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271A -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271A
KR20130121271A KR1020120044310A KR20120044310A KR20130121271A KR 20130121271 A KR20130121271 A KR 20130121271A KR 1020120044310 A KR1020120044310 A KR 1020120044310A KR 20120044310 A KR20120044310 A KR 20120044310A KR 20130121271 A KR20130121271 A KR 20130121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retaining wall
exposed
hole
copp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관
Original Assignee
(주)이지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이앤티 filed Critical (주)이지이앤티
Priority to KR102012004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1271A/ko
Publication of KR2013012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2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벽의 두 개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일측면에 조립 설치되어 원지반 토사(9a)속의 경사지게 천공된 앵커 정착 천공홀(9b)에 정착되어 지면 기준 경사진 앵커(6)의 노출 단부를 일직선상에 체결 고정하는 앵커 지지 조립체로서, 상기 두 개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전방면에 면접되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의 전방면에 면접되며, 좌우이동판(10a, 10b) 간격의 적소에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통과공(24)이 위치되도록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하이동판(20)과;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의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앵커체결홀(36)에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체결 지지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하이동판(2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조립 설치되는 앵커지지헤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앵커지지헤드의 앵커체결홀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움직이면서 경사진 앵커가 항상 일직선으로 삽입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ASSEMBLIES FOR SUPPORTING EARTH ANCHOR OF SOIL RETAINING WALL AND SOIL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흙막이벽 시공에 설치되는 앵커가 삽입되어 일직선으로 체결 지지되도록 하는 앵커 지지 조립체가 종래 기술의 대좌와 비교하여 두께가 작기 때문에 흙막이 토류판의 전방에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가 작아 시공 공사비가 절감되며, 무게가 가벼워 인력으로 들어 시공 작업을 할 수 있어 시공 효율이 향상되는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 등에 사용되는 흙막이벽은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지반 토압 등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1.2m ~ 2.0m 내외 간격으로 시공되는 수직 H형강재 엄지말뚝과 수평 H형강재 띠장 이외에도 수평 H형강재 띠장 후방 안쪽에 다수개의 보강 철근을 이어 배근해 시공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보강 철근 배근을 위한 설치 작업공간이 필요하므로 흙막이벽의 두께를 증가시켜 건축면적이 많이 소요되는 구조공학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부식방지를 위한 간격유지 엄지말뚝이 구비된 영구 흙막이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련한 기술(특허등록번호 제1029040호, 등록일자 2011.04.06)(이하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기술"이라 한다)을 제안하였다.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기술인 흙막이벽 구조체는 원지반 토사속에 수직으로 삽입 매설된 수직 H형강재 간격유지 엄지말뚝의 내부식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수직 H형강 간격유지 엄지말뚝의 몸체(101)의 전면의 띠장 접합노출면(102)을 제외한 땅 속에 완전히 매립되는 부분의 일정 두께(D1, D2)의 부식방지 간격유지층(103)에 콘크리트 등으로 밀봉 피복시킴으로써, 오랜 기간 동안 토사 습기에 노출되어도 간격유지 엄지말뚝의 H형강 몸체가 부식이 되지 않아 원지반 토압 등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수평 H형강재 띠장 후방 안쪽의 보강 철근 배근을 위한 설치시공 공간부를 없애(보강 철근 배근을 없애) 흙막이벽 구조체의 수평 H형강재 띠장 후방의 두께를 최소화해 건축 시공면적이 작게 소요되고 자재 비용의 절감으로 시공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해 대좌를 설명하면, 철강재인 대좌(400)는 흙막이벽 구조체의 수직 H형강재 간격유지 엄지말뚝 몸체(101)의 하부에 접합 고정된 보걸이(360)의 위에 수평으로 올려져 수직 H형강재 간격유지 엄지말뚝 몸체(101) 전방 노출면(102)에 접합 고정된 수평 H형강 띠장(300)의 전방 바깥쪽에 용접 고정된다.
