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557A -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557A
KR20200107557A KR1020190026859A KR20190026859A KR20200107557A KR 20200107557 A KR20200107557 A KR 20200107557A KR 1020190026859 A KR1020190026859 A KR 1020190026859A KR 20190026859 A KR20190026859 A KR 20190026859A KR 20200107557 A KR20200107557 A KR 2020010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using
earth anchor
bracke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890B1 (ko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정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정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정건설
Priority to KR102019002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 현장에서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한 어스앵커를 고정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평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면서, 어스앵커 각도에 따라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지지각도가 무단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 해서 20~40도 범위에서 시공되는 어스앵커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어스앵커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의 선단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해서 철거의 편리성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의 플랜지가 걸림홈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 및 서포트 사이의 공간에는 후면지지판 및 서포트에 결합되는 호형의 받침대를 설치하고, 받침대의 상측으로 받침대의 절곡부 곡률에 부합하는 호형 접지면을 갖는 접지편이 형성된 하우징을 배치하여 하우징이 와이어의 설치 각도에 부합하도록 무단으로 호형의 받침대를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Earth anchor bracket with angle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 현장에서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한 어스앵커를 고정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평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면서, 어스앵커 각도에 따라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지지각도가 무단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 해서 20~40도 범위에서 시공되는 어스앵커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어스앵커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의 선단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해서 철거의 편리성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토목공사나 건축공사 현장에 적용하는 토류벽을 지지하는 용도로 어스앵커를 사용하게 된다.
어스앵커에 적용되는 와이어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수직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H형강 구성의 2열의 수평보에 설치되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어스앵커용 브래킷은 다양한 구성의 것이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964258호(2010.06.16.)의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B1)10-0893196호(2009.04.16.)의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 어스앵커용 브래킷(브라켓 또는 브라켓트)들은 대부분 수평보의 전방에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설치작업이 어렵고, 또 설치상태에서 작업영역으로 어스앵커용 브래킷이 돌출되므로 현장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어스앵커용 브래킷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5-0029450호(2015.03.18.)의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경우 토류벽의 측방에 상하 2열로 설치되는 H형강 구성의 수평보에 결합하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의 후방 플랜지(flange) 전면에 수평보와 직각방향으로 걸쳐지는 후면지지판과, 후면지지판의 양측에 결합되는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상단에 결합되며 수평보의 전방 플랜지의 전면에 수평보와 직각방향으로 걸쳐지며 중앙에 작업용 구멍이 천공된 전면지지판과, 상기 후면지지판에는 상하측 수평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와이어내입공이 수용되도록 양측 서포트 사이의 전면지지판에 결합되는 각도조절관과, 상기 각도조절관에 하단이 결합되는 하우징과, 와이어내입공을 통해 하우징에 형성된 테이퍼형 고정구멍으로 끼워지는 어스앵커와이어 단부를 클램핑 고정하는 와이어클램프와, 상기 서포트의 상단 양측과 전면지지판 사이에 상하측 수평보의 플랜지가 끼워지는 걸림홈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은 브래킷을 수평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므로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 없이도 브래킷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지지판과 후면지지판이 수평보를 구성하는 H형강의 플랜지에 지지되는 구성이므로 지지력이 우수하다. 또한 브래킷이 작업영역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현장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경우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는 큰 문제가 없어나, 철거해야 하는 경우 각도조절관 전체를 절단해야 하야 어스앵커에 위치하는 와이어(또는 철근)을 절단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철거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철거 후 재사용이 어려웠다.
또한 각도조절관에 어스앵커의 인장하중이 집중되어 후면지지판의 변형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두꺼운 후면지지판을 사용함으로 해서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전체 하중이 증가하여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취급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경우 지면에 20~40도 범위의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는 와이어에 부합하도록 지지부재의 각도를 현장 여건에 부합하도록 개별 설계하여 적용해야 하므로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그로 인해 대량 생산하여 재고 관리하기도 어려웠다.
