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992Y1 -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992Y1
KR200264992Y1 KR2020010035264U KR20010035264U KR200264992Y1 KR 200264992 Y1 KR200264992 Y1 KR 200264992Y1 KR 2020010035264 U KR2020010035264 U KR 2020010035264U KR 20010035264 U KR20010035264 U KR 20010035264U KR 200264992 Y1 KR200264992 Y1 KR 200264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ulb
lamp
reflector
reflecti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희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희라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희라이팅
Priority to KR2020010035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992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램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체적인 반사부를 형성하여 램프의 완성도를 높이는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소켓 측면홈이 형성된 전구소켓을 구비한 자동차 램프에 있어서, 전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원형홀이 형성된 원형의 반사면(12)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면(12)의 하부에 소켓 측면홈으로 삽입되어 탄력으로 삽입상태를 유지하는 삽입스프링부(1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A device of reflection for a car ramp}
본 고안은 자동차용 램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체적인 반사부를 형성하여 램프의 완성도를 높이는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램프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통상적으로 렌즈(3) 반사경(4) 하우징(5) 전구소켓(7) 및 전구(6)로 구성되어 있다.
오목한 하우징(5) 내부에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4)을 설치하며, 상기 반사경(4)은 반사시키기 위한 면에 알루미늄으로 증착시켜 알루미늄 증착부(9)가 형성된다. 그 정 가운데는 전구(6)를 설치하기 위한 전구고정부(8)가 형성된 전구소켓(7)이 설치된다.
그러나 전구소켓(7)에는 절연 및 통정등의 이유로 알루미늄 증착등의 처리가 난해하여 별도의 반사처리를 하지 않고 사용해 왔다.
최근 자동차의 고급화에 따라 램프도 고급화되면서 투명한 이미지의 다자인을 고객들이 선호하게 되면서 반사 처리되지 않은 소켓부의 이질감으로 인한 램프의 균질감이 저하되고 램프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반사처리되지 않은 소켓부에 반사장치를 부착하여 투명한 이미지의 고급램프에서 소켓부의 이질감이 나타나지 않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켓 측면홈이 형성된 전구소켓을 구비한 자동차 램프에 있어서, 전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원형홀이 형성된 원형의 반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면의 하부에 소켓 측면홈으로 삽입되어 탄력으로 삽입상태를 유지하는 삽입스프링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램프의 반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하는 자동차용 램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비반사부 2 : 발광부
3 : 렌즈 4 : 반사경
5 : 하우징 6 : 전구
7 : 전구소켓 8 : 전구고정부
9 : 알루미늄 증착부 10 : 반사장치
11 : 소켓 측면홈 12 : 반사면
13 : 삽입 스프링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반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구소켓(7)의 소켓 측면홈(11)에 반사장치(1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전구(6)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주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반사면(12)의 하부에는 삽입스프링부(13)를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 삽입스프링부(13)는 소켓측면홈(11)에 끼워서 탄성력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면 족하다. 그 상세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그 형상은 측면으로 스프링력을 발생하도록 스프링 가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12)은 스틸에 알루미늄 증착을 하여 형성하거나,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반사처리된 별도의 반사장치를 소켓의 측면홈에 끼워넣어 소켓의 비반사부를 덮는 구조로서 소켓의 비반사부를 제거하여 램프의 명암부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켓 측면홈이 형성된 전구소켓을 구비한 자동차 램프에 있어서, 전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원형홀이 형성된 원형의 반사면(12)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면(12)의 하부에 소켓 측면홈으로 삽입되어 탄력으로 삽입상태를 유지하는 삽입스프링부(1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램프의 반사장치.
KR2020010035264U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 KR200264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64U KR200264992Y1 (ko)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64U KR200264992Y1 (ko)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992Y1 true KR200264992Y1 (ko) 2002-02-20

Family

ID=7311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64U KR200264992Y1 (ko) 2001-11-16 2001-11-16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9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7615A (en) Pool light
US6682204B2 (en) Lighting unit with mounting mechanism
WO2004023424A9 (en) Compact light emitting diode retrofit lamp and method for traffic signal lights
KR20070034952A (ko) 축방향 정렬에서 직접 옵티칼 커플링을 갖는 led 램프
JP2006185918A (ja) Ledバルブ
JP2011129250A (ja) 照明装置および光の出射方法
JP5616701B2 (ja) 自動車用の照明装置
KR200264992Y1 (ko) 자동차 램프용 반사장치
TWI585338B (zh) 包含最佳化調整手段之照明及/或信號裝置
JP4554339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相手部品に光源を装着する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345571B2 (ja) 照明器具
KR20200107513A (ko) 다운라이트형 led 조명장치
KR101145998B1 (ko) 차량 헤드라이트 램프, 차량 헤드라이트 램프용 설치보조기 및 차량 헤드라이트 램프와 설치 보조기를 구비한조명 유닛
EP1050433A3 (en) Integrated headlamp system for motor vehicles
JP3779754B2 (ja) 照明器具
JP2550080Y2 (ja) 照明器具の反射鏡取付構造
JP2556221Y2 (ja) 照明器具
KR100461136B1 (ko) 차량의 후방램프 지지구조
KR0135404Y1 (ko) 형광등 기구
KR200160907Y1 (ko) 램프장착기구
KR200153657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마운팅
KR200146399Y1 (ko) 차량용 램프구조
GB2107036A (en) Reflector for use with electric lamp
EP0122983A1 (en) Reflector for use with an electric lamp
JP2576146Y2 (ja) 埋め込み型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