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214Y1 - 접철식 도로 표지구 - Google Patents

접철식 도로 표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214Y1
KR200262214Y1 KR2020010030541U KR20010030541U KR200262214Y1 KR 200262214 Y1 KR200262214 Y1 KR 200262214Y1 KR 2020010030541 U KR2020010030541 U KR 2020010030541U KR 20010030541 U KR20010030541 U KR 20010030541U KR 200262214 Y1 KR200262214 Y1 KR 200262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nit
road
cover bottle
bott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규
Original Assignee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0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214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가장자리나 중앙선 등의 표시를 위해 사용되는 도로 표지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로 표지구는, 도로에 매설되어 돌출되며 측면에 반사판(22)이 부착된 표지병 유닛(20)과, 상기 표지병 유닛(20)과 일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힌지연결된 표지봉 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지병 유닛(20)은 상하단이 개방된 힌지요홈부(20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봉 유닛(30)은 그 하단이 표지병 유닛(20)의 힌지요홈부(20a)에 삽입 연결되고, 압박 스프링(34) 등의 탄력수단에 의해 압박지지됨으로써 자유회동이 방지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로 표지구는 표지병 유닛(20)과 표지봉 유닛(30)이 일체화된 구조로서, 표지봉 유닛(30)을 회동 직립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표지봉 유닛(30)에 의한 차선표시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표지봉 설치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등, 도로안전 및 원활한 교통소통에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접철식 도로 표지구{Guiding apparatus}
본 고안은 도로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가장자리나 중앙선 등의 표시를 위해 사용되는 도로 표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의 표시가 확연하게 드러나야 하는 중앙선이나, 경사가 있는 곡면도로에는 도로 표지시설물을 차선을 따라 매설하여 야간이나 악천후 시와 같이 시야가 흐린 경우에도 차선의 경계가 분명이 드러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도로 표지시설물은 그 구조와 기능에 따라,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도로에서 약간 돌출된 반원구 내지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반사판이 부착된 표지병(10) 및,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노면에 직립 설치되는 표지봉(12)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표지병(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면의 경계를 확실히 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표지봉(12)은 노면의 경계뿐만 아니라, 차량의 급격한 차선변경을 확실히 방지해야 하는 갈림길이나, 교량진입로 등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이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교통량 변화 등의 이유로 표지병(10)을 표지봉(12)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매설된 표지병(10)을 제거한 다음, 표지봉(12) 지지를 위한 매립구(14)를 설치하고, 상기 매립구(14)에 표지봉(14)을 부착하는 번거로운 작업과정을 거쳐야 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주행차선 일부를 차단하고 작업을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원활한 교통소통에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표지시설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면에 나사홀(16a)이 형성된 구조로서 도로에 매설되는 표지병유닛(16)과, 하단에 나사산(181)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표지병 유닛(16)의 나사홀(16a)에 분리 결합되는 표지봉 유닛(18)으로 이루어진 가변식 표지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가변식 표지구에 의하면 표지병 유닛(16)만으로도 차선 표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표지병 유닛(16)의 나사홀(16a)에 표지봉 유닛(18)을 나사결합하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만으로 표지봉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변식 표지구에 의하면 표지봉 유닛(18)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지봉 유닛(18)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며. 표지봉 유닛(18) 설치 시, 표지봉 유닛(18)에 의한 경계표시 거리 만큼, 정확한 수량의 표지봉 유닛(18)을 준비해야 하고, 도로에 설치된 표지병 유닛(16)의 특성상 나사홀(16a)에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경우에는 표지봉 유닛(18)의 나사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을 먼저 제거해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표지병과 표지봉이 결합된 형태로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표지병 및 표지봉 기능을 전환 수행할 수 있는 접철식 도로 표지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 표지봉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변식 도로 표지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도로 표지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따른 접철식 도로 표지구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의 a,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표지봉 유닛이 눕혀진 상태와, 세워진 상태를 각각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표지병 유닛 20a: 힌지요홈부
30: 표지봉 유닛 32: 힌지핀
34: 압박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도로 표지구는, 도로에 매설되어 돌출되며 측면에 반사판이 부착된 표지병 유닛과, 상기 표지병 유닛과 소정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힌지연결된 표지봉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지병 유닛에는 상하단이 개방된 힌지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지봉 유닛의 하단은 표지병 유닛의 힌지요홈부에 삽입 연결되고, 압박 스프링 등의 탄력 수단에 의해 압박지지됨으로써 표지봉 유닛의 자유회동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4부터 도 6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도로 표지구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도로에 도로에 매설되어 부분적으로 돌출되며 돌출부위의 측면에 반사판(22)이 부착된 표지병 유닛(20)과, 상기 표지병 유닛(20)과 소정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힌지연결된 표지봉 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지병 유닛(20)은 상하단이 개방된 힌지요홈부(20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봉 유닛(30)은 그 하단이 표지병 유닛(20)의 힌지요홈부(20a)내에서 힌지핀(32)에 의해 표지병 유닛(20)과 힌지연결됨으로써 회동각도가 전후방향으로만 제한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표지봉 유닛(30)은 자유회동 되지 않고 일정강도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회동가능토록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압박 스프링(34) 등의 탄력수단에 의해 힌지요홈부(20a)내에서 압박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도로 표지구에 의하면 도 6의 a에 나타난 것처럼 표지봉 유닛(30)을 눕혀서 표지병 유닛(20)만에 의한 차선경계표시 작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 6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표지봉 유닛(30)을 간단히 회동시켜 직립되도록 함으로써 표지봉 유닛(20)을 통해 차선경계표시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표시봉 유닛(30)은 직립된 상태에서 압박 스프링(34)에 의해 압박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주행풍 등에 의해서는 회동되지 않으나, 작업자가 가하는 인위적인 조작력이나, 차량의 충돌 시 등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서는 회동되어 눕혀지기 때문에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차선침범시도 차량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도로 표지구는 표지병 유닛과 표지봉 유닛이 일체화된 구조로서, 표지봉 유닛을 회동 직립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표지봉 유닛에 의한 차선표시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표지봉 설치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등, 도로안전 및 원활한 교통소통에 도움이 된다.

