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720Y1 -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20Y1
KR960004720Y1 KR2019940008720U KR19940008720U KR960004720Y1 KR 960004720 Y1 KR960004720 Y1 KR 960004720Y1 KR 2019940008720 U KR2019940008720 U KR 2019940008720U KR 19940008720 U KR19940008720 U KR 19940008720U KR 960004720 Y1 KR960004720 Y1 KR 960004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locking
hole
support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270U (ko
Inventor
문성훈
Original Assignee
문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훈 filed Critical 문성훈
Priority to KR2019940008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720Y1/ko
Publication of KR9500302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2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5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62H1/04Substantially U-shaped stands for embracing th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제1도는 본 고안인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를 설명하기위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잠금장치의 작동을 단면도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제3a도는 스탠드부가 세워졌을 때 록킹상태를 도시한 것.
제3b도는 스탠드부가 접혔을 때 해제상태를 도시한 것.
제4도는 종래의 오토바이 스탠드 잠금장치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으로서,
제4a도는 분해사시도.
제4b도는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래임 10 : 지지부
12 : 스탠드부 14 : 잠금부
16 : 제어부 24 : 연결간
28 : 잠금고리 30 : 걸림공
34 : 수평이동핀부
본 고안은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래임 일측에 형성된 잠금공과 스탠드부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공에 수평이동핀부를 진입시키거나 귀환시켜 잠금작동과 해제작동을 하도록하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탠드의 구조와 잠금장치는 다음의 설명과 같다.
즉, 스탠드는 절곡된 형상으로 오토바이이 본체 하단(구체적으로는 엔진부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시에 주행자는 상기 스탠드를 뒤로 젖히며, 주행이 끝나 주차시킬때에는 스탠드를 내려 오토바이를 안정하게 한다.
그러나, 스탠드의 내림으로써 오토바이의 도난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잠금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즉, 스탠드와 본체를 결착시키거나 별도의 파이프를 양 스탠드 사이에 끼워 역시 체인으로 묶는 수단을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잠금수단은 그 잠금 작업이 번거롭고 주행자의 손을 더럽힐 수 있으며 또한 잠금작업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탠드에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요구의 일환으로 한국 실용신안 공고 94-1368에 고안되어있는 바, 제4a, b도에 도시하였다.
오토바이프레임(61)의 축공(62)으로 스탠드가 현설된 외파이프(64)를 내파이프(64)의 내부에 삽입시켜 그 주연에서 공회전되도록 한 키축(K)를 축설하고 상기 내파이프(64)의 내부로 정역 모우터(M)를 구성하여 이 모우터축(65)의 풀리원판(65)과 구동축(66)을 갖는 구동원판(66)을 전동핀(67)으로 연결하고 상기 구동축(66)의 타단에는 회전제어간(68)을 고정시켜 내파이프(64)에 돌설한 제어돌기(68)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구동축(66)의 중간에 좌우로 작동캠(69)을 갖는 구동축(66)을 지지하여 주기위한 격리판(70)을 작동캠(69)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하여 이에 상하로 접동된 핀판(71)의 광협작용을 확실히하는 핀판(71)상으로 돌출된 괘지판(72)의 주연으로 스프링을 권착시켜 이를 내외파이프(64)로 천공한 핀공(74)을 통해 안내 작동 되도록 이들을 내파이프(64)의 내부로 구성하고 이에 일단을 보조 원판(75)와 같이 캡(76)을 내파이프의 양단을 감합고정되게한 모우터(M)의 구동축(66)이 시동키부(77)의 전원접점판에 의한 통전작용으로 정역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안은 효율적인 