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102Y1 -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102Y1
KR200264102Y1 KR2020010033470U KR20010033470U KR200264102Y1 KR 200264102 Y1 KR200264102 Y1 KR 200264102Y1 KR 2020010033470 U KR2020010033470 U KR 2020010033470U KR 20010033470 U KR20010033470 U KR 20010033470U KR 200264102 Y1 KR200264102 Y1 KR 200264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nel
width
stu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3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102Y1/ko

Links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구라도 조립이 가능하며, 내장공사를 간편히 할 수 있는 것으로, 건물 몸체의 바닥(10) 및 천장에 대한 경계용으로 고정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터드(S)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방의 벽면을 구성하는 벽패널(P)과, 방의 마루(11)가 교차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연결장치는 나사(14)에 의해 상기 스터드(S)에 고정되며, 상기 벽패널(P)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패널 수용부(12)와, 상기 패널 수용부(12)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의 머리부를 은폐하는 폭목(13)을 구비한다. 패널 수용부(12)는 저부(12b)와, 스터드측 플레이트(12a) 및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b)와, 경사 플레이트(12d)와,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로 구성된다. 또한 폭목(13)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13a)와, 제1 자락부(13b)와, 외측 플레이트(13d)와, 내측 플레이트(13a)와 외측 플레이트(13d)에 연접하는 중공부를 갖는 지지부(13c)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3d)의 내측에 설치되어 나사(14)를 지지하는 나사 지지부(13e)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3d)의 하단에 설치된 제2의 자락부(13f)와, 상기 지지부(13c)의 외측에 설치된 라운드부(13g)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wall to floor}
본 고안은 주택이나 오피스 등의 건물에서 건물 벽과 마루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수한 기능을 가지지 못한 작업자라도 조립이 가능하며, 내장공사의 간소화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못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공법으로도 할 수 있는 연결장치 관한 것이다.
집단주택 등의 철근콘크리트제의 몸체벽을 따라 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종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하였다. 먼저 몸체벽에 간주(間柱)로서의 스터드(stud)를 임의의 간격으로 상하 가이드재 등에 고정한다. 다음에 이 스터드에 석고제 등의 벽면보드를 부착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이 벽면보드 상에 화장판을 붙이거나 크로스 부착의 표면화장을 하여 마무리하고, 벽, 바닥부분을 접착제나 못을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법에서는 기초부터 마무리 공사까지 복수의 전문업자의 손으로 시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으므로, 공정수, 비용, 소요일수 등의 요소가 고려되어야만 하였다. 또, 장래 리폼이나 간막이 변경을 할 경우나 벽면의 개장마무리를 행할 경우에도 대규모의 공사가 필요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수한 기능을 자지 못한 작업자라도 조립이 가능하며 내장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마루 내장시스템의 벽·마루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스터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a)는 그 측면도, (b)는 그 단면도.
도 3은 도 1 실시예의 패널 수용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1 실시예의 폭목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바닥 11 … 마루
12 … 패널 수용부 12a … 스터드측 플레이트
12b … 저면 12c …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
12d … 경사 플레이트 12e …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
13 … 폭목 13a … 내측 플레이트
13b … 제1의 자락부 13c … 지지부
13d … 외측 플레이트 13e … 나사 유지부
13f … 제2의 자락부 13g … 라운드부
14 … 나사 P … 패널
S … 스터드 Sa … 진동방지 걸림구멍
Sb … 림홈 R … 레일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연결장치는 건물 몸체의 바닥 및 천장에 대한 경계용으로 고정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터드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방의 벽면을 구성하는 벽패널과, 방의 마루가 교차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나사에 의해 상기 스터드에 고정되며, 상기 벽패널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패널 수용부와, 상기 패널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의 머리부를 은폐하는 폭목을 구비한다. 또 패널 수용부는 저부와, 상기 저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직립상승한 스터드측 플레이트 및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와, 상기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로부터 직립하여 연장되는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폭목은 상기 패널 수용부의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와 벽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자락부와, 상기 패널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외측 플레이트에 연접하는 중공부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나사를 지지하는 나사 지지부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하단에 설치된 제2의 자락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설치된 라운드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내장벽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주택이나 오피스 등의 건물의 바닥(10) 위에 마루(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루(11)는, 방의 벽부분 아래쪽까지 뻗어나와 있다.