상기 대좌(400)는 일정 간격으로 인접 이격된 두 개의 수평 H형강 띠장(300)의 전면 일측에 용접 접합 고정되며 일측에 통공된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을 통해 어스앵커, 네일 또는 버팀빔 등의 보강재(460)가 통과해 원지반 토사(900)속에 일정 각도(일례로 20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고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0)는 복수개의 나무판재로 된 흙막이 토류판(200)이 고정된 수직 H형강재 간격유지 엄지말뚝의 몸체(101)간의 사이와 수평 H형강 띠장(300)간의 사이를 통과해 원지반 토사(900)속에 일정 각도(일례로 20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천공된 구멍에 삽입된 후 그라우트(도시 안함)를 채워 원지반 토사(900)속에 정착 고정된다.
그리고, 흙막이 토류판(2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수직 H형강재 간격유지 엄지말뚝 몸체(101), 수평 H형강 띠장(300), 수평 H형강 띠장(300)의 전면에 용접 접합 고정된 대좌(400)와, 대좌(400)의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을 통해 삽입되어 원지반 토사(900)속에 삽입 정착되는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0)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콘크리트(960)를 타설 양생(피복)해 흙막이 토류판(200)을 통해 유출되는 토사 습기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기술의 대좌(400)는 상기 지면 기준 일정 각도(일례로 20도 내지 30도 각도)로 경사진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0)의 노출 단부가 대좌(400)의 전방 노출면 상의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에 직각(90도 각도)을 이루며 일직선으로 통과해야만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0)의 노출 단부를 통상의 앵커헤드(도시 안함, 보강재 노출단부 체결고정 헤드)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좌(400)는 두 개의 수평 H형강 띠장(300)의 전면 일측에 양단부가 용접 접합된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일정 길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돌출되어야만 대좌(400)의 전방 노출면 상의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에 지면 기준 일정 각도로 경사진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0)의 노출 단부가 직각(90도 각도)으로 직선으로 삽입 통과되는 구조이다.
즉, 대좌(400)는 구조적으로 두께(일례로 30cm 이상 두께 소요)가 크기 때문에, 상기 흙막이 토류판(200)의 전방으로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960)의 피복 두께(일례로 70cm 이상 두께 소요)가 커서 시공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두껍고 무거워 인력으로는 들어서 시공 작업을 할 수 없어 별도로 장비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기술은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원지반 토사(900)속에 일정 각도(일례로 20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천공된 구멍과 대좌(400)의 전방 노출면 상의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이 정확하게 일직선상에 위치되어야만,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가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이 형성된 대좌(400)의 전방 노출면에 직각(90도 각도)을 이루면서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에 일직선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시공 현장에서 두껍고 무거운 대좌(400)의 상하 양단부를 두 개의 수평 H형강 띠장(300)의 전면 일측에 용접 접합하는 과정에서 미리 원지반 토사(900)속에 일정 각도(일례로 20도 내지 30도)로 경사지게 천공된 구멍과 대좌(400)의 전방 노출면 상의 보강재 삽입공(도시 안함)이 정확하게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정밀한 용접작업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실제 흙막이벽 건설 시공 현장에서 어스앵커 등의 보강재(460)가 꺽여 휘어져서 인장 하중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두껍고 무거운 대좌를 대체해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경사진 앵커(6)가 비틀어 휘어지지 않게 일직선으로 삽입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구조로 된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지지 조립체가 종래 기술의 앵커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대좌와 비교하여 두께가 작기 때문에 흙막이 토류판의 전방으로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가 작아 시공 공사비가 절감되며, 앵커 지지 조립체가 각각 작은 두께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인력으로 들어서 시공 작업을 할 수 있어 시공 효율이 향상되며, 체결 조립된 앵커 지지 조립체를 분해시켜 타 건설 현장에서 재사용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흙막이벽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일측면에 조립 설치되어 경사져 삽입되는 앵커(6)의 노출 단부를 일직선상에서 체결 고정하는 앵커 지지 조립체로서, 두 개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전방면에 면접되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의 전방면에 면접되며, 좌우이동판(10a, 10b) 간격의 적소에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통과공(24)이 위치되도록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하이동판(20)과,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의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앵커체결홀(36)에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체결 지지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하이동판(2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조립 