록킹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모우터등의 별도 요소를 필요로하여 제작비 또한 많이들며 고장의 요소가 많고 수리비가 많이들기 때문에 고장시 일체를 교환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함과 아울러 록킹효과를 최대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토바이 프래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잠금수단을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연결되게하는 연결간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와 내접하는 연결간 양측단부에 잠금수단을 위한 잠금고리를 갖고 지면에 접하는 하측부에 지지대를 갖는 스탠드부와 ; 상기 스탠드부와 축연결되는 지지대의 일측 외접에 장치되어 있으며 스탠드가 지지부와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잠금위치에 있어 잠금고리를 프래임에 구속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부와 ; 상기 잠금부 일측에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를 주행자의 의지로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주행자는 오토바이 주행을 마치고 오토바이를 세워 스탠드를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스탠드하부가 지면에 닿게하여 잠금부가 잠금위치에 있게하여 열쇠등으로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켜 록킹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인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를 설명하기위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프래임(1)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와 회전가능하도록 축연결된 스탠드부(12), 그리고 상기 스탠드부(12)의 상측부에 장치된 잠금부(14)와 상기 잠금부(14)의 잠금과 풀림을 원활히 하고자 하는 제어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스탠드부(12)를 회전가능하도록 축연결하기 위한 축공(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공(18)의 일방향에 일직선으로 잠금부(14)가 잠금수단을 수행하기 위한 잠금공(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14)가 볼트(4)등으로 상기 지지부(10)에 고정장착되도록 하는 장착공(22)이 상기 잠금공(20)을 중심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부(12)는 상기 지지부(10)와 접하는 상측부에 상기 양 지지부의 내측으로 축연결되는 연결간(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간 내부에는 축(5)이 상기 지지부의 축공(18)를 통과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하는 축횡공(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간(24)의 양단측부에 상기 지지부(10)의 반대방향으로 연결간과 수직되게 잠금고리(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고리(28)에는 상기 지지부(10)의 축공(18)과 연결간(24)의 축횡공(26)이 축연결될 때 잠금위치에서 잠금공(20)과 일치되도록 형성된 걸림공(30)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부(12)의 하측부는 오토바이 주차시 지면에 지지되도록하는 지지대(32)가 서로 멀어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14)는 지지부(10)외측에 장착되는데, 상기 지지부의 잠금공(20)에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부의 연결고리 걸림공(30)에 걸리게되는 수평이동핀부(3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14)의 일측에 상기 수평이동핀부(34)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잠금부(14)는 수평이동핀부(34) 시작부의 외주에 잠금공과 결착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수평이동핀부(34)가 자유롭게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하는 플랜지(35)가 형성되며 잠금공에는 상기 나사산(35)과 부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금공(20)에 플랜지(35)가 나사결합으로 장착된다. 또 지지부(10)의 외측에 볼트로 장착되고, 상기 스탠드부(12)는 스탠드부의 축횡공(26)을 지지부의 축공(18)에 맞추어 축(5)을 삽입통과시켜 볼트(6)로 고정된다. 이때 스탠드부의 연결간(24)이 프래임(1)에 스탠드부가 회전가능할 정도의 여유를 갖도록 틈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의 축공(18)이 프래임 표면과의 거리와 스탠드부 연결간(24)의 축횡공(26)과 연결간(24)의 외주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형성되도록 하였다.