KR 100964258 B1 2010.06.16. KR 100893196 B1 2009.04.16. KR 1020150029450 A 2015.03.18.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어스앵커용 브래킷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작업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평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 또는 하우징 받침이 와이어의 설치 각도에 부합하도록 무단으로 호형의 받침대를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20~40도 범위에서 시공되는 어스앵커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호형의 받침대 하측에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어스앵커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의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철거의 편리성, 재활용성 등의 부가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의 플랜지가 걸림홈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 및 서포트 사이의 공간에는 후면지지판 및 서포트에 결합되는 호형의 받침대를 설치하고, 받침대의 상측으로 받침대의 절곡부 곡률에 부합하는 호형 접지면을 갖는 접지편이 형성된 하우징을 배치하여 하우징이 와이어의 설치 각도에 부합하도록 무단으로 호형의 받침대를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의 플랜지가 걸림홈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 및 서포트 사이의 공간에는 후면지지판 및 서포트에 결합되는 호형의 받침대를 설치하고, 받침대의 상측으로 받침대의 절곡부 곡률에 부합하는 호형 접지면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하우징이 안치되는 하우징안치홈이 구비된 하우징 받침을 배치하여 하우징이 안치된 하우징 받침이 와이어의 설치 각도에 부합하도록 무단으로 호형의 받침대를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받침대에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 받침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구비하여, 받침대와 가이드봉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하우징에 형성된 접지편 또는 하우징이 안치되는 하우징 받침이 이탈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받침대의 양측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접지편 또는 하우징 받침에는 가이드홈에 내입되는 가이드핀을 결합하여 가이드핀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양측 서포트에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 받침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하여, 접지편 또는 하우징 받침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상기 후면지지판과 받침대 사이에 형성되어 와이어가 지나는 공간은 서포트에 형성한 측면작업용 구멍으로 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째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의 플랜지가 걸림홈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 및 서포트 사이의 공간에는 서포트에 형성한 축지공에 받침파이프를 결합하고, 받침파이프에 축직각으로 앵커작업구멍을 형성하여 전후면지지판에 형성한 전후면작업용 구멍과 연통되도록 하고, 전면지지판 쪽으로는 파이프를 절단하여 구성한 하우징 받침을 용접하여 하우징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브래킷을 수평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므로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별도의 고정 없이도 브래킷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지지판과 서포트 사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으로 수평보를 구성하는 H형강의 플랜지가 끼워지므로 지지력이 우수하다.
-브래킷이 작업영역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현장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작업자가 현장에서 쉽게 취급할 수 있다.
-후면지지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를 따라 하우징 또는 하우징 받침이 와이어의 설치 각도에 부합하도록 무단으로 회동되므로 20~40도 범위에서 시공되는 어스앵커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동일 제품을 다양한 시공 현장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제고관리가 가능하여 주문 즉시 납품이 가능하다.
-후면지지판과 호형의 받침대 하측 사이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서포트에 형성한 측면작업용 구멍을 이용하여 어스앵커를 구성하고 있는 와이어의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철거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재활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이 적용된 토류벽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받침대에 하우징 받침을 적용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받침대에 가이드봉을 설치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받침대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서포트에 가이드레일을 부가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이 적용된 토류벽의 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토목공사나 건축공사 현장에 적용하는 토류벽(100)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보(110)를 세우고, 이들 수직보(110) 사이에 나무판 또는 철판 구성의 토류판(130)을 끼워 토사 등이 공사현장으로 유입되게 않게 한다. 이때 수직보(110)에는 강한 토압이나 수압이 제공되는데, 이를 지지하기 위해 어스앵커(140)를 토층에 매립 설치하고, 어스앵커(140)에서 도출되는 와이어(141)를 이용하여 수직보(110)를 지지하게 되는데, 통상 수직보(110)의 전방에 H형강 구성의 수평보(120)를 2열로 설치하고, 수평보(120)에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설치하여 수직보(11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1)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와이어(141)의 설치 각도에 따라 하우징(10) 또는 하우징(10)이 안치되는 하우징 받침(30)이 호형으로 제공되는 받침대(20)를 따라 회동되도록 함으로 해서 무단으로 각도 조절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및 정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1)은 토류벽(100)의 측방에 상하 2열로 설치되는 H형강 구성의 수평보(120)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수평보(120)인 H형상은 중앙의 가로봉에 해당하는 부분을 웨브(web)(121), 양쪽의 세로봉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후방) 플랜지(flange)(122)라고 한다.