설치되는 앵커지지헤드(30)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는 지면 기준으로 경사진 앵커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앵커지지헤드의 앵커체결홀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움직이면서 경사진 앵커가 항상 일직선으로 삽입되도록 조립 설치되기 때문에 비틀어 꺽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 상하이동판(20)과 앵커체결헤드(30)가 조립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앵커 지지 조립체는 종래 기술의 대좌와 비교하여 두께(부피)가 작기 때문에 흙막이 토류판의 전방으로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가 작아 시공 공사비가 절감되며, 작은 두께(부피)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력으로 들어서 시공 작업을 할 수 있어 시공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흙막이벽 구조체의 수평 H형강 띠장의 전방에 대좌가 용접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흙막이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흙막이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흙막이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는 앵커를 일직선으로 체결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의 전방면에 면접되며, 좌우이동판(10a, 10b) 간격의 적소에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통과공(24)이 위치되도록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하이동판(20)과,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의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앵커체결홀(36)에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체결 지지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하이동판(2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조립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흙막이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흙막이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가 흙막이벽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는 흙막이벽의 두 개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일측면에 조립 설치되어 원지반 토사(9a)속의 경사지게 천공된 앵커 정착 천공홀(9b)에 정착되어 지면 기준 경사진 앵커(6)의 노출 단부를 일직선상에 체결 고정하는 앵커 지지 조립체이다. 상기 원지반 토사(9a)속의 앵커 정착 천공홀(9b)은 일례로 지반을 기준으로 20도 내지 30도의 경사 각도로 경사지게 천공된다.
상기 두 개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전방면에는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이 면접되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의 전방면에는 상하이동판(20)이 면접되어 좌우이동판(10a, 10b) 간격의 적소에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통과공(24)이 위치되도록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된다.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의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체결홀(36)에 일직선으로 삽입 체결되는 앵커지지헤드(30)는 상기 상하이동판(20)이 전방면에 면접되어 조립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앵커지지헤드(30)의 앵커체결홀(36)에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체결 지지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하이동판(20)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의 후방면 상부에는 걸고리(14)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어 상기 상부 수평 띠장(4a)의 상부 테두리에 걸어진 상태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앵커지지헤드(30)는 후방 면접 경사면(32)은 상기 지면 기준 경사진 앵커(6)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일정 각도로 경사진다. 그리고, 전방 노출면(34)은 상기 후방 면접 경사면(32)이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전방면의 적소에 수직으로 면접되면 상기 지면 기준 경사진 앵커(6)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앵커지지헤드(30)가 조립 설치되어 전방 노출면(34)이 배치된 상태의 경사각은 종래 기술의 대좌(일례로 동일 시공현장에 설치 시공된 대좌)의 경사진 전방 노출면의 경사각과 동일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전방면의 적소는 상기 앵커지지헤드(30)의 후방 면접 경사면(32)에 형성된 앵커체결홀(36)이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에 일치되는 위치이다.
상기 앵커지지헤드(30)의 앵커체결홀(36)은 상기 앵커(6)가 삽입되는 전방부(37a)는 직경이 넓고 후방부(37b)의 직경은 좁은 전광후협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앵커지지헤드(30)의 앵커체결홀(36)의 전방부(37a)에 앵커(6)의 강선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전방부(37a)의 여유 공간(틈)에 쐐기(도시 안함)를 억지끼워 넣어 앵커(6)의 강선이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한편, 상기 앵커체결홀(36)은 앵커(6)가 4가닥 강선인 경우에는 그에 대응되도록 4개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6)는 영구앵커, FRP 앵커 이외에 네일, 락볼트 또는 버팀빔 등의 보강재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를 이용한 흙막이벽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치 시공된다.
우선, 별도의 공장에서 앵커(6)를 체결 지지하는 앵커 지지 조립체의 조립 부품인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 상하이동판(20)과, 앵커지지헤드(30)를 제조한다.
그 후, 흙막이벽 건설 시공 현장에서 엄지말뚝(1)을 원지반 토사(9a)에 수직으로 삽입 매설한다.
