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196B1 -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196B1
KR100893196B1 KR1020080044738A KR20080044738A KR100893196B1 KR 100893196 B1 KR100893196 B1 KR 100893196B1 KR 1020080044738 A KR1020080044738 A KR 1020080044738A KR 20080044738 A KR20080044738 A KR 20080044738A KR 100893196 B1 KR100893196 B1 KR 10089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cket
earth
anch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관
Original Assignee
나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관 filed Critical 나병관
Priority to KR102008004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지지보에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지지보의 면이 불균일하더라도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어스앵커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이 브라켓트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 대향되는 한쌍의 측판(110)(120)과, 한쌍의 측판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스페이서(150)를 구비하는 고정블럭(170)과; 고정블럭(170)을 상지지보(41)와 하지지보(42)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과; 한쌍의 측판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굴착단면에 돌출한 어스앵커에 가로질러 진입가능한 개구(161b) 및 개구와 연통되어 어스앵커(20)가 관통되는 구멍(161a)이 형성된 지압판(161)을 구비하는 이동블럭(160)과; 구멍(161a)을 관통한 어스앵커(20)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지압판(161)에 어스앵커(20)를 인장시키는 조임부재(2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브라켓트는 앵커에 가로질러 진입될 수 있도록 개구 및 구멍이 형성된 지압판을 구비함으로써, 굴착단면에 돌출한 앵커에 브라켓트의 결합이 편리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안정성을 높인다.
어스앵커, 브라켓트, 이동블럭, 회동지지판

Description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A bracket for an earth anchor}
본 발명은 어스앵커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지지보에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지지보의 면이 불균일하더라도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어스앵커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는 그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른 공정을 거쳐 시공되지만, 지반을 굴착하여야 하고 지반을 굴착할때에는 굴착면의 붕괴와 주변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단면을 보강하여야 하며, 지반굴착시 굴착단면의 보강방법은 몇가지가 있으나 어스앵커(earth anchor)공법을 주로 이용한다.
어스앵커공법은 굴착단면의 붕괴력을 어스앵커가 예압된 힘으로 버티도록 하는 것으로서, 굴착단면에 어스앵커를 경사지게 삽입한 후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그라우트체를 형성시키고, 굴착단면에서 어스앵커를 당겨 힘을 가한 상태에서 볼트 또는 쐐기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어스앵커 공법에 의해 시공된 단면 및 어스앵커를 지지하는 브라켓트를 나타낸다.
이 공법은 지반에 "H"빔 등을 이용한 엄지말뚝을 세우고 설계된 지반을 굴착 한 후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류벽(1)을 형성한다.
이어서 토류벽(1)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2)에 앵커체(3)를 삽입한 후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앵커체(3)를 고정시킨다.
그라우팅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체(3)에 인장력을 가하여 토류벽(1)의 수평보(4a,4b)에 설치된 브라켓트(10)에 볼트 또는 쐐기(5)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측판(11)과, 상기 양 측판(11)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며 중심부에 상기 앵커체(3)가 통과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 지압플레이트(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어스앵커공법에 대하여는 한국특허등록 제0760213호,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1-79599호 및 10-2003-7705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어스앵커공법 및 상기 선행기술들에 채용되는 브라켓트(10)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굴착면에 돌출한 어스앵커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트(10)를 수평보(4a,4b)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지압플레이트(12)의 관통공(12a)에 어스앵커의 자유단부가 통과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 데, 이경우 중량의 브라켓트(10)를 들어올리면서 정확하게 관통공(12a)을 어스앵커의 자유단부에 통과시켜야 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둘째, 중량의 브라켓트(10)를 수평보(4a,4b)에 설치하는 경우 복수의 볼트 등으로 체결고정시켜야 하는 데, 이 경우 다수의 작업자가 중량의 브라켓트(10)를 파지하고 다른 작업자가 볼트체결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세째, 수평보(4a,4b)에 브라켓트(10)의 상하단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설치되게 되는데, 실제로 현장에서는 상부 