본 발명의 어스앵커용 브래킷(1)은 상하 2열의 수평보(120)의 후방 플랜지(122)(flange;수직보(110)와 면접된 쪽)의 전면에 수평보(120)와 직각방향으로 걸쳐지도록 한 쌍의 서포트(2)를 마련하고, 서포트(2)의 전방에는 상하측 수평보(120)의 전방 플랜지(122) 전면에 위치하며, 수평보(120)에 직각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서포트(2)의 양단에서 벗어나는 길이를 갖는 전면지지판(3)을 결합한다.
이때 전면지지판(3)과 접하는 서포트(2)의 양측으로는 상하측 수평보(120)의 플랜지(122)가 끼워지는 걸림홈(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지지판(3)에는 전면작업용 구멍(3a)을 장공 타입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걸림홈(4)을 형성하는 경우 걸림홈(4)으로 수평보(120)의 플랜지(122) 단부가 끼워지므로,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수평보(120)에 별도로 고정하지 않아도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조립과정에서 플랜지(122)가 레일 역할을 하고 걸림홈(4)이 블록 역할을 하여 수평보(120)를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므로 설치위치로 브래킷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의 경우 본 발명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5-0029450호(2015.03.18.)의 어스앵커용 브래킷(1)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하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이어(141)와 결합하는 하우징(10)을 무단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양측 서포트(2) 사이에 상기 전면지지판(3)에 형성된 전면작업용 구멍(3a)을 통해 보이도록 받침대(20)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대(20)는 후면지지판(5) 및 양측 서포트(2)에 고정되며, 중앙으로 와이어(141)가 통과할 수 있는 앵커작업구멍(20c)을 형성한다. 이때 받침대(20)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20)의 상측으로는 호형으로 형성된 받침대(20)의 상부면과 면접하는 호형의 접지면(12)을 갖는 접지편(11)이 구비된 하우징(10)을 배치하여 받침대(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10)에는 와이어클램프(40)를 결합하여 후면지지판(5)에 형성한 후면작업용 구멍(5a)을 통해서 내입되는 와이어(141)를 클램핑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하우징(10)에 와이어(141)를 결합 후 와이어클램프(40)로 와이어(141)를 클램핑할 때 하우징(10)이 와이어(141)와 직각위치가 되도록 받침대(20)를 따라 무단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와이어(141)의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평판재를 호형으로 절곡하고, 절곡부(20a)에서 한쪽으로 지지부(20b)를 연장되게 구성한 것으로, 도시된 바에 의하면 후면지지판(5)에 결합한 상태일 때 아래쪽에 지지부(20b)가 위치되도록 하고 위쪽에 호형의 절곡부(20a)가 위치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받침대에 하우징 받침을 적용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이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대(20)의 상측으로 호형으로 형성된 받침대(20)의 상부면과 면접하는 호형의 접지면(31)을 갖는 하우징 받침(30)을 배치하여 받침대(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 받침(30)의 상측으로는 하우징(10)이 안치되는 안치홈(32)을 형성하여 하우징(10)을 안치하고, 하우징(10)에는 와이어클램프(40)를 결합하여 후면지지판(5)에 형성한 후면작업용 구멍(5a)을 통해서 내입되는 와이어(141)를 클램핑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하우징(10)에 와이어(141)를 결합 후 와이어클램프(40)로 와이어(141)를 클램핑할 때 하우징(10)이 안치되어 있는 하우징 받침(30)이 와이어(141)와 직각위치가 되도록 받침대(20)를 따라 무단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와이어(141)의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받침대에 가이드봉을 설치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 도 5, 도 6과 같이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10)에 형성된 접지편(11) 또는 하우징(10)이 안치되는 하우징 받침(30)의 양측 가장자리측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받침대(20)의 양측 상부에 호형으로 가이드봉(21)을 결합하고, 받침대(20)와 가이드봉(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하우징(10)에 형성된 접지편(11) 또는 하우징(10)이 안치되는 하우징 받침(30)이 이탈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받침대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 도 5, 도 6과 같이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10)에 형성된 접지편(11) 또는 하우징(10)이 안치되는 하우징 받침(30)의 양측 가장자리측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받침대(20)의 양측에 가이드홈(22)을 형성하고, 접지편(11) 또는 하우징 받침(30)에는 가이드홈(22)에 내입되는 가이드핀(33)을 결합하여 가이드핀(33)이 가이드홈(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에서 서포트에 가이드레일을 부가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한 것이다.