그 후, 상기 엄지말뚝(1)이 일정 간격으로 수직 입설된 상태에서 흙막이 터파기 작업으로 상기 엄지말뚝(1)의 전방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한 후 전방에 노출된 엄지말뚝(1)간의 사이에 토사 유출을 막는 흙막이 토류판(2)을 끼움 고정한다.
그 후, 상기 흙막이 토류판(2)이 고정된 간격유지 엄지말뚝(1)간의 사이에 앵커 정착 천공홀(9b)을 천공해 상기 엄지말뚝(1)의 띠장 접합노출면 하부에 보걸이(3)를 접합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보걸이(3)에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을 올려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후면 일측을 띠장 접합노출면에 수평으로 접합 고정한다.
그 후, 상기 엄지말뚝(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고정된 두 개의 상하부 띠장(4a, 4b)의 전방면 일측에 면접시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을 조립 설치한다.
그 후, 상기 앵커(6)를 좌우이동판(10a, 10b) 간격의 적소에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통과공(24)이 위치되도록 앵커통과공(24)을 통해 삽입 통과시켜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의 전방면에 면접시켜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하이동판(20)을 조립 설치한다.
그 후,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의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앵커체결홀(36)에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체결 지지되도록 앵커(6)를 중앙부에 관통된 앵커체결홀(36)을 통해 통과시켜 상하이동판(20)의 전방면에 경사진 후방 면접 경사면(32)을 면접시켜 앵커지지헤드(30)를 조립 설치한다.
이때, 종래 기술의 앵커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대좌와 비교하여 상기 앵커 지지 조립체인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 상하이동판(20)과 앵커체결헤드(30) 간의 조립체 두께(일례로 20cm 작은 10cm 두께)가 작기 때문에 상기 흙막이 토류판(2)의 전방으로 타설 양생되는 콘크리트(40)의 피복 두께(일례로 50cm 이하 두께 소요)가 작아 시공 공사비가 절감되고, 타 건설 현장에서 재사용이 가능해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앵커 정착 천공홀(9b)을 통해 보강재를 삽입해 원지반 토사(9a)속에 앵커(6)를 정착 고정한다.
그 후, 상기 흙막이 토류판(2)의 전방으로 콘크리트(40)를 타설 양생해 원지반의 흙막이 설치 경계선에 흙막이벽이 설치 시공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엄지말뚝 2. 흙막이 토류판
3. 보걸이 4a. 상부 수평 띠장
4b. 하부 수평 띠장 6. 앵커
9a. 원지반 토사 9b. 앵커 정착 천공홀
10a 10b. 좌우이동판 14. 걸고리
20. 상하이동판 24. 앵커통과공
30. 앵커체결헤드 32. 후방 면접 경사면
34. 전방 노출면 36. 앵커체결홀
37a. 전방부 37b. 후방협지부
40. 콘크리트

Claims (5)

  1. 흙막이벽의 두 개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일측면에 조립 설치되어 원지반 토사(9a)속의 경사지게 천공된 앵커 정착 천공홀(9b)에 정착되어 지면 기준 경사진 앵커(6)의 노출 단부를 일직선상에 체결 고정하는 앵커 지지 조립체로서,
    상기 두 개의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전방면에 면접되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의 전방면에 면접되며, 좌우이동판(10a, 10b) 간격의 적소에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통과공(24)이 위치되도록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하이동판(20)과;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의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앵커체결홀(36)에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체결 지지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과 상하이동판(2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조립 설치되는 앵커지지헤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판(10a, 10b)의 후방면 상부에는 걸고리(14)가 일체로 용접 접합되어 상기 상부 수평 띠장(4a)의 상부 테두리에 걸어진 상태에서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지지헤드(30)는 후방 면접 경사면(32)은 상기 지면 기준 경사진 앵커(6)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고, 전방 노출면(34)은 상기 후방 면접 경사면(32)이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전방면의 적소에 수직으로 면접되면 상기 지면 기준 경사진 앵커(6)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지지헤드(30)의 앵커체결홀(36)은 상기 앵커(6)가 삽입되는 전방부(37a)는 직경이 넓고 후방부(37b)의 직경은 좁은 전광후협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5. 엄지말뚝(1)을 원지반 토사(9a)에 수직으로 삽입 매설하고;
    상기 엄지말뚝(1)이 일정 간격으로 수직 입설된 상태에서 흙막이 터파기 작업으로 상기 엄지말뚝(1)의 전방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한 후 전방에 노출된 엄지말뚝(1)간의 사이에 토사 유출을 막는 흙막이 토류판(2)을 끼움 고정하고;
    상기 흙막이 토류판(2)이 고정된 간격유지 엄지말뚝(1)간의 사이에 앵커 정착 천공홀(9b)을 천공해 상기 엄지말뚝(1)의 띠장 접합노출면 하부에 보걸이(3)를 접합 고정한 후, 보걸이(3)에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을 올려 상하부 수평 띠장(4a, 4b)의 후면 일측을 띠장 접합노출면에 수평으로 접합 고정하고;
