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866Y1 -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 Google Patents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866Y1
KR200260866Y1 KR2020010032839U KR20010032839U KR200260866Y1 KR 200260866 Y1 KR200260866 Y1 KR 200260866Y1 KR 2020010032839 U KR2020010032839 U KR 2020010032839U KR 20010032839 U KR20010032839 U KR 20010032839U KR 200260866 Y1 KR200260866 Y1 KR 200260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obile phone
terminal
g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구
이승근
Original Assignee
그린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텔레콤(주) filed Critical 그린텔레콤(주)
Priority to KR2020010032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86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AC/DC 어댑터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 및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동전화 배터리 단자의 접촉여부에 따른 스위치 모드로 동작하는 IC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및 충전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화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주파의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와; 착신신호 감지부를 통해 인가되는 착신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동안 래치시켜 타이밍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래치회로부; 메모리에 저장된 벨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벨소리 구동부와; 일정한 펄스를 출력시키는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이동전화와 송수화부 상호간의 데이터 형식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 전화기 모양의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하여 본 배터리 충전기와 이동전화간의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소형의 이동전화로 통화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Mobile phone battery charger being capacitated to call}
본 고안은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충전 기능은 물론 일반 전화기 형태의 송수화기를 구비하여 충전중에도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통신할 수 있는 통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이동전화를 일반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전화기와 같은 방식으로 통화할 수 있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기는 유선 전화기와는 달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기기로써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휴대중에 언제든지 무선 신호를 송출하여 전화를 걸거나 공중망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에 배터리를 장착하여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고, 송수신용 안테나에 의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의 이동 전화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 전화기는 차량 등을 운행 도중에 사용하게 되면 주의력이 저하되어 불의의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무선 핸즈프리 킷 등에 관한 다양한 기술 및 제품이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핸즈프리, 이어-마이크 등으로 알려져 있는 이동 전화기 음성/송수신 장치는 이동 전화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직접 이동 전화기를 조작하지 않고도, 그 이동 전화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음성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 전화기 음성 송/수신 장치는 대부분 귀에 걸리는 이어폰과 그 이어폰에 연결된 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형태의 이동 전화기 음성 송/수신 장치는 이어폰을 귀에 걸고 있어야 하므로 장시간 착용할 때 수반되는 이물감, 귀의 통증 등의 불편함과 제약이 따르며, 전화가 걸려옴과 동시에 이어폰을 찾아 귀에 거는 일련의 과정으로 인해 통화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전화기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경우 그러한 이어폰의 사용이 낯설게 느껴져 사용을 꺼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동 전화기의 구입 시에는 해당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충전기는 단순히 충전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충전기에 장착된 이동 전화기를 분리하여 손에 들고 통화를 해야 하는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배터리의 충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통화 도중 통화가 단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 전화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이동 전화기와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 전화기의 통신 포트에 연결되어 이동 전화기와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와 이동전화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와 이동전화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의 착신 동작관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의 발신 동작관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300: 배터리 충전기 200, 400: 이동전화
120: 이어폰 잭 130, 330: 송수화기
320: 통신포트 케이블 210, 510: 전원 및 충전회로부
225, 525: 착신신호 감지부 215, 515: 훅 온/오프 스위치부
245, 545: 벨소리 구동부 265, 565: 지연회로부
270, 570: 멀티바이브레이터 275: 인터페이스부
280, 580: 수동 버튼부 375: 통신포트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AC/DC 어댑터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 및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동전화 배터리 단자의 접촉여부에 따른 스위치 모드로 동작하는 IC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및 충전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화부와; 전원 및 충전회로부 및 송수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훅 온 단자 및 훅 오프 단자를 포함하고, 송수화부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시켜 훅 온/오프에 따른 전원을 해당 단자로 인가하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주파의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와;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착신신호 감지부를 통해 인가되는 착신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동안 래치시켜 타이밍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래치회로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래치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곱 게이트와; 제1 논리곱 게이트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곱 게이트와; 제2 논리곱 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벨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벨소리 구동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제2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3 논리곱 게이트와; 제3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회로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오프 단자 및 지연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4 논리곱 게이트와; 