이는 상기 도 5, 도 6과 같이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10)에 형성된 접지편(11) 또는 하우징(10)이 안치되는 하우징 받침(30)의 양측 가장자리측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양측 서포트(2)에 접지편(11) 또는 하우징 받침(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50)을 결합하여 접지편(11) 또는 하우징 받침(30)이 들리지 않고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120)의 플랜지가 걸림홈(4)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1)에 있어서,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3)(5) 및 서포트(2) 사이의 공간에는 서포트(2)에 형성한 축지공(2b)에 받침파이프(6)를 결합하고, 받침파이프(6)에 축직각으로 앵커작업구멍(6a)을 형성하여 전후면지지판(3)(5)에 형성한 전후면작업용 구멍(3a)(5a)과 연통되도록 하고, 전면지지판(3) 쪽으로는 파이프를 절단하여 구성한 하우징 받침(7)을 용접하여 하우징(10)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할 경우 하우징(10)이 받침파이프(6)에 안치된 상태에서 축지공(2b)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되므로 하우징(10)에 와이어(141)를 결합 후 와이어클램프(40)로 와이어(141)를 클램핑할 때 하우징(10)이 안치되어 있는 받침파이프(6)가 와이어(141)와 직각위치가 되도록 축지공(2b)에서 따라 무단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와이어(141)의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어스앵커용 브래킷 2:서포트
2a:측면작업용 구멍 2b:축지공
3:전면지지판 3a:전면작업용 구멍
4:걸림홈 5:후면지지판
5a:후면작업용 받침파이프 6a,20c:앵커작업구멍
7,30:하우징 받침 10:하우징
11:접지편 12:접지면
20:받침대 20a:절곡부
20b:지지부 21:가이드봉
22:가이드홈 31:접지면
32:안치홈 33:가이드핀
40:와이어클램프 50:가이드레일
100:토류벽 110:수직보
120:수평보 121:웨브
122:플랜지 130:토류판
140:어스앵커 141:와이어

Claims (7)

  1.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120)의 플랜지가 걸림홈(4)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1)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3)(5) 및 서포트(2) 사이의 공간에는 후면지지판(5) 및 서포트(2)에 결합되는 호형의 받침대(20)를 설치하고, 받침대(20)의 상측으로 받침대(20)의 절곡부(20a) 곡률에 부합하는 호형 접지면(12)을 갖는 접지편(11)이 형성된 하우징(10)을 배치하여 하우징(10)이 와이어(141)의 설치 각도에 부합하도록 무단으로 호형의 받침대(20)를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2.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120)의 플랜지가 걸림홈(4)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1)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3)(5) 및 서포트(2) 사이의 공간에는 후면지지판(5) 및 서포트(2)에 결합되는 호형의 받침대(20)를 설치하고, 받침대(20)의 상측으로 받침대(20)의 절곡부(20a) 곡률에 부합하는 호형 접지면(12)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하우징(10)이 안치되는 하우징(10)안치홈(32)이 구비된 하우징 받침(30)을 배치하여 하우징(10)이 안치된 하우징 받침(30)이 와이어(141)의 설치 각도에 부합하도록 무단으로 호형의 받침대(20)를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에는 하우징(10) 또는 하우징 받침(30)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21)을 구비하여, 받침대(20)와 가이드봉(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하우징(10)에 형성된 접지편(11) 또는 하우징(10)이 안치되는 하우징 받침(30)이 이탈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의 양측에 가이드홈(22)을 형성하고, 접지편(11) 또는 하우징 받침(30)에는 가이드홈(22)에 내입되는 가이드핀(33)을 결합하여 가이드핀(33)이 가이드홈(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측 서포트(2)에는 하우징(10) 또는 하우징 받침(30)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50)이 구비하여, 접지편(11) 또는 하우징 받침(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지지판(5)과 받침대(20) 사이에 형성되어 와이어(141)가 지나는 공간은 서포트(2)에 형성한 측면작업용 구멍(2a)으로 노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7. 상하 2열로 배열된 수평보(120)의 플랜지가 걸림홈(4)을 형성한 어스앵커용 브래킷(1)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용 브래킷(1)을 구성하는 전후면지지판(3)(5) 및 서포트(2) 사이의 공간에는 서포트(2)에 형성한 축지공(2b)에 받침파이프(6)를 결합하고, 받침파이프(6)에 축직각으로 앵커작업구멍(6a)을 형성하여 전후면지지판(3)(5)에 형성한 전후면작업용 구멍(3a)(5a)과 연통되도록 하고, 전면지지판(3) 쪽으로는 파이프를 절단하여 구성한 하우징 받침(7)을 용접하여 하우징(10)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KR1020190026859A 2019-03-08 2019-03-08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KR10220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859A KR102206890B1 (ko) 2019-03-08 2019-03-08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859A KR102206890B1 (ko) 2019-03-08 2019-03-08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557A true KR20200107557A (ko) 2020-09-16