수평보(4a)와 하부 수평보(4b)가 동일평면상에 놓이도록 시공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서 수평보(4a,4b)에 브라켓트(10)를 설치할때, 브라켓트(10)의 일부분만이 수평보(4a,4b)에 접촉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쐐기(5)의 조임작업에 의해서 앵커체(3)를 인장시킬때 편심하중이 작용되어 안전시공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굴착단면에 돌출한 앵커를 관통시키기 편리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어스앵커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중량의 브라켓트를 지지보(수평보)에 간편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어스앵커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지지보(수평보)의 면이 불규칙(울퉁불퉁)하더라도 브라켓트가 지지보에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어스앵커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네째, 경량화가 가능한 어스앵커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굴착단면의 상지지보와 하지지보에 지지되며 굴착단면에 돌출한 어스앵커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키는 어스앵커용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마주 대향되는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측판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상지지보와 하지지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한쌍의 측판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착단면에 돌출한 어스앵커에 가로질러 진입가능한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어스앵커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지압판을 구비하는 이동블럭과;
상기 구멍을 관통한 상기 어스앵커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압판에 어스앵커를 인장시키는 조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판의 하단부에 상기 하지지보에 걸려지는 걸이홈이 형성된 걸이판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이판이 고정되지 아니한 상기 측판의 저면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지지보에 접촉지지되는 회동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브라켓트는 상기 각 측판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기 토류벽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각 측판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면과 같은 경사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각 측판의 외측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지압판의 저면에는 상기 각 측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입구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경사홈과, 상기 각 가이드돌기에 헐겁게 결합되어 안내되는 측홈이 형성된 안내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어스앵커용 브라켓트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앵커에 가로질러 진입될 수 있도록 개구 및 구멍이 형성된 지압판을 구비함으로써, 굴착단면에 돌출한 앵커에 브라켓트의 결합이 편리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안정성을 높인다.
둘째, 지지보에 걸려지는 걸이홈이 형성된 걸이판을 구비함으로써, 중량의 브라켓트를 지지보(수평보)에 간편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세째, 회동가능한 회동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보(수평보)의 면이 불규칙(울퉁불퉁)하더라도 브라켓트가 지지보에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네째, 측판들이 "V"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경제적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브라켓트를 사용하는 어스앵커 공법은 도 3에서와 같이, 지반에 "H"빔 등을 이용한 엄지말뚝을 세우고 설계된 지반을 굴착한 후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류벽(40)을 형성한다.
이어서 토류벽(40)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30)을 실시하고, 천공(30)에 앵커(20)를 삽입한 후 그라우트(31)를 주입하여 앵커(20)를 고정시킨다.
그라우트(31)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20)에 인장력을 가하여 토류벽(40)의 지지보(41,42)에 설치된 브라켓트(200)에 너트(21)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어스앵커공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 실시예의 브라켓트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브라켓트(200)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 대향되는 한쌍의 측판(110)(120)과, 상기 한쌍의 측판(110)(120)을 연결하 여 고정시키는 스페이서(150)를 구비하는 고정블럭(170)과; 상기 고정블럭(170)을 상기 상지지보(41)와 하지지보(42)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한쌍의 측판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착단면에 돌출한 어스앵커(20)에 가로질러 진입가능한 개구(161b)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어스앵커(20)가 관통되는 구멍(161a)이 형성된 지압판(161)을 구비하는 이동블럭(160)과; 상기 구멍(161a)을 관통한 상기 어스앵커(20)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압판(161)에 어스앵커(20)를 인장시키는 조임부재(21);를 구비한다.