제2도는 제1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탠드부(12)가 세워진 상태에서 잠금부(14)를 이용하여 록킹시키면 수평이동핀부(34)가 수평이동하여 지지부(10)의 잠금공(20)과 스탠드부(12)의 걸림공(30)으로 연장된 구멍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잠금상태에서 잠금부(14)를 작동하여 해제시키면, 수평이동핀부(34)는 상기 지지부(10)의 잠금공(20)과 스탠드부(12)의 걸림공(30)에 의해 연장된 구멍으로부터 귀환하여 스탠드부(12)를 회전시켜 접을 수 있게 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잠금장치의 작동을 단면도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제3a도는 스탠드부가 세워졌을 때 록킹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제3b도는 스탠드부가 접혔을 때 해제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3a도에서 볼 수 있듯이, 잠그부(14)가 록킹작동을 하면 스탠드부(12)의 지지대가 하강되어 잠금위치에 있을시에 잠금부(14)의 수평이동핀부(34)를 일측이동시켜 지지부(10)의 잠금공(20)과 스탠드부(12)의 걸림공(30)이 일체되도록하여 잠금상태에 있게한다. 그리고, 제3b도에서와 같이 잠금상태에서 해제되는 작동하면 잠금부(14)의 수평이동핀(34)을 반대이동시켜 스탠드부(12)의 걸림공(30)을 지지부(10)의 잠금공(20)에서 해방시켜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하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행자가 오토바이 주행을 마치고 오토바이를 세워 스탠드를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스탠드하부가 지면에 닿게하여 잠금부가 잠금위치에 있게하여 열쇠등으로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켜 록킹시키게되는바, 록킹효과가 좋고 더우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가 조작이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오토바이 프래임(1)의 일측에 형성되며 잠금수단을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0)와 ; 상기 지지부(10)에 회전가능하게 축연결되게하는 연결간(24)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10)와 내접하는 연결간 양측단부에 잠금수단을 위한 잠금고리(28)를 갖고 지면에 접하는 하측부에 지지대(32)를 갖는 스탠드부(12)와 ; 상기 스탠드부(12)와 축연결되는 지지부(10)의 외접에 장치되어 있으며 스탠드부(12)가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잠금위치에 있어 잠금고리(28)를 프래임에 구속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하는 잠금부(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4)는 잠금시에 지지부(10)에 형성된 잠금공(20)과 스탠드부(12)의 잠금고리(28)에 형성된 걸림공(30)에 의하여 연장된 구멍으로 수평이동하여 지지부(10)에 스탠드부(12)를 구속시키는 수평이동핀부(34)를 특징으로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KR2019940008720U 1994-04-23 1994-04-23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KR960004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720U KR960004720Y1 (ko) 1994-04-23 1994-04-23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720U KR960004720Y1 (ko) 1994-04-23 1994-04-23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70U KR950030270U (ko) 1995-11-20
KR960004720Y1 true KR960004720Y1 (ko) 1996-06-04

Family

ID=1938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720U KR960004720Y1 (ko) 1994-04-23 1994-04-23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7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676B1 (ko) * 1999-12-28 2002-07-04 배명진 이륜자동차의 도난 방지구조
KR100342675B1 (ko) * 1999-12-28 2002-07-04 배명진 이륜자동차의 도난 방지구조
KR100465121B1 (ko) * 2001-09-19 2005-01-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수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676B1 (ko) * 1999-12-28 2002-07-04 배명진 이륜자동차의 도난 방지구조
KR100342675B1 (ko) * 1999-12-28 2002-07-04 배명진 이륜자동차의 도난 방지구조
KR100465121B1 (ko) * 2001-09-19 2005-01-0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수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70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4693Y2 (ja)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US7823426B2 (en) Assembling method of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CN105128751A (zh) 车用脚踏板装置及其电机组件
JPH0425179B2 (ko)
KR960004720Y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오토바이용 스탠드
JP2015009750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204715914U (zh) 高强度u型密码锁
JP3808597B2 (ja) 空気昇降式車止め
JP2008190193A (ja) 錠装置
CN113006610A (zh) 防误开空调风机箱体面板装配锁紧件
CN117047677B (zh) 一种用于汽车生产线的底座固定钢结构
KR200390794Y1 (ko) 오토바이 후진용 기어장치
JPS6239964Y2 (ko)
CN214273109U (zh) 一种便捷改道旋转式车库
JP5117265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219958855U (zh) 一种点火开关锁
CN220538500U (zh) 一种汽车车位隐藏式地锁
CN219509423U (zh) 一种电机电控锁
JP2549277Y2 (ja) ハンドル位置の変更制御可能な自転車
CN117047677A (zh) 一种用于汽车生产线的底座固定钢结构
KR200332271Y1 (ko) 자동 회전문의 구동장치 설치구조
KR19980010550U (ko) 자전거 전진 구동장치
JP2009255793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組付方法及び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S6214290Y2 (ko)
KR200190326Y1 (ko) 로타리식 주차기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