    상기 엄지말뚝(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고정된 두 개의 상하부 띠장(4a, 4b)의 전방면 일측에 면접시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을 조립 설치하고;
    상기 앵커(6)를 좌우이동판(10a, 10b) 간격의 적소에 중앙부에 통공된 앵커통과공(24)이 위치되도록 앵커통과공(24)을 통해 삽입 통과시켜 한 쌍의 좌우이동판(10a, 10b)의 전방면에 면접시켜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하이동판(20)을 조립 설치하고;
    상기 상하이동판(20)의 앵커통과공(24)의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6)의 노출 단부가 앵커체결홀(36)에 일직선으로 삽입되어 체결 지지되도록 앵커(6)를 중앙부에 관통된 앵커체결홀(36)을 통해 통과시켜 상하이동판(20)의 전방면에 경사진 후방 면접 경사면(32)을 면접시켜 앵커지지헤드(30)를 조립 설치하고;
    상기 앵커 정착 천공홀(9b)을 통해 보강재를 삽입해 원지반 토사(9a)속에 앵커(6)를 정착 고정하고;
    상기 흙막이 토류판(2)의 전방으로 콘크리트(40)를 타설 양생해 원지반의 흙막이 설치 경계선에 흙막이벽이 설치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20120044310A 2012-04-27 2012-04-27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Ceased KR20130121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10A KR20130121271A (ko) 2012-04-27 2012-04-27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310A KR20130121271A (ko) 2012-04-27 2012-04-27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271A true KR20130121271A (ko) 2013-11-06

Family

ID=4985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310A Ceased KR20130121271A (ko) 2012-04-27 2012-04-27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12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58B1 (ko) * 2014-07-15 2015-07-06 (주)이지이앤티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CN108589738A (zh) * 2018-05-22 2018-09-2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半重力坝式基坑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130336A (zh) * 2019-06-12 2019-08-16 山东建勘集团有限公司 锚杆内置锁定结构
KR20220155696A (ko) * 2021-05-17 2022-11-24 영승종합건설(주)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58B1 (ko) * 2014-07-15 2015-07-06 (주)이지이앤티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CN108589738A (zh) * 2018-05-22 2018-09-2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半重力坝式基坑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130336A (zh) * 2019-06-12 2019-08-16 山东建勘集团有限公司 锚杆内置锁定结构
KR20220155696A (ko) * 2021-05-17 2022-11-24 영승종합건설(주)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831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2162467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US968334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reinforce excavation walls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36240B1 (ko)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KR20130121271A (ko) 흙막이벽의 앵커 지지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0637711B1 (ko) 폭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건축용 토류판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KR101006963B1 (ko) 보강재 및 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61516B1 (ko)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CN209412681U (zh) 栈桥结构
KR102652422B1 (ko) 커플러를 이용한 패널식 옹벽시공방법 및 패널식 옹벽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101029040B1 (ko) 부식방지를 위한 간격유지 엄지말뚝이 구비된 영구 흙막이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34058B1 (ko)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KR20120060491A (ko) 배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c.i.p. 공법
KR101297679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구조 및 그 공법
KR102617795B1 (ko)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JP5830068B2 (ja) 法面補強工法
KR102091972B1 (ko) 흙막이용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
KR20090083497A (ko) 어스앵커 브라켓 및 이를 적용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7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