또, 벽의 내측의 바닥(10)위에는 앵커볼트(도시않음) 등으로 고정된 레일(R)이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R)은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개구가 상향하도록 바닥(1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R)은 얇은 강판 등을 프레스 가공한 것이다. 동일하게 벽의 내측 천장측의 몸체에도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레일이 개구가 하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마루측 및 천장측의 레일사이에 간주로서의 스터드(S)가 걸려 있다. 스터드(S)의 상단 및 하단은 레일의 凹부에 삽입되어 있다. 스터드(S)는 레일(R)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나 기준으로 되는 장소는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스터드(S)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측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이 스터드(S)는 단면이 중공부(中空部)를 가지는 H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횡방향의 폭이 35mm, 두께가 1.5mm의 알루미늄으로 된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면(Sd, Sd′)은 벽면에 따른 면이며, 그 중앙에는 상하로 길게 뻗은 걸림홈(Sb, S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에는 벽패널고정용의 고정부재가 결합된다.
스터드(S)의 측면(Sc, Sc′)에는, 복수의 진동방치 걸림구멍(Sa)이 형성되어 있다. 진동방지 걸림구멍(Sa)은 길이 120mm, 폭 15mm의 세로방향으로 뻗은 가늘고 긴 직4각형의 구멍이며, 스터드(S)의 측면(Sc)에 4개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의 피치 치수의 일례는 P1 = P5 = 170mm, P2 = P3 = P4 = 750mm이다. 이 진동방지 걸림구멍(Sa)에는 도시하지 않은 진동방지부가 조립시에 삽입된다.
스터드(S) 측면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한 형상을 가지는 패널 수용부(12)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널 수용부(12)는 스터드측 플레이트(12a)와, 벽패널(P)을 수용하는 저면(12b)과, 스터드측 플레이트(12a)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c, 12e) 사이의 경사플레이트(12d)로 구성되어 있다. 스터드측 플레이트(12a)와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c)는 저면(12b)를 통하여 연이어 접속되어 있다. 또,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c)와 스터드측 플레이트(12a)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와 스터드측 플레이트(12a)와의 사이의 거리쪽이 길게 설정되어 있고,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와 스터드측 플레이트(12a)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폭목의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가지는 패널 수용부(12)의 스터드측 플레이트(12a)를 스터드(S)에 따르도록 하고, 저면(12b)를 마루(11) 사이에 배치하도록 하여 스터드(S)의 측면 하부에 패널 수용부(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패널 수용부(12)의 스터드측 플레이트(12b)와 폭목측 플레이트(12c, 12e)와의 사이에 벽패널(P)를 삽입한다. 따라서, 벽패널(P)의 하단부는 패널 수용부(12)의 저면(12b)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벽패널(P)를 수용한 패널 수용부(12)는 나사(14)에 의해 고정된다. 즉, 패널 수용부(12)는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c), 벽패널(P), 및 스터드측 플레이트(12a)를 관통하도록 하여 나사에 의해 스터드(S)에 고정되어 있다.
스터드(S)에 고정된 패널 수용부(12)에는 도 4에 도시하는 형상을 가지며 연질 염화비닐수지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폭목(13)이 설치되어 있다. 이폭목(13)은 패널 수용부(12)의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와 벽패널(P) 사이에 삽입되는 내측 플레이트(13a)와, 내측 플레이트(13a)의 하단에 설치된 제1의 자락부(13b)와, 외측 플레이트(13d)에 연접하는 중공부를 가지는 지지부(13c)와, 외측플레이트(13d)의 내측에 설치되며, 나사(14)를 유지하는 나사유지부(13e)와, 외측 플레이트(13d)의 하단에 설치된 제2의 자락부(13f)와, 지지부(13c)의 외측에 설치된 라운드부(13g)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플레이트(13a)는 패널 수용부(12)의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와 스터드측 플레이트(12a) 사이에 삽입되므로, 패널 수용부(12)의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c)와 경사 플레이트(12d)의 경계부로부터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의 상단까지의 거리와 거의 동일 또는 그것보다도 짧게 되도록 설정된다.
내측 플레이트(13a)에 설정된 제1의 자락부(b)는 벽패널(P)측에 접촉하도록 열려 있고, 외측 플레이트(13d)에 설정된 제2의 자락부(13f)는 마루(11)에 접촉하도록 열리고 있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벽패널 또는 마루면에 당접되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클립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폭목이 덜컹거리는 일 없이 설치된다.
