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875Y1 - 스노 체인 - Google Patents

스노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875Y1
KR200262875Y1 KR2020010034221U KR20010034221U KR200262875Y1 KR 200262875 Y1 KR200262875 Y1 KR 200262875Y1 KR 2020010034221 U KR2020010034221 U KR 2020010034221U KR 20010034221 U KR20010034221 U KR 20010034221U KR 200262875 Y1 KR200262875 Y1 KR 200262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lip member
fixed
surface contact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열
Original Assignee
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열 filed Critical 최상열
Priority to KR2020010034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875Y1/ko

Link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지된 자동차의 타이어에 복수 개의 벨트를 방사상으로 배열시킨 후 이 벨트들을 고정링으로 조임고정하여 종래 스노 체인을 고무줄이나 끈으로 조이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노 체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스노 체인은 자동차를 정지한 상태에서 타이어(2)의 외주연에 벨트(3)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그 양측에 위치한 내,외측면밀착부재(6)(7)를 타이어(2)의 내,외측면에 밀착시키고, 계속해서 고정링(4)을 걸고리(7c)에 걸어 각각의 벨트(3)를 고정시켜 조립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벨트(3)는 논슬립부재(5)가 타이어(2) 노면접촉부를 감싼 상태에서 그 양측에 위치한 내,외측면밀착부재(6)(7)가 타이어(2)의 내,외측면에 접면된 상태로 조립됨과 동시에 고정링(4)이 각 벨트(3)를 당겨 조립하게 되므로 벨트(3)는 타이어(2)에 견고하게 조립되고, 외측면밀착부재(7)의 제 2 연결편(7b)은 고정링(4)의 당김에 의해 연결봉(8c)에 끼워진 탄성부재(8d)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8d)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후 타이어(2)의 공기압이 변하여 논슬립부재(5)가 외측면밀착부재(7)를 잡아당길 때 팽창하여 제 2 연결편(7b)의 이동을 도와 논슬립부재(5)가 과도하게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노 체인{Snow chain}
본 고안은 스노 체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된 자동차의 타이어에 복수 개의 벨트를 방사상으로 배열시킨 후 이 벨트들을 고정링으로 조임고정하여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노 체인에 관한 것이다.
스노 체인은 빙판길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타이어에 착용되어 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비인 것이다.
이러한 스노 체인은 빙판길 안전을 위해 종래에도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크게 와이어형, 쇠사슬 체인형 그리고 우레탄 체인형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와이어형은 소형으로 제작되어 가볍고 가격이 싼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미끄럼성능이 떨어지고 쉽게 끊어지는 단점이 있고, 쇠사슬 체인형은 미끄럼성능이 뛰어나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승차감이 나쁘고 소음이 큰 단점이 있으며, 우레탄 체인형은 우레탄 패드에 스파이크 핀을 붙여 넣은 제품으로 진동과 소음은 작으나 쇠사슬 체인형보다 미끄럼성능이 떨어지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스노 체인들를 바퀴에 착탈할 때는 바퀴 앞이나 뒤에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차를 움직여 그 위에 바퀴를 올려 놓은 다음 양단부를 연결하고 측면을 고무줄이나 스프링으로 조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리프트 잭으로 타이어를 들어올린 후 이 바퀴에 체인을 감아 고정하였기 때문에 체인 착탈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지된 자동차의 타이어에 복수 개의 벨트를 방사상으로 배열시킨 후 이 벨트들을 고정링으로 조임고정하여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노 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스노 체인의 구성은 적어도 타이어의 노면접촉부보다 더 긴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일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스파이크가 돌출되게 삽입되며, 상기 스파이크가 타이어 외측으로 향하도록 타이어의 노면접촉부에 감싸여지게 고정되는 논슬립부재; 타이어 내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는 곡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논슬립부재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논슬립부재가 타이어에 고정될 때 그 타이어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접면된 상태로 고정되는 내측면밀착부재; 및 타이어 외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는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에 걸림고정되는 걸고리를 가지며, 상기 논슬립부재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논슬립부재가 타이어에 고정될 때 그 타이어의 외측면에 밀접한 상태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면밀착부재;를 포함한 벨트를 구성하고,