상기 측판(110)(120)들은 측면에서 보아 "V"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재료를 절감하여 경제적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판(110)(120)의 저면 하단부에 상기 하지지보(42)에 걸려지는 걸이홈(141)이 형성된 걸이판(140)이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걸이판(140)은 측판(110)(120)의 저면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지지보(41)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이판(140)이 고정되지 아니한 상기 측판(110)(120)의 저면 상단부에는 회동지지판(130)이 회동핀(131)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도 5b에서와 같이 지지보(41)가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한 경우에도 상기 상지지보(41)에 회동지지판(130)이 균일한 압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측판(110)(120)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기 토류벽(40)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113)(123)이 형성되고, 각 측판(110)(120)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면(113)(123)과 같은 경사의 가이드돌기(111)(121)가 형성되며, 각 측 판(110)(12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12)(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럭(160)을 구성하는 상기 지압판(161)의 저면에는 상기 각 측판(110)(120)의 상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입구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경사홈(162a)과, 상기 각 가이드돌기(111)(121)에 헐겁게 결합되어 안내되는 측홈(162b)이 형성된 안내판(16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럭(160)은 도 8에서와 같이, 앵커(20)의 자유단부에 결합된 너트(21)의 조임에 의해서 앵커(20)에 인장력이 부여될때 그 반력에 의해서 경사홈(162a)이 측판(110)(120)의 상면 가장자리에 진입되면서 압입되게 되어 흔들림 등의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고정블럭(170)이 걸이판(140)에 의해서 지지보(41)(4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럭(160)을 상기 측판(110)(120)의 상면 가장자리에 이동시키면서 돌출한 앵커(20)가 지압판(161)의 개구(161b)를 통하여 구멍(161a)에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돌출한 앵커(20)에 대하여 지압판(161)이 직각으로 위치된 상태로 너트(21)의 조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동블럭(160)은 고정블럭(170)의 가이드돌기(111)(121)에 헐겁게 결합되어 짐으로써 앵커(20)와 지압판(161)이 초기 결합시 직각위치로부터 벗어나더라도 너트(21)의 조임에 따라서 직각으로 각도 보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브라켓트(200)는 지지보(41)(42) 사이로 돌출한 앵커(20)를 가로질러 지지보(41)(42)에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즉, 브라켓트(200)를 "A"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키면서 두 측판(110)(120) 사이로 앵커(20)가 진입되도록 하고, 이어서 지압판(161)의 개구(161b)를 통하여 구멍(161a)에 앵커(20)가 위치되도록 하여 지지보(41)(42)에 브라켓트(200)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압플레이트(12)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개구(161b)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고 관통구멍(12a)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라켓트를 도 3의 "B"방향으로부터 이동시켜서 앵커의 자유단부가 관통구멍에 통과되도록 하면서 지지보에 브라켓트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브라켓트(200)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브라켓트(200)의 손잡이(112)(122)를 잡고 앵커(20)를 가로지는 "B"방향(도 3참조)으로 이동시키면서 두 측판(110)(120) 사이를 통하여 앵커(20)가 진입되게 하고, 도 5a 및 도 6에서와 같이 걸이판(140)의 걸이홈(141)을 통하여 하지지보(42)에 브라켓트(200)를 지지시킨다.
이때 회동지지판(130)은 상지지보(41)에 헐겁게 면접촉되게 된다.
이어서 도 5a에서와 같이 이동블럭(16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압판(161)의 개구(161b)를 통하여 앵커(20)가 진입되도록 하고 구멍(161a)에 앵커(20)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너트(21)를 조임시키게 되면 앵커(20)와 지압판(161)이 상호 직각 위치로 각도보정이 되면서 앵커(20)에 인장력을 부여시키게 된다. 즉, 도 5a 및 도 8을 참조하면, 너트(21)의 조임에 따라 이동블럭(160)의 경사홈(162a)이 측판(110)(120)의 상면 가장자리에 억지결합되고 가이드돌기(111)(121)에 헐겁게 결합된 이동블럭(160)이 유동되면서 앵커(20)와 지압판(161)이 상호 직각 위치로 각도보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너트(21)의 조임에 따라 앵커(20)에 인장력이 부여될때 그 반력으로 상기 회동지지판(130)은 상지지보(41)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되게 된다.
도 1은 종래 브라켓트를 채용한 어스앵커공법으로 시공된 굴착단면,
도 2는 도 1의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브라켓트를 채용한 어스앵커공법으로 시공된 굴착단면,
도 4는 도 3의 브라켓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어스앵커에 브라켓트를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
도 5b는 지지보의 변형에 따른 본 발명 브라켓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브라켓트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5a의 요부 단면도이다.