나사유지부(13e)는 외측 플레이트(13d)의 내측에 복수개, 여기서는 3개 형성되어 있고, 그 간격은 나사(14)의 머리 크기에 의해 적절히 설정한다. 이 나사유지부(13e)에 의해 나사(14)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고, 나사(14)의 머리에 의해 외측 플레이트(13d)를 무리하게 여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목(13)을 패널 수용부(12)에 설치함으로써, 외측 플레이트(13d)가 패널 수용부(12)를 가리도록 패널 수용부 바로 앞측에 늘어뜨리므로, 나사(14)를 덮어 가릴 수 있고, 벽 및 바닥 구조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내장시스템의 내장벽 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스터드(S)에 따르도록 하여 패널 수용부(12)를 배치하고 그 패널 수용부(12)에 벽패널(P)를 삽입한다. 이어서, 패널 수용부(12)의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c)측으로부터 벽패널(P) 및 스터드측 플레이트(12a)를 관통시켜서 스터드(S)에 나사(14)를 박아 넣어서, 벽패널(P)을 수용한 패널 수용부(12)를 스터드(S)에 고정한다. 최후로,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와 벽패널(P)와의 사이에 폭목(13)의 내측 플레이트(13a)를 위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폭목(13)을 패널 수용부(12)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벽은 저부에 벽패널을 삽입하고, 스터드에 고정하는 것 만으로 벽패널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특수한 기능을 갖지 못한 작업자라고 하더라도 조립이 가능하며, 매우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나 형상은 한예에 불과하며,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장벽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스터드와, 벽패널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벽패널 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스터드에 고정되는 저부를 구비하고, 저부에 벽패널을 삽입하여 스터드에 고정하고, 저부에 폭목을 설치하는 것 만으로 벽패널을 스터드에 장착하므로, 특수한 기능을 갖지 못한 작업자라 하더라도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내장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건물 몸체의 바닥(10) 및 천장에 대한 경계용으로 고정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터드(S)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방의 벽면을 구성하는 벽패널(P)과, 방의 마루(11)가 교차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나사(14)에 의해 상기 스터드(S)에 고정되며, 상기 벽패널(P)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패널 수용부(12)와,
    상기 패널 수용부(12)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의 머리부를 은폐하는 폭목(13)을 구비하며,
    상기 패널 수용부(12)는 저부(12b)와, 상기 저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직립상승한 스터드측 플레이트(12a) 및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b)와, 상기 제1의 폭목측 플레이트(12b)로부터 연장되어 외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플레이트(12d)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12d)로부터 직립하여 연장되는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로 구성되고,
    상기 폭목(13)은 상기 패널 수용부(12)의 제2의 폭목측 플레이트(12e)와 벽패널(P) 사이에 삽입되는 내측 플레이트(13a)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자락부(13b)와, 상기 패널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측 플레이트(13d)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13a)와 외측 플레이트(13d)에 연접하는 중공부를 갖는 지지부(13c)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3d)의 내측에 설치되어 나사(14)를 지지하는 나사 지지부(13e)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3d)의 하단에 설치된 제2의 자락부(13f)와, 상기 지지부(13c)의 외측에 설치된 라운드부(13g)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벽.
KR2020010033470U 2001-11-01 2001-11-01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 KR200264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470U KR200264102Y1 (ko) 2001-11-01 2001-11-01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470U KR200264102Y1 (ko) 2001-11-01 2001-11-01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102Y1 true KR200264102Y1 (ko) 2002-02-19

Family

ID=7307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470U KR200264102Y1 (ko) 2001-11-01 2001-11-01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1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58A (ko) * 2017-11-13 2019-05-22 송석문 소형 간이 주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58A (ko) * 2017-11-13 2019-05-22 송석문 소형 간이 주택
KR102070765B1 (ko) * 2017-11-13 2020-01-30 송석문 소형 간이 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002A (en) System for installing wood door jambs and hardwood door trim
KR200264102Y1 (ko) 벽과 마루의 연결장치
JP3563583B2 (ja) 内装の壁・床際構造
JP2004137675A (ja) 板張り施工方法と板張り構造
JPH11210126A (ja) 壁面下地材
JP3557956B2 (ja) 間仕切りパネルとその取付構造
JP3625368B2 (ja) 内装システムの隅構造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2005179951A (ja) 建造物用の被覆構造体
JP3717095B2 (ja) 内装システムの壁・天井際構造
JP6133728B2 (ja) ランナー固定構造、固定ユニットおよび固定補助具
JPH04203141A (ja) 間仕切パネルの設置構造
JP4132245B2 (ja) 床の間用キ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JPH07189373A (ja) 間仕切壁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S6016165Y2 (ja) 防振防音床パネル
JPH11117450A (ja) 天井用および壁用ボードの取付部材
JPH11210147A (ja) 内装システムのパネル突き合わせ構造及び天井下地材
JP3906749B2 (ja) 幅木取付構造
JPS6321632Y2 (ko)
JP3038183B2 (ja) 壁パネル装置
JPH0696916B2 (ja) 増築用間仕切耐力壁パネルの施工方法
JP2580333B2 (ja) 間仕切壁を形成する工法
JPH0316964Y2 (ko)
JPH07233575A (ja) 壁パネルの建込み構造とその接続部材
JPH09242251A (ja) 天井板の固定構造及び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