제4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4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한 펄스를 출력시키는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연결되고 송수화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전화로 전달하고, 이동전화와 송수화부 상호간의 데이터 형식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AC/DC 어댑터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 및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동전화 배터리 단자의 접촉여부에 따른 스위치 모드로 동작하는 IC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및 충전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화부와; 전원 및 충전회로부 및 송수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훅 온 단자 및 훅 오프 단자를 포함하고, 송수화부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시켜 훅 온/오프에 따른 전원을 해당 단자로 인가하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주파의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와;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착신신호 감지부를 통해 인가되는 착신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동안 래치시켜 타이밍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래치회로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래치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곱 게이트와; 제1 논리곱 게이트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곱 게이트와; 제2 논리곱 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벨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벨소리 구동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제2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3 논리곱 게이트와; 제3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회로부와;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오프 단자 및 지연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4 논리곱 게이트와; 제4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4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한 펄스를 출력시키는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전원 및 충전회로부,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송수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용 단자, 음성 데이터 단자(In, Out 단자),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포트 케이블을 통해 이동전화로 전달하고, 이동전화와 송수화부 상호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100)와 이동전화(20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배터리 충전기(100)는 외력으로부터 내부에 장착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본체(110), 휴대폰(200)과 배터리 충전기(100)간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이어폰 잭(120), 이어폰 잭(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화기(130), 이동전화(2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이동전화(200)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전화 투입구(140),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충전상태 표시램프(150), 배터리 충전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AC/DC 어댑터(160) 및 배터리 충전기(100)를 가정용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17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송수화기(130)의 내측에는 일정한 펄스[이동전화(200)의 통화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충전기 송수화기(130)의 훅 오프 상태를 이동전화(200)로 통보하기 위한 수동 버튼(1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수동 버튼(180)은 송수화기(130) 내측에 설치하거나 충전기 본체(110)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플러그(170)를 가정용 전원에 연결하고, 배터리 충전기(100)에 연결된 이어폰 잭(120)을 휴대폰(200)의 이어폰 잭 연결구에 삽입하면,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기(100)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동전화(200)를 이동전화 투입구(140)에 장착함과 동시에 충전이 시작된다. 이동전화 투입구(140)내에는 충전 스토브가 돌출되어 있어 이동전화(200)의 배터리 충전단자와 결합되게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1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회로도로서, 배터리 충전기(100)와 이동전화(200)는 도 1의 이어폰 잭(1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기(100)는 AC/DC 어댑터(205), 전원 및 충전회로부(210),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 송수화부(220), 착신신호 감지부(225), 래치회로부(230), 제1, 제2, 제3 및 제4 논리곱 게이트(235, 240, 255, 265), 벨소리 구동부(245), 스피커(250), 지연회로부(260), 멀티바이브레이터(270), 인터페이스부(275) 및 수동 버튼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 및 충전회로부(210)는 AC/DC 어댑터(205)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예컨대, 3.6V) 및 배터리 충전기의 동작 전원(예컨대, 5V)을 인가하고, 이동전화 배터리 단자의 접촉여부에 따른스위치 모드로 동작하는 IC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배터리 충전기(100)의 이동전화 투입구(도 1의 140)에 해당 이동전화(200)를 삽입함과 동시에 이동전화 배터리는 충전이 개시된다.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는 전원 및 충전회로부(2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화부(220)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시켜 훅 온/오프에 따른 전원을 해당 단자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훅 온 상태일 때는 훅 온 단자로 하이신호(5V)를 인가하고, 훅 오프 상태일 때는 훅 오프 단자로 하이신호(5V)를 인가한다. 송수화부(220)는 이동전화(2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인 전화기의 송수화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착신신호 감지부(225)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온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전화(200)의 안테나로 유입되는 고주파의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착신신호 감지부(225)는 이동전화(200)의 안테나로부터 고주파(RF 캐리어) 출력이 응답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고주파 픽업코일과 고주파 증폭단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착신신호를 검파하고, 검파된 출력을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고, 비교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펄스로 출력 변환한다. 예컨대,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착신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래치회로부(230)는 착신신호 감지부(225)에 연결되어 있으며, 착신신호 감지부(225)를 통해 인가되는 착신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동안 래치시켜 타이밍을 조절하여 착신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입력신호가 계속적으로 변하고 있는 경우, 변하고 있는 그 신호를 활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에 맞추어 해당 신호를 잡아 활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임의의 신호를 잡는 것을 래치(latch : 걸쇠, 빗장)라 한다. 래치회로는 임의의 입력신호를 타이밍에 맞추어 받아들이든지 또는 여러 신호를 동시에 받아 들이고자 할 때에 활용되는 회로이다.