상기 논슬립부재가 타이어의 노면접촉부에 감싸이도록 복수 개의 벨트를 타이어에 방사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벨트의 외측면밀착부재에 형성된 걸고리를 고정링으로 걸어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면밀착부재는 논슬립부재 단부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편; 타이어 외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는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에 상기 고정링을 걸림고정하는 걸고리를 갖는 제 2 연결편; 상기 제 1,2 연결편의 각 연결부에 블록이 돌출되고, 이들 블록 사이에 연결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 1,2 연결편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봉에 탄성부재가 끼워져 그 양단부가 상기 블록들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링으로 각 벨트를 고정시킬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편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은 일단부에 형성된 걸고리, 상기 걸고리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고리에 삽탈되는 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걸고리와 레버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소정위치가 양분되고 그 양분된 각 단부에 보울트가 고정되고, 상기 보울트가 일정길이를 갖는 체결부재에 고정되어, 고정링의 지름을 조절하는 지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 체인이 조립된 타이어의 외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 체인이 조립된 타이어의 내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 체인이 조립된 타이어의 정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원내부를 확대하여 본 고안의 스노 체인이 타이어에 조립된 상태를 확대한 외측면도
도 5 는 도 3 의 원내부를 확대하여 본 고안의 스노 체인이 타이어에 조립된 상태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 체인에 관한 것으로, 탄성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링의 지름조절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8a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링이 이음되기 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b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링이 이음되어 스노 체인을 조립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노 체인 3 : 벨트
4 : 고정링 5 : 논슬립부재
6 : 내측면밀착부재 7 : 외측면밀착부재
8 : 탄성수단 9 : 개폐수단
10 : 지름조절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 체인이 조립된 타이어의 외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 체인이 조립된 타이어의 내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 체인이 조립된 타이어의 정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스노 체인(1)은 타이어(2)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감기는 벨트(3)와 이 벨트(3)들을 조임고정하는 고정링(4)으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3)는 타이어(2) 노면접촉부에 감싸여지는 논슬립부재(5), 상기 논슬립부재(5) 일측에 연결되고 타이어(2) 내측면에 밀착고정되는 내측면밀착부재(6), 그리고 상기 논슬립부재(5) 타측에 연결되고 타이어(2) 외측면에 밀착고정되는 외측면밀착부재(7)를 포함한다.
상기 논슬립부재(5)는 적어도 타이어(2)의 노면접촉부보다 더 긴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일측면에 빙판노면과 접촉되는 복수 개의 돌기(5a)들이 형성되는데 이 돌기(5a)들 내부에는 빙판과 직접접촉하여 마찰력을 높이는 스파이크(5b)가 돌출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논슬립부재(5)는 상기 스파이크(5b)들이 타이어(2) 외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그 길이방향이 타이어(2) 폭방향으로 하여 노면접촉부에 감싸여지게 고정된다.
