36)는 일측에는 렌치(34)의 외주면과 치합되도록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부축(38)이 고정 설치된다.
상부축(38)은 렌치클램프(36)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선단에는 쉐이커(40)가 설치된다.
쉐이커(40)는 상부축(38)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부슬라이더(4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원주면으로부터 걸림턱(40a)이 형성된다.
상부슬라이더(42)는 내부에 쉐이커(40)가 치합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내측으로 걸림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쉐이커(40)의 걸림턱(40a)과 상부슬라이더(42)의 걸림홈(42a)이 치합되되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유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슬라이더(42)가 회전될 때 상부슬라이더(42)가 가속된 후 상부슬라이더(42)의 걸림홈(42a)이 쉐이커(40)의 걸림턱(40a)을 타격한다.
회동레버(45)는 회동축(45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부슬라이더(4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부에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45b)가 설치된다.
상부슬라이더로드(44)는 상부슬라이더(42)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슬라이더(4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이 전달된다.
한편 상부슬라이더(44)에는 상부풀리(44a)가 고정 설치되고, 이 상부풀리(44a)와 후술하는 하부슬라이더로드(62)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풀리(62a) 사이에 벨트(45)가 설치되며 하부슬라이드로드(62)의 일측에는 구동모터(46)가 설치되어회전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구동모터(46)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하부풀리(62a)와 벨트(45) 및 상부풀리(44a)를 통하여 상부슬라이더로드(44)에 전달되고, 상부슬라이더로드(44)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부슬라이더(42)에 전달되어 쉐이커(40)를 타격하며, 이로 인해 발생된 충격력은 렌치(34)를 통해 렌치볼트(26)에 전달되어 렌치볼트(26)를 이완시킨다.
다음으로 볼트제거부(50)는 상부축(38)에 고정 설치된 상부기어(52), 상부기어(52)에 치합되는 하부기어(54), 하부기어(54)가 고정 설치된 하부축(56), 하부축(56)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클러치(58), 클러치(58)에 동력을 전달하는 하부슬라이더(60), 하부슬라이더(6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레버(43), 하부슬라이더(60)와 구동모터(46)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슬라이더로드(62)로 이루어진다.
상부기어(52)와 하부기어(54)는 각각 상부축(38)과 하부축(56)에 고정 설치되며 서로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하부축(56)은 일측 선단에 클러치(58)가 고정 설치되며 타측 선단은 축지지부재(57)에 의해 축지지된다.
클러치(58)는 하부축(56)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하부슬라이더(60)와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구동모터(46)의 동력을 전달한다.
하부슬라이더(60)는 클러치(58)에 밀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슬라이더로드(62)를 통하여 구동모터(46)에 연결 설치된다.
한편 하부슬라이더(6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레버(43)는 헤머링부(30)의 회동레버(45)를 공통적으로 사용하며 회동레버(45)가 회동축(45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슬라이더(42)와 하부슬라이더(60)를 엇갈리도록 한다.
하부슬라이더로드(62)는 하부슬라이드(60)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고정모터(46)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46)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46)로부터 하부슬라이더(60)에 전달된 회전력은 클러치(58)와 하부기어(54) 및 상부기어(52)를 통하여 렌치(34)에 전달되고, 렌치(34)에 전달된 회전력은 렌치볼트(26)를 회전시켜 제거한다.
다음으로 이동부(70)는 상부슬라이더로드(44)가 축지지되고 구동모터(46)가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72), 베이스(72)의 하부에 하부축(56)과 평행하도록 설치된 랙(74), 베이스(72)의 하부에 위치하며 랙(74)과 치합되는 피니언(76)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78), 베이스(72)와 하부베이스(78)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72)를 이동시키는 스크류축(80)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72)는 볼트제거부(5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부슬라이더로드(44)를 축지지하는 축지지부재(57)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구동모터(46)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72)는 하부판(72a)과, 이 하부판(72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72b)으로 이루어지며 하부판(72a)은 하부에 하부축(56)과 평행하도록 랙(74)이 설치되어 있고, 측벽(72b)에는 스크류축(80)이 치합된다.
하부베이스(78)는 하부판(78a)과, 이 하부판(78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78b)으로 이루어지면 하부판(78a)은 하부에 롤러(75)가 설치되고 상부에 랙(74)과 치합되는 피니언(76)이 설치된다.
또한 측벽(78b)에는 스크류축(80)의 평탄부(80a)가 공회전되는 홀(78c)이 형성되고, 이 홀(78c)에 스크류축(80)이 치합되어 공회전한다.
여기서 스크류축(80)은 나사부(80b)와 평탄부(80a)로 이루어지며 나사부(80b)는 베이스(72)의 측벽(72b)에 치합되도록 설치되고, 평탄부(80a)는 하부베이스(78)의 측벽(78b)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스크류축(80)이 회전하게 되므로 베이스(72)가 하부베이스(78)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픽어크레인의 죠 교환장치의 헤머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먼저 지지빔(14)을 크로스빔(18)이 크로스빔거치대(33)에 안착되기 직전까지 하강시킨다.
