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256Y1 -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256Y1
KR200262256Y1 KR2020010031528U KR20010031528U KR200262256Y1 KR 200262256 Y1 KR200262256 Y1 KR 200262256Y1 KR 2020010031528 U KR2020010031528 U KR 2020010031528U KR 20010031528 U KR20010031528 U KR 20010031528U KR 200262256 Y1 KR200262256 Y1 KR 200262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bolt
faucet
clampers
cl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용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1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256Y1/ko
Priority to JP2002233232A priority patent/JP2003119848A/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6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using a socket for mounting of fauc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수도꼭지의 저부에 체결되는 베이스 링을 씽크에 결합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10)의 내경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에 체결되는 볼트(30)와; 상기 지지부(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40)과; 상기 지지부(20)의 저부로 연장되는 상기 볼트(30)와 가이드 핀(40)에 각각 축지지되고, 일단이 상호 연동되게 접촉되는 말굽형상의 한쌍의 클램퍼(50)로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인바 제작 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수도꼭지의 설치 및 분리가 보다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력을 대폭 절감시키게 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faucet for sink}
본 고안은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해결 구조를 더욱 간소화하므로서 보다 손쉽게 수도꼭지를 씽크에서 체해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용 수도꼭지는 씽크에서 필요로 하는 급수를 제공하기 위한 수도꼭지이다.
씽크용 수도꼭지는 예전에는 주로 벽면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최근에는 직접 씽크에 부착되게 하므로서 씽크의 설치와 동시에 설치되게 하므로서 보다 능률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고 있다.
수도꼭지를 씽크에 설치하기 위하여 종전에는 수도꼭지에 결합된 냉온수 및 혼합수 파이프를 우선 씽크에 형성한 삽입홀에 끼워 넣고, 씽크의 저부에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 체결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씽크의 저부에서 작업을 하다보니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작업의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그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특별한 공구가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번거롭기도 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면서 작업 효율이 좋지 못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씽크의 상부에서 수도꼭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다양하게 제안되기도 하였다.
도 1은 이러한 제안들 중 하나를 예시한 것이다.
즉 원통형의 베이스 링(1)은 수도꼭지의 본체 하단부에 결합되어 씽크에서수도꼭지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베이스 링(1)에는 내경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로서 지지부(1a)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 지지부(1a)에는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관통되는 볼트삽입홀(1b)과 이들 볼트삽입홀(1b)들의 중간부위에는 핀홀(1c)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일측의 볼트삽입홀(1b)은 내측으로 개방되게 하고, 이들 각각의 볼트삽입홀(1b)과 핀홀(1c)에는 볼트(2)와 함께 가이드 핀(3)이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일측의 볼트삽입홀(1b)에서는 볼트(2)가 인출입가능하게 가이드 핀(3)에 의해 축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볼트(2)와 가이드 핀(3)은 지지부(1a)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를 하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이들 볼트(2)와 가이드 핀(3)에는 말굽형상의 클램퍼(4)가 동시에 축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클램퍼(4)는 상하부면이 평판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부면은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널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핀(3)을 공통의 축으로 나사결합된 일측의 볼트(2)와 클램퍼(4)를 회전시켜 일측의 볼트삽입홀(1b)로부터 인출입되도록 한다.
특히 양측의 클램퍼(4)는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되 가이드 핀(3)에 의해 축지지되는 일단부간에는 클램퍼(4)의 회전량을 한정하는 스토퍼부재(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양측의 클램퍼(4)를 서로 서로 접촉되도록 하게 되면 접촉된 상태에서의 클램퍼(4)의 외경은 반드시 씽크의 삽입홀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렇게 클램퍼(4)간 접촉된 상태에서 씽크의 삽입홀로 클램퍼(4)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베이스 링(1)의 하단면을 삽입홀의 상측 주연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부(1a)의 일측의 볼트삽입홀(1b)로부터 인출된 상태인 볼트(2)를 가이드 핀(3)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볼트삽입홀(1b)에 삽입되도록 하면 각 볼트(2)에 나사결합된 클램퍼(4)가 삽입홀의 하측 주연부의 직하부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양측의 볼트(2)를 각각 회전시키게 되면 각 볼트(2)에 결합된 클램퍼(4)가 볼트(2)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한다.
클램퍼(4)를 상부로 이동시켜 씽크의 삽입홀 하측 주연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클램퍼(4)의 상부면에는 널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씽크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면 베이스 링(1)이 전혀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베이스 링(1)의 고정시 일측의 볼트(2)를 볼트삽입홀(1b)로부터 인출 및 삽입을 해야하고, 그리고 양측의 볼트(2)를 각각 회전시켜야만 각 클램퍼(4)가 씽크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볼트(2)를 조작시 가이드 핀(3)에는 양 클램퍼(4)의 일단이 축지지되면서 단부간 상하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상측에 위치되는 클램퍼(4)를 지지하고 있는 볼트(2)를 먼저 조작해야만 하는 난해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볼트 조작에 의해 양측의 클램퍼가 동시에 연동되게 하므로서 보다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체해결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클램퍼간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예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클램퍼간 다른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예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클램퍼의 형상을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를 씽크에 결합시킨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링 20 : 지지부
30 : 볼트 32 : 나사부
40 : 가이드 핀 50 : 클램퍼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도꼭지의 저부에 체결되는 베이스 링을 씽크에 결합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의 내경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과; 상기 지지부의 저부로 연장되는 상기 볼트와 가이드 핀에 각각 축지지되고, 일단이 상호 연동되게 접촉되는 말굽형상의 한쌍의 클램퍼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크게 베이스 링(10)과 지지부(20)와 볼트(30)와 가이드 핀(40)과 클램퍼(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베이스 링(10)은 원통형상이며, 상부에는 수도꼭지 본체가 결합되고, 하단부는 씽크에 형성한 삽입홀의 상측 주연부에 안착되는 구성이다.