상기 논슬립부재(5)는 상기 내,외측면밀착부재(6)(7) 사이에 배치되는데, 적어도 2개 이상이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도 1 에서 논슬립부재(5) 한 쌍이 배치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논슬립부재(5)의 재질은 타이어(2)를 감쌀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되며, 이를 위해 고무재나 우레탄 또는 탄성을 가지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측면밀착부재(6)는 타이어(2) 내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는 곡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논슬립부재(5)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논슬립부재(5)가 타이어(2)에 고정될 때 그 타이어(2)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접면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밀착부재(6)는 타이어(2) 내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5 에서와 같이 타이어(2)의 내측면 곡면과 같은 곡면형상으로 구성되는데, 각 논슬립부재(5)와 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 일단부가 타어어의 노면접촉 부분까지 연장되고 타단부가 타이어(2) 휠부분까지 연장되어 이음된 단일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조립시 타이어(2) 내측면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내측면밀착부재(6)의 재질은 얇으면서도 그 절곡된 곡면이 변형되지 않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스프링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외측면밀착부재(7)는 상기 내측면밀착부재(6) 대향되는 타이어(2) 외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타이어(2)의 외측면 곡면과 같은 곡면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외측면밀착부재(7b)는 도 5 및 도 6 과 같이 논슬립부재(5) 단부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편(7a), 상기 제 1 연결편(7a)을 연결하는 제 2 연결편(7b), 상기 제 1,2 연결편(7a)(7b) 사이를 탄성력으로 가변되게 고정하는 탄성수단(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연결편(7b)은 판상의 몸체로 구성되는데, 이 몸체는 타이어(2) 외측면의 곡면과 같은 곡면형상으로 처리되어 타이어(2)에 조립될 때 그 타이어(2) 외측면에 밀접하게 접면조립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링(4)에 걸림고정되는 걸고리(7c)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수단(8)은 상기 제 1,2 연결편(7a)(7b)에 각각 돌출된 블록(8a)(8b)을 연결하는 연결봉(8c), 상기 끼워지고 그 양단부가 상기 각 블록(8a)(8b)에 지지되는 탄성부재(8d)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링(4)을 걸고리(7c)에 걸어 타이어(2)에 복수 개의 벨트(3)를 조립할 때 제 2 연결편(7b)이 고정링(4)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8d)를 압축시키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8d)는 비포장도로 주행으로 인해 타이어(2)의 공기압이 변화되어도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그 유격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고정링(4)은 몸체가 개구부를 갖는 원형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개폐수단(9)으로 개폐되며, 몸체 소정위치에는 링의 지름을 조절하는 지름조절수단(10)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9)은 개구부 일단부에 형성된 걸고리, 상기 걸고리(9a)와 대향되는 개구부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9b), 상기 손잡이(9b)의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고리(9a)에 삽탈되는 레버(9c)로 구성된다.
상기 지름조절수단(10)은 몸체 소정위치가 양분되고 그 양분된 각 단부에 보울트(10a)(10b)가 고정되고, 상기 보울트(10a)(10b)는 일정길이를 갖는 체결부재(10c)에 고정되어, 상기 보울트의 체결정도에 따라 고정링(4)의 지름을 가감조절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공구를 이용하여 몸체를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 중앙에 구멍(10d)이 통공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노 체인(1)을 타이어(2)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자동차를 정지한 상태에서, 장착대상이 되는 타이어(2)의 외주연에 상기 벨트(3)를 방사상으로 배치시킨다. 이 때 상기 각 벨트(3)는 논슬립부재(5)의 길이방향을 타이어(2) 폭방향으로 배치하여 내,외측면밀착부재(6)(7)를 그 타이어(2)의 내,외측면에 도 5 와 같이 밀착시킨다. 계속해서, 고정링(4)의 개폐수단(9)을 도 8a 와 같이 개방하여 지름을 확대한 상태에서 이 고정링(4)의 중심을 타이어(2)의 중심에 일치시킨 후 도 8b 와 같이 개폐수단(9)의 손잡이(9b)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레버(9c)가 고정링(4)의 걸고리(9a)에 걸림고정되어 각각의 벨트(3)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벨트(3)의 고정된 상태는 논슬립부재(5)가 타이어(2) 노면접촉부를 감싼 상태에서 그 양측에 위치한 내,외측면밀착부재(6)(7)가 타이어(2)의 내,외측면에 접면된 상태로 조립됨과 동시에 고정링(4)이 각 벨트(3)를 당겨 조립하게 되므로 벨트(3)는 타이어(2)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벨트(3)가 고정링(4)에 의해 고정되면, 외측면밀착부재(7)의 제 2 연결편(7b)은 고정링(4)의 당김에 의해 연결봉(8c)에 끼워진 탄성부재(8d)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8d)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후 자동차가 비포장도로를 주행하여 타이어(2)의 공기압이 변하여 논슬립부재(5)가 외측면밀착부재(7)를 잡아당길 때 팽창하여 제 2 연결편(7b)의 이동을 도와 논슬립부재(5)가 과도하게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스노 체인은 타이어가 정지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벨트를 타이어에 방사상으로 조립하게 되므로, 자동차를 움직이거나 리프트 잭으로 타이어를 들어올려 조립하는 종래 조립방법과 대비할 때 그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벨트 장착을 위한 마무리 공정이 고정링으로 벨트의 걸고리를 조임식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종래 고무줄이나 노끈으로 묶어 고정하는 방식보다 현저히 간단하여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적어도 타이어의 노면접촉부보다 더 긴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일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스파이크가 돌출되게 삽입되며, 상기 스파이크가 타이어 외측으로 향하도록 타이어의 노면접촉부에 감싸여지게 고정되는 논슬립부재;
