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938Y1 -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938Y1
KR200263938Y1 KR2020010034434U KR20010034434U KR200263938Y1 KR 200263938 Y1 KR200263938 Y1 KR 200263938Y1 KR 2020010034434 U KR2020010034434 U KR 2020010034434U KR 20010034434 U KR20010034434 U KR 20010034434U KR 200263938 Y1 KR200263938 Y1 KR 200263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anchor
belt
bracket
thumb pil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필
Original Assignee
정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필 filed Critical 정성필
Priority to KR2020010034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938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한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절개하는 공사면 속으로 삽입하여 그라우팅처리하는 어스네일에 관한 것으로, 공사시에 사용했던 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삽입되는 엄지말뚝에 수평하게 설치하는 브라케트에 엄지말뚝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도록 하는 띠장과, 상기 띠장과 띠장 사이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하여 어스앵커를 인장시키는 대좌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엄지말뚝철거 시 어스앵커지지체인 대좌와 띠장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공정수가 줄어들어 앵커에 대한 설치와 부자재의 철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도 현격하게 줄어든다.

Description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SUPPORT EQUIPMENT FOR EARTH ANCHOR FIXING}
본 고안은 연약지반에서 토목공사시 지반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약지반내에 어스앵커를 삽입 고정한 후 어스앵커를 인장하는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스앵커를 연약지반에 시공하고 난 후에는 고정할때에는 밀착된대좌(삼각브라켓)에 용접작업을 하여 고정하였다. 또한, 상기 어스앵커작업을 함에 있어서 작업의 시공순서에 따라서 지반에 엄지말뚝을 수직하게 설치하고, 터파기공정을 한다음, 터파기 주변의 지반 벽면에 앵커를 삽입할 홀을 경사지게 천공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렇게 천공된 홀에 어스앵커를 삽입하고, 그라우팅(Grouting)공정을 한다음 엄지말뚝에서 앵커의 인장작업을 하기 위하여 엄지말뚝의 적당한 위치에 받침 브라케트를 용접작업으로 고정시키고, H빔형상의 띠장을 받침 브라케트위에 얹어 용접작업을 하여 H빔 형상의 대상을 받침 브라케트에 고정한 후,엄지말뚝과 H빔형상의 대상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앵글이나, 철판등으로 채우고 용접작업을 하여 홈메우기공정을 한다.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으로 고정된 H빔은 띠장이라 불리우는 데, 이러한 띠장의 전면으로 삼각형상의 브라케트를 설치하여 용접작업으로 고정시킨다. 띠장의 전면에 고정된 삼각브라케트는 대좌라 불리우고, 이 대좌에 어스앵커의 앵커를 고정한 다음, 인장기를 연결하여 어스앵커에 인장력을 제공하면 앵커는 그라우팅된 충진물과 함께 당겨지면서 지반을 다지는 작용을 하여 연약지반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붕괴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어스앵커 설치상태에서는 어스앵커를 고정하기 위하여 띠장과 띠장을 전기용접으로 연결하고, 상기 띠장에 대좌를 상호 전기용접하고, 삼각브라케트도 대좌에 용접으로 고정한 상태가 되므로 어스앵커의 제거 또는 띠장과 대좌를 해체할 때에는 산소용접작업을 이용하여 절단하여야만 해체가 가능하게 되지만 절단된 띠장과 대좌는 재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므로 이를 고철로 폐기처분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이와 같이 띠장과 대좌를 고철로 폐기처분하게 되면 다음 번의 공사에서는 대좌와 띠장을 새롭게 구입해야하는 번거러움과 이에 따른 공사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고, 용접작업과정중에 긴장하지 않으면 화상을 입거나, 낙하물에 다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어스앵커의 설치시 용접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함과, 어스앵커의 해체 후 사용되었던 자재들을 모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삽입되는 엄지말뚝에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띠장을 받쳐주는 받침브라켓트와, 상기 띠장과 띠장 사이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하여 어스앵커를 인장시키는 대좌에 걸림턱과 걸림편를 형성하는 구성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며, 조립식 구성을 갖추어서 어스앵커 고정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고, 조립식 고정부재의 사용으로 공기의 단축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어스앵커의 시공순서도.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어스앵커 고정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지반 110...터파기 112...홀