이 때 하부베이스(78)를 이동시켜 너트홀더(32)에 너트(28)를 삽입하고, 너트(28)가 너트홀더(32)에 삽입되면 크로스빔(18)을 크로스빔거치대(33)에 완전히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크로스빔(18)이 안착되면 구동모터(46)에 전기를 인가하여 구동모터(46)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46)가 작동되어 발생된 회전력은 구동모터(46)에 연결설치된 하부슬라이더로드(62)에 전달되고 하부슬라이더로드(62)에 전달된 회전력은 하부풀리(62a)와 벨트(45) 및 하부풀리(44a)를 통하여 상부슬라이더로드(44)에 전달된다.
또한 상부슬라이더로드(44)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부슬라이더로드(44)에 고정 설치된 상부슬라이더(42)에 전달되고, 상부슬라이더(42)에 전달된 회전력은 쉐이커(50)의 돌출단(50a)을 타격하며, 그 충격력으로 렌치(34)를 회전시켜 렌치볼트(26)를 이완시킨다.
다음으로 렌치볼트(26)가 이완되면 회동레버(45)를 작동시켜 상부슬라이더(42)를 쉐이커(50)와 분리시키고, 하부슬라이더(60)와 클러치(58) 사이를 밀착시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구동모터(46)가 작동되어 발생된 회전력은 하부슬라이더로드(62)에 전달되고, 하부슬라이더로드(62)에 전달된 회전력은 하부슬라이더(60)에 전달되며, 하부슬라이더(60)에 전달된 회전력은 하부슬라이더(60)와 클러치(58)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회전력은 클러치(58)를 통하여 하부축(56)으로 전달된다.
또한 하부축(56)에 전달된 회전력은 하부기어(54)에 치합된 상부기어(52)를 통하여 상부축(38)에 전달되고, 상부축(38)에 전달된 회전력은 렌치클램프(36)와 렌치(34)를 통하여 렌치볼트(26)를 회전시키므로 렌치볼트(26)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렌치볼트(26)가 제거되면 다시 베이스(72)를 이동시켜 픽업크레인으로부터 교환장치를 분리시켜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는 볼트에 일정한 충격하중으로 인해 볼트가 용이하게 풀려 볼트 머리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볼트가 고착된 체로 부러지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비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로 인한 생산성이 증대된다.
또한 죠의 교환작업이 용이함에따라 죠를 적정한 주기로 교체하므로 죠의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통 선단부의 죠베이스에 렌치볼트로 고정된 죠를 교환하는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치볼트에 치합된 너트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너트홀더, 상기 렌치볼트 머리부의 소켓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렌치, 상기 렌치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렌치클램프, 상기 렌치클램프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축, 상기 상부축의 선단에 설치된 쉐이커, 상기 쉐이커의 외측면이 치합되도록 설치되는 상부슬라이더, 상기 상부슬라이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레버와, 상기 상부슬라이더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축지지되는 상부슬라이더로드, 상기 상부슬라이더로드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슬라이더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헤머링부;
    상기 상부축에 고정 설치된 상부기어, 상기 상부기어에 치합되도록 설치된 하부기어, 상기 하부기어가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축지지되는 하부축, 상기 하부축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클러치, 상기 클러치에 밀착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부슬라이더, 상기 하부슬라이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동레버, 상기 하부슬라이더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구동모터에 연결설치되는 하부슬라이더로드로 이루어지는 렌치볼트제거부;
    상기 상부슬라이더로드가 축지지되고 구동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상기 하부축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랙,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이 설치되는 하부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상기하부베이스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스크류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KR2020010036827U 2001-11-29 2001-11-29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KR200265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27U KR200265050Y1 (ko) 2001-11-29 2001-11-29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27U KR200265050Y1 (ko) 2001-11-29 2001-11-29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050Y1 true KR200265050Y1 (ko) 2002-02-21

Family

ID=7311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827U KR200265050Y1 (ko) 2001-11-29 2001-11-29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0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48830C (zh) 电动工具
US6889778B2 (en) Rotary tool
CN107838645B (zh) 一种螺母自动上件装置
US6665919B1 (en) Windshield wiper arm puller
EP0724505A1 (en) Pulling tool for extracting ring inserts
KR200265050Y1 (ko) 픽업크레인의 죠 교환장치
JPH06170621A (ja) 工具の固定用及び解除用装置
JP4013782B2 (ja) 回転打撃工具
KR100915285B1 (ko) 볼트 및 나사 제거장치
JP4740465B2 (ja) つかみあごの製造方法、及び対応する製品つかみあご
US5767474A (en) Electrode tip removal apparatus
US5406685A (en) Pulling tool for extracting ring inserts
CN210256010U (zh) 用于动力锤的附件以及动力锤组件
JPH09242834A (ja) Vベルト脱着具
KR20020080711A (ko) 자동차용 허브 베어링 아우터 레이스 탈거용 공구
JP3086271U (ja) 衝撃工具
CN215470884U (zh) 一种加工中心的丝杆的安装工具
CN218397900U (zh) 一种拆卸电机轴的装置
JP5474915B2 (ja) Vベルト脱着用治具
EP1237680B1 (en) Device for decoupling the inner part and the outer part of a constant velocity joint from each other
JP3183839B2 (ja) ハンドレール取り外し工具
JPH08503895A (ja) 研削により機械加工されるワークピースの浮動ロータリー駆動装置
KR200190683Y1 (ko) 전동스크루드라이빙툴
CN201037227Y (zh) 一种道路标线清除机
CN116084863A (zh) 一种带护杆导向功能的拆卸钻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