지지부(20)는 베이스 링(10)에서 내경면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구성이다.
지지부(20)에는 양측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볼트삽입공(21)과 함께 핀홀(22)를 형성한다.
특히 지지부(20)는 베이스 링(10)의 내경면으로부터 지나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링(10)의 내경부로는 이후 수도꼭지에 연결된 냉온수 및 혼합수 파이프가 통과하므로 최소한 이들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볼트(30)는 머리부(31)가 지지부(20)의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나선부(32)는 지지부(20)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삽입공(21)에 하향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특히 볼트(30)는 나선부(32)의 외주면이 나일론 코팅에 의해 면처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머리부(31)의 상면부에는 간단한 공구에 의해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가이드 핀(40)은 볼트(30)와 마찬가지로 머리부분이 지지부(20)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핀홀(22)보다는 크게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핀홀(22)에 고정되게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핀(40)은 볼트(3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20)의 핀홀(22)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 핀(40)은 하향 연장되는 길이가 볼트(30)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단부에는 소정의 높이에 멈춤링(41)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클램퍼(50)는 평면이 말발굽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구성으로, 각각은 볼트(30)와 가이드 핀(40)에 축지지되는 구성이다.
즉 일측의 클램퍼(51)는 볼트(30)의 나선부(3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의 클램퍼(52)는 가이드 핀(40)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며, 양측의 클램퍼(51)(52)는 일단이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클램퍼(51)(52)의 상호 접촉되는 일단부간은 도 4에서와 같이 기어결합에 의해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다시말해 클램퍼(51)(52)간 서로 접하게 되는 접촉단부는 외주면으로 각각 기어(51a)(52a)가 형성되게 하여 이들의 기어결합에 의해서 일측의 클램퍼(51)를 볼트(30)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 타측의 클램퍼(51)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드방식에서는 클램퍼(51)(52)의 일단부간이 상하로 겹쳐지도록 하면서 볼트(30)에 축지지되는 클램퍼(51)의 접촉단부에는 장공(53)이 형성되도록 하고, 가이드 핀(40)에 축지지되는 클램퍼(52)의 접촉단부에는 장공(53)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돌기(54)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클램퍼(51)(52)는 스토퍼(55)에 의해서 회전하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한다.
즉 클램퍼(51)(52)간 상호 연결되는 각 접촉단부 중 적어도 일측의 외주면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하여 스토퍼(55)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이러한 스토퍼(55)는 외주면에서 하향 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클램퍼(51)(52)는 도 6에서와 같이 각각 서로 대응되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면간 접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조립과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형상의 베이스 링(10)에서 내경면에 일체로 형성한 지지부(20)의 양측에 각각 볼트(30)와 가이드 핀(40)을 결합하고, 지지부(20)의 저부로 연장되는 볼트(30)와 가이드 핀(40)에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한쌍의 클램퍼(51)(52)가 상호 회전 연동이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특히 일측의 클램퍼(51)는 볼트(30)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의 클램퍼(52)는 일단이 일측의 클램퍼(51)의 일단에서 상부에 얹혀지도록 하여 일측의 클램퍼(51)가 승강시 동시에 연동하여 승강토록 하며, 가이드 핀(40)의 하단부에는 멈춤링(41)이 끼워지면서 클램퍼(52)의 하향 이탈을 방지한다.
클램퍼(51)(52)에 결합되는 볼트(30)와 가이드 핀(40)의 결합위치는클램퍼(51)(52)간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촉단부측으로 가까울수록 각 타단의 회전 각도는 커지게 되고, 반대로 접촉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각 타단의 회전 각도는 작아지게 되므로 클램퍼(51)(52)가 회전하는 각도를 감안하여 결합위치가 설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을 조립시킨 후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30)를 조작하여 한쌍의 클램퍼(51)(52)가 서로 대향하는 면간 접촉되도록 모여지게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씽크의 삽입홀에 클램퍼(51)(52)를 삽입하게 되면 클램퍼(51)(52)는 별 간섭없이 원활하게 하향 삽입되면서 베이스 링(10)의 하단부가 도 7에서와 같이 씽크(6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베이스 링(10)의 지지부(20)에 결합된 일측의 볼트(30)를 다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전기한 조작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각 클램퍼(51)(52)는 접촉단부와 대응되는 외측단부가 볼트(30)와 가이드 핀(40)을 축으로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클램퍼(51)(52)의 외측단부를 스토퍼(55)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때까지 회전시키게 되면 한쌍의 클램퍼(51)(52)는 각각 최소한 외측의 단부가 씽크의 삽입홀 내경을 벗어난 외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작용은 볼트(30)의 나사부(32)가 나일론 코팅됨에 따라 나사결합된 일측의 클램퍼(51)는 일단 볼트(30)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일측의 클램퍼(51)가 회전하게 되면 일측의 클램퍼(51)와 접촉단부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타측의 클램퍼(52)를 대응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스톱퍼(55)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때까지 클램퍼(51)(5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볼트(30)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클램퍼(51)는 볼트(30)의 나사부(31)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동시에 타측의 클램퍼(52) 또한 접촉단부가 일측의 클램퍼(51)의 상측에 얹혀져 있게 되므로 상부로 같이 이동하게 된다.