KR102206890B1 KR102206890B1 (ko) 2021-01-25

Family

ID=7266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859A KR102206890B1 (ko) 2019-03-08 2019-03-08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133A (zh) * 2021-04-01 2021-06-11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前支点挂篮张拉调位装置及调位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30B1 (ko) * 2006-03-31 2006-12-04 손일준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9-04-16 나병관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0964258B1 (ko)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KR20120116767A (ko) * 2011-04-13 2012-10-23 김성희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150029450A (ko) 2013-09-10 2015-03-18 김경윤 어스앵커용 브래킷
KR101793533B1 (ko) * 2017-06-01 2017-11-03 (주)지오알앤디 강연선 재인장 기능을 가진 앵커지지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30B1 (ko) * 2006-03-31 2006-12-04 손일준 어스 앵커 브라켓
KR100893196B1 (ko) 2008-05-14 2009-04-16 나병관 어스 앵커용 브라켓트
KR100964258B1 (ko)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KR20120116767A (ko) * 2011-04-13 2012-10-23 김성희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150029450A (ko) 2013-09-10 2015-03-18 김경윤 어스앵커용 브래킷
KR101793533B1 (ko) * 2017-06-01 2017-11-03 (주)지오알앤디 강연선 재인장 기능을 가진 앵커지지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133A (zh) * 2021-04-01 2021-06-11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前支点挂篮张拉调位装置及调位方法
CN112942133B (zh) * 2021-04-01 2022-08-30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前支点挂篮张拉调位装置及调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890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775B1 (ko)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KR102058432B1 (ko) 굴착용 흙막이패널 지지장치
KR101328907B1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KR102206890B1 (ko)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어스앵커용 브래킷
KR20120076806A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101034900B1 (ko) 어스앵커용 3d 브라켓
KR101287687B1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102309544B1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210126902A (ko) 어스앵커 브래킷용 클램프
KR101507991B1 (ko) 어스앵커용 브래킷
KR20140033889A (ko) Cft 원형강관 기둥용 거치대와 이를 이용한 cft 원형강관 기둥의 설치방법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20020036198A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US11396747B1 (en) Framing systems and brackets therefor
JP2017193857A (ja) 横部材の取付構造と防護柵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GB2288831A (en) Support assembly for brick cladding
KR20170043872A (ko) 경량 어스앵커용 브래킷
KR20200114650A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바 고정구
KR102505342B1 (ko) 어스 앵커용 브라켓 장치
KR20200066163A (ko) 건물 외벽시공장치
KR102405036B1 (ko) 패널지지장치
KR102468391B1 (ko) 흙막이측벽파일지지형 거푸집을 포함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
JP3184745U (ja) 土台梁と鋼管杭との連結調整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