120..엄지말뚝 130...받침브라켓 132...걸림턱
140...띠장 141...날개부 150...스페이스
160...스페이서 170...대좌 172...걸림편
200...어스앵커 210...앵커 220..삽입부
230...인장부 240..체결너트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어스앵커의 시공순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고정부재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고정된 어스앵커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어스앵커(200)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연약한 지반(100)을 뚫어 형성한 천공된 홀(112)속으로 헤드와 함께 삽입된 상태에서 응고되는 그라우트에 의해 고정되는 삽입부(220)와, 지면 밖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장기를 연결하고, 삼각형상의 브라케트인 대좌에서 인장력이 가해지는 인장부(230)로 구분되는 앵커(210)와 , 상기 앵커(210)의 표면 또는 전체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인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체결너트(24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어스앵커(200)를 지반(100)에서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지반(100)에 소정의 폭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엄지말뚝(120)과, 상기 수직하게 설치된 엄지말뚝(120) 전면에 설치하는 받침 브라케트(130)와, 상기 받침 브라케트 (130)에 얹어져서 측면을 볼트로 연결시켜 상기 엄지말뚝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H빔형상의 띠장(140)과, 상기 띠장(140)과 엄지말뚝(120)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150)를 메꾸기 위한 스페이서(160)와, 상기 띠장(140)과 띠장사이에 설치되면서 어스앵커의 인장부(230)를 관통시켜 이를 인장기에 물리거나, 체결너트 (240)를 체결조임하는 대좌(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띠장(140)이 얹어지는 받침 브라케트(130)에는 띠장(140)에 일시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132)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어스앵커(200)에 인장력을 가하면서 띠장(140)의 전면에 밀착되는 대좌(170)의 이면에는 띠장에 걸리는 걸림편(17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받침 브라케트(130)의 걸림턱(132)위치는 도2와 같이 띠장(140)의 폭(L)보다 작은 폭(l)위치에서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띠장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따라서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띠장(1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대좌(170)는 띠장과 밀착되는 이면에 띠장(140)의 날개부(141)에 걸리기에 충분한 크기로 걸림편(172)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편(172)의 설치위치는 상측 띠장(140)의 위치보다는 하측위치에 있는 띠장(140)의 날개부(141)에 걸리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엄지말뚝(120)과 띠장(140)사이에는 스페이스(150)가 형성되는데 이곳에 채우는 스페이서(160)는 강철의 기계적성질과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합성수지판으로 대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도 1과 같은 어서앵커의 설치공정에 따라서 엄지말뚝(120)을 지반(100)에 삽입하는 공정(a)과, 지정된 지반(100)을 터파기(110) 하는 공정(b)과, 터파기 공정후 엄지말뚝(120)을 통해 연약지반에 홀(112)을 경사지게 뚫는 천공과정과(c), 천공된 홀(112)속으로 어스앵커(200)의 삽입부(220)를 삽입하는 공정(d)과, 어스앵커(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천공된 홀(112) 속으로 그라우트를 충진시키는 공정(e)과, 그라우팅 공정 후에 엄지말뚝(120)에는 걸림턱(132)이 돌출형성된 받침 브라케트(13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 브라케트(130)위에 띠장(140)을 얹고 얹어진 띠장(140)과 띠장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공정과(f), 상기 삼각형상의 브라케트인 대좌(170)를 상기 띠장(140)에 근접시켜 대좌(170)의 후면에 있는 걸림편(172)을 띠장(140)의 날개편(141)에 걸어주고, 인장기에 어스앵커(200)의 네일(210)을 물려 인장력을 제공하고, 인장기를 제거하고, 체결부재를 네일(210)의 인장부(230)에 나사식 결합하여 대좌(170)의 받침판(250)에 밀착고정되게 하는 공정(g)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때, 받침 브라케트(130)위에 띠장(140)을 얹어놓고 스페이스에 수지, 프라스틱으로된 스페이서(160)를 채워 넣으면 띠장(140)은 받침 브라케트(130)에서 손쉽게 고정되고, 그 고정상태는 매우 안정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띠장(140)에 삼각형상의 브라케트인 대좌(170)의 설치작업은 대좌(170)이면에 설치한 걸림편(172)을 띠장(140)의 날개부(141)에 걸어주는 동작만으로 완료가 되어 대좌(170)의 설치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용접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어스앵커(200)의 설치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때 띠장(140)에 걸어둔 상태에서 대좌(170)의 설치위치를 이동하면서 선정할 수 있다.