    타이어 내측면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는 곡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논슬립부재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논슬립부재가 타이어에 고정될 때 그 타이어의 내측면에 밀접하게 접면된 상태로 고정되는 내측면밀착부재; 및
    타이어 외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는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에 걸고리를 가지며, 상기 논슬립부재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논슬립부재가 타이어에 고정될 때 그 타이어의 외측면에 밀접한 상태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측면밀착부재;를 포함한 벨트를 구성하고,
    상기 논슬립부재가 타이어의 노면접촉부에 감싸이도록 복수 개의 벨트를 타이어에 방사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벨트의 외측면밀착부재에 형성된 걸고리를 고정링으로 걸어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 스노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재는
    상기 내,외측면밀착부재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 체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밀착부재는
    논슬립부재 단부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편;
    타이어 외측면과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는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에 상기 고정링을 걸림고정하는 걸고리를 갖는 제 2 연결편;
    상기 제 1,2 연결편의 각 연결부에 블록이 돌출되고, 이들 블록 사이에 연결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 1,2 연결편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봉에 탄성부재가 끼워져 그 양단부가 상기 블록들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링으로 각 벨트를 고정시킬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연결편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 체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일단부에 형성된 걸고리, 상기 걸고리와 대향되는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고리에 삽탈되는 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걸고리와 레버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소정위치가 양분되고 그 양분된 각 단부에 보울트가 고정되고, 상기 보울트가 일정길이를 갖는 체결부재에 고정되어, 고정링의 지름을 조절하는 지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 체인.
KR2020010034221U 2001-11-08 2001-11-08 스노 체인 KR200262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21U KR200262875Y1 (ko) 2001-11-08 2001-11-08 스노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21U KR200262875Y1 (ko) 2001-11-08 2001-11-08 스노 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875Y1 true KR200262875Y1 (ko) 2002-03-18

Family

ID=7308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21U KR200262875Y1 (ko) 2001-11-08 2001-11-08 스노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8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2622B2 (ja) タイヤ用低干渉牽引摩擦装置
JPH06227218A (ja) タイヤ滑り止め兼保護装置
KR200262875Y1 (ko) 스노 체인
JPH0328326B2 (ko)
KR20050071633A (ko) 신속 끼워 맞춤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 및휘일에 고정하기 위한 관련 장치
US4960159A (en) Anti-skid device for tired vehicle wheels
EP1478527A1 (en) Snow chain made of a used tire
EP2008838B1 (en) Wheel rim anti-scratch device for snow chains
US2545061A (en) Fastening clip for antiskid tire chains
US4456047A (en) Connecting structure of traction device for vehicle wheels
KR20040031992A (ko) 아이젠을 갖는 스노우 체인
US2569077A (en) Antiskid chains for pneumatic tires
JP2010528915A (ja) リンク間に緩衝用挿入体を有するタイヤチェーン
KR101826468B1 (ko) 스노우 체인
CN2626751Y (zh) 汽车防滑链
JPH10138721A (ja) タイヤチェーンに使用する横架索条及びコネクター
JPH11105516A (ja) 自動車用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KR200315444Y1 (ko) 이륜자동차용 벨트형 미끄럼방지 장치
RU20382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я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KR200278774Y1 (ko)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JP2000198335A (ja) タイヤ用すべり止め装置
KR200278767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309737Y1 (ko) 미끄럼 방지용 자동차 커버
KR20010025943A (ko) 밴드형 자동차 바퀴용 미끌림방지 기구
JPH0611202Y2 (ja) タイヤ滑止具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