Claims (4)

  1. 굴착단면의 상지지보와 하지지보에 지지되며 굴착단면에 돌출한 어스앵커의 자유단부를 고정시키는 어스앵커용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마주 대향되는 한쌍의 측판(110)(120)과, 상기 한쌍의 측판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스페이서(150)를 구비하는 고정블럭(170)과;
    상기 고정블럭(170)을 상기 상지지보(41)와 하지지보(42)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한쌍의 측판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착단면에 돌출한 어스앵커에 가로질러 진입가능한 개구(161b)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어 상기 어스앵커(20)가 관통되는 구멍(161a)이 형성된 지압판(161)을 구비하는 이동블럭(160)과;
    상기 구멍(161a)을 관통한 상기 어스앵커(20)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압판(161)에 어스앵커(20)를 인장시키는 조임부재(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브라켓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측판(110)(120)의 하단부에 상기 하지지보(42)에 걸려지는 걸이홈(141)이 형성된 걸이판(14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브라켓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판(140)이 고정되지 아니한 상기 측판(110)(120)의 저면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지지보(41)에 접촉지지되는 회동지지판(1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브라켓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110)(120)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기 토류벽(40)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113)(123)이 형성되고, 각 측판(110)(120)의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면(113)(123)과 같은 경사의 가이드돌기(111)(121)가 형성되며, 각 측판(110)(12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12)(12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럭(160)은 상기 지압판(161)의 저면에는 상기 각 측판(110)(120)의 상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입구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경사홈(162a)과, 상기 각 가이드돌기(111)(121)에 헐겁게 결합되어 안내되는 측홈(162b)이 형성된 안내판(1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브라켓트.
KR1020080044738A 2008-05-14 2008-05-14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089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38A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8-05-14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38A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8-05-14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196B1 true KR100893196B1 (ko) 2009-04-16

Family

ID=4075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738A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8-05-14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557A (ko)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일정건설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72U (ko) * 1989-08-31 1991-04-22
KR200263938Y1 (ko) 2001-11-09 2002-02-19 정성필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KR200372358Y1 (ko) 2004-06-30 2005-01-14 대한금속주식회사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0760213B1 (ko) 2006-12-28 2007-09-20 (주) 신기술산업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972U (ko) * 1989-08-31 1991-04-22
KR200263938Y1 (ko) 2001-11-09 2002-02-19 정성필 어스앵커 고정용 지지체
KR200372358Y1 (ko) 2004-06-30 2005-01-14 대한금속주식회사 앵커체의 삽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100760213B1 (ko) 2006-12-28 2007-09-20 (주) 신기술산업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557A (ko)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일정건설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987B1 (ko) 띠장용 홈메우기 장치
KR101206344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992942B1 (ko)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20110129657A (ko)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20120076806A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100893196B1 (ko)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2088161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
KR101287687B1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JP6078767B2 (ja) コンクリート製残存型枠の構造
KR20130121271A (ko)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JP6196454B2 (ja) 壁面構築用パネルと壁面の構築方法
JP6070118B2 (ja) 土留壁構造、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KR20090063386A (ko) 휀스 전도 방지용 구조물
KR100609500B1 (ko) 철근을 이용한 가설재 고정장치
KR101705785B1 (ko) 무띠장 흙막이 공사용 에이치형 형강 파일의 앵커 박스 설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띠장 앵커 설치 공법
KR101534058B1 (ko)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JPH0119045Y2 (ko)
KR102107793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고정 장치
KR100750762B1 (ko) 잭킹유닛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JP2000001865A (ja) 構築用側面体及び該構築用側面体を使用した構築物の施工方法
KR10147089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앵커용 내설 대좌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앵커 시공방법
KR100657654B1 (ko) 복수개의 앵커삽입홀이 형성된 에이치형 파일
JP2022108441A (ja) 長さ調整治具
JP7265736B1 (ja) 丁張用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