특히, 어스앵커(200)의 해체시 대좌(170)와 띠장(140)은 용접된 상태가 아니므로 해체작업이 손쉽게 할 수있고, 해체된 지지체 즉, 띠장(140), 대좌(170), 스페이서(160)를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어스앵커에 인장력을 제공할때 사용되는 띠장, 대좌, 스페이서를 상호 용접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구조를 갖추게 됨에 따라서 어스앵커의 고정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서 공기의 단축효과를 제공하고, 전기용접을 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빈도를 줄일수 있고, 특히, 어스앵커의해체후 사용되었던 자재들을 100% 재 사용할 수 가 있어서 공사비의 절감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지반(100)에 소정의 폭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엄지말뚝(120)과, 상기 수직하게 설치된 엄지말뚝 전면에 설치하는 받침 브라케트(130)와, 상기 받침 브라케트(130)에 얹어져서 상기 엄지말뚝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띠장(140)과, 상기 띠장(140)과 엄지말뚝(120)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150)를 메꾸기 위한 스페이서(160)와, 상기 띠장(140)과 띠장사이에 설치되면서 어스앵커(200)의 인장부(230)를 관통시켜 이를 인장기에 물리거나, 체결너트(140)를 체결조임하는 대좌(170)로 이루어진 어스앵커의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띠장(140)과 띠장을 볼트로 연결하고, 상기 띠장이 얹어지는 받침 브라케트(170)에는 띠장(140)에 일시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132)을돌출형성하고, 상기 어스앵커(200)에 인장력을 가하면서 띠장(140)의 전면에 밀착되는 대좌(170)의 이면에는 띠장(140)에 걸리는 걸림편(172)을 형성하여서 용접되지 않는 상태로 어스앵커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KR2020010034434U 2001-11-09 2001-11-09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KR200263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34U KR200263938Y1 (ko) 2001-11-09 2001-11-09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34U KR200263938Y1 (ko) 2001-11-09 2001-11-09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938Y1 true KR200263938Y1 (ko) 2002-02-19

Family

ID=7311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34U KR200263938Y1 (ko) 2001-11-09 2001-11-09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9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1B1 (ko) 2007-02-01 2008-05-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9-04-16 나병관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1420374B1 (ko) * 2013-06-26 2014-07-16 부산교통공사 에이치빔 띠장 지지용 브라켓
KR20160091729A (ko) * 2015-01-26 2016-08-03 (주)힐건설 2열 자립식 흙막이 시공에서의 전열·후열 말뚝 연결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1B1 (ko) 2007-02-01 2008-05-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9-04-16 나병관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1420374B1 (ko) * 2013-06-26 2014-07-16 부산교통공사 에이치빔 띠장 지지용 브라켓
KR20160091729A (ko) * 2015-01-26 2016-08-03 (주)힐건설 2열 자립식 흙막이 시공에서의 전열·후열 말뚝 연결구조
KR101692541B1 (ko) * 2015-01-26 2017-01-06 우종열 2열 자립식 흙막이 시공에서의 전열·후열 말뚝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0112A (en) Method of shoring and apparatus therefor
KR100851062B1 (ko) 자성체가 부착된 잭 스티프너
KR101793533B1 (ko) 강연선 재인장 기능을 가진 앵커지지체 시스템
KR100659744B1 (ko)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에 적용되는 띠장재
KR101463231B1 (ko)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
KR200263938Y1 (ko)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JP3479516B2 (ja) 斜面安定工法および斜面安定装置
JP2021195859A (ja) 親綱支柱
JPH1037152A (ja) 水中型枠工法
KR100483011B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JPH01178610A (ja) 応力材の設置工法
KR101705785B1 (ko) 무띠장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형 형강 파일의 앵커 박스 설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띠장 앵커 설치 공법
KR101771423B1 (ko) 사면보강을 위한 앵커체
KR101605012B1 (ko) 배면 인장을 이용한 절토 방호벽 시공방법
JP3351663B2 (ja) 斜面安定化工法に用いるアンカー定着用台座
KR102607850B1 (ko) 인장력 전달성이 향상된 자립식 흙막이 시공용 브래킷 조립체
JP2017014799A (ja) 法枠移動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530932B2 (ko)
KR100259394B1 (ko) 나사식 띠장 보강장치를 이용한 흙막이벽 띠장의 보강방법
KR101603507B1 (ko) 중앙관이 구비된 압축형 앵커
KR102607848B1 (ko) 인장력 전달성이 향상된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JPH0119045Y2 (ko)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102518476B1 (ko) 원통 쐐기형 앵커와 pc 패널을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JP3813781B2 (ja) アンカー装置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