볼트(30)를 조작하므로서 클램퍼(51)(52)를 소정의 높이로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클램퍼(51)(52)가 씽크의 삽입홀 외주연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서 베이스 링(10)을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한쌍의 클램퍼(51)(52)가 씽크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하므로서 더 이상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면 베이스 링(10)에 상부로부터 수도꼭지를 결합시켜 간단히 수도꼭지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장등에 의해 교체 필요성이 발생될 때에도 씽크로부터 전기한 설치 순서에 역으로 수도꼭지와 베이스 링(10)을 분리시키므로서 보다 손쉬운 작업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쌍의 클램퍼(51)(52)를 하나의 볼트(30)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연동되도록 결합시킨 간소한 구조 개선으로 본 고안의 제작 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수도꼭지의 설치 및 분리가 보다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하므로서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작업력을 대폭 절감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6)

  1. 수도꼭지의 저부에 체결되는 베이스 링을 씽크에 결합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10)의 내경면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에 체결되는 볼트(30)와;
    상기 지지부(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40)과;
    상기 지지부(20)의 저부로 연장되는 상기 볼트(30)와 가이드 핀(40)에 각각 축지지되고, 일단이 상호 연동되게 접촉되는 말굽형상의 한쌍의 클램퍼(50);
    로서 구비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0)는 나사부(32)가 나일론 코팅에 의해 이루어지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50)는 평면이 각각 반원형상인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클램퍼((51)(52)는 각 일단에 기어(51a)(52a)이 기어맞물림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클램퍼(51)(52)는 상기 볼트(30)에 축지지되는 클램퍼(51)의 접촉단부에는 장공(53)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핀(40)에 축지지되는 상기 클램퍼(52)의 접촉단부에는 장공(53)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돌기(54)가 돌출되도록 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51)(52)간 상호 연결되는 각 접촉단부 중 적어도 일측의 외주면 외측으로는 일부 돌출되게 스토퍼(55)가 형성되도록 하는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KR2020010031528U 2001-10-16 2001-10-16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KR200262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28U KR200262256Y1 (ko) 2001-10-16 2001-10-16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JP2002233232A JP2003119848A (ja) 2001-10-16 2002-08-09 シンク用蛇口の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28U KR200262256Y1 (ko) 2001-10-16 2001-10-16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256Y1 true KR200262256Y1 (ko) 2002-03-18

Family

ID=1971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528U KR200262256Y1 (ko) 2001-10-16 2001-10-16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119848A (ko)
KR (1) KR2002622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72Y1 (ko) 2009-08-21 2011-09-29 이재춘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 구조체
KR101144056B1 (ko) 2010-06-17 2012-05-23 안병득 벽배관 지지용 퀵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6228B2 (ja) * 2013-03-26 2017-03-01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72Y1 (ko) 2009-08-21 2011-09-29 이재춘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 구조체
KR101144056B1 (ko) 2010-06-17 2012-05-23 안병득 벽배관 지지용 퀵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19848A (ja)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330B2 (en) Combined faucet and drain assembly
US20150159359A1 (en) Toilet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WO2017206765A1 (zh) 一种过孔安装装置
CN108361265A (zh) 公差补偿装置
EP1881117A2 (en) Locking water tap
CN110273911B (zh) 快装快拆螺母结构
RU2401753C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5035993B (zh) 升降器
JP2021512749A (ja) Wcフラップ要素のための固定配置
JP2997594B2 (ja) バルブ取付け組立体
KR200262256Y1 (ko) 씽크용 수도꼭지의 고정장치
US11401704B2 (en) On-basin installation device of faucet
CN105587019A (zh) 水龙头快速安装组件
US20050056985A1 (en) Fixture
JP4879066B2 (ja) 水栓装置
JP3658456B2 (ja) 水道用メータユニット
KR960004720Y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JP2003082731A (ja) 排水栓装置
JP3763787B2 (ja) 流水部材の固定用具
CN100371634C (zh) 龙头和龙头组件
US1527804A (en) Cable box
JP7484076B2 (ja) 部材取付け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排水栓開閉操作装置
CN220580122U (zh) 一种龙头
JP4500004B2 (ja) ボールタップ
JP2002146862A (ja) 水栓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