Claims (2)

  1. 도로에 매설되어 돌출되며 측면에 반사판이 부착된 표지병 유닛과,
    상기 표지병 유닛과 일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단이 힌지연결된 표지봉 유닛
    을 포함하는 접철식 도로 표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병 유닛에는 상하단이 개방된 힌지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표지봉 유닛은 하단이 표지병 유닛의 힌지요홈부에 삽입 연결되고, 압박 스프링 등의 탄력수단에 의해 압박지지됨으로써 자유회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도로 표지구.
KR2020010030541U 2001-10-06 2001-10-06 접철식 도로 표지구 KR200262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41U KR200262214Y1 (ko) 2001-10-06 2001-10-06 접철식 도로 표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41U KR200262214Y1 (ko) 2001-10-06 2001-10-06 접철식 도로 표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214Y1 true KR200262214Y1 (ko) 2002-03-18

Family

ID=7311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541U KR200262214Y1 (ko) 2001-10-06 2001-10-06 접철식 도로 표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946B1 (ko) * 2003-10-21 2004-09-20 주식회사 우전그린 교통표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946B1 (ko) * 2003-10-21 2004-09-20 주식회사 우전그린 교통표지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754B1 (en) Storm and hurricane signage
US4616799A (en) Automatic recovery swing sign structure
CA2172866A1 (en) Resilient traffic bollard with rotatable collar
KR200262214Y1 (ko) 접철식 도로 표지구
US5487619A (en) Self-righting warning marker
CA2941130C (en) Limited view dynamic message sign for traffic information
US3085546A (en) Traffic sign
KR20180001975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교통안전표지장치
KR102030653B1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비상 상황 표시장치
US4310979A (en) Breakaway dual-legged sign support
KR200262213Y1 (ko) 가변식 도로 표지구
KR101751256B1 (ko) 시선유도 표지병
CN111549698B (zh) 一种智能路障及交通控制系统
US6813860B2 (en) Crossing gate repair kit and method
KR200177984Y1 (ko) 표지판
KR200473308Y1 (ko) 교통표지판
KR101721642B1 (ko) 도로표지판
KR20050107735A (ko) 건축단지의 무단횡단 방지시설
CN218779365U (zh) 一种具有抗大风功能的交通标识牌
KR200252791Y1 (ko) 도로공사 작업표시용 간판설치장치
CN217008412U (zh) 一种高速公路匝道口夜间引导标志装置
CN219586594U (zh) 一种道路交通广角镜
CN220813543U (zh) 一种防风交通标识牌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CN213296142U (zh) 一种道路救援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