제1 논리곱 게이트(U1)(235)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온 단자 및 래치회로부(230)에 연결되어 있으며,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온 단자 및 래치회로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고, 제2 논리곱 게이트(U2)(240)는 U1(235)과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온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U1(235)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온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한다.
벨소리 구동부(245)는 U2(2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U2(24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벨소리를 스피커(250)를 통해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U2(240)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하이신호일 때 설정된 벨소리를 출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착신신호가 인가될 때 배터리 충전기(100)에서도 벨소리를 출력하는 이유는 이동전화(200)가 무음 또는 진동모드에 있을 때에도 외부로부터의 착신신호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 논리곱 게이트(U3)(255)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온 단자 및 U2(240)에 연결되어 있으며,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온 단자 및 U2(2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한다.
지연회로부(260)는 U3(255)에 연결되어 있으며, U3(255)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해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4 논리곱 게이트(U4)(265)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오프 단자 및 지연회로부(260)에 연결되어 있으며, 훅 온/오프 스위치부(215)의 훅 오프 단자 및 지연회로부(2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한다.
멀티바이브레이터(270)는 U4(265)에 연결되어 있으며, U4(265)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한 펄스[이동전화(200)의 통화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동 버튼부(280)는 일정한 펄스[이동전화(200)의 통화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위적으로 출력시켜 송수화부(220)의 훅 오프 상태를 이동전화(200)로 통보하여 송수화부(220)가 발신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75)는 멀티바이브레이터(270) 및 수동 버튼부에 연결되고 송수화부(22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멀티바이브레이터(270)에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전화(200)로 전달하고, 이동전화(200)와 송수화부(220) 상호간의 데이터 형식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100)와 이동전화(20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배터리 충전기(300)는 외력으로부터 내부에 장착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본체(310), 휴대폰(400)과 배터리 충전기(300)간의 데이터를 교환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통신포트 케이블(320), 이동전화(4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화기(330),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충전상태 표시램프(340), 배터리 충전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AC/DC 어댑터(350) 및 배터리 충전기(300)를 가정용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36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일정한 펄스[이동전화(400)의 통화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위적으로 출력시키는 수동 버튼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360)를 가정용 전원에 연결하고, 통신포트 케이블(320)을 배터리 충전기(300) 및 이동전화(400)에 연결하면,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기(300)는 동작을 개시함과 동시에 충전이 시작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3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회로도로서, 배터리 충전기(300)와 이동전화(400)는 도 3의 통신포트 케이블(3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충전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충전기(100)와 그 구성 및 동작이 거의 동일하다. 다만, 도 1의 배터리 충전기(100)는 이어폰 잭(120)을 이용하여 이동전화(200)와 연결되어 있고, 도3의 배터리 충전기(300)는 통신포트 케이블(320)을 통해 이동전화(400)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만 다르다. 따라서, 도 1의 배터리 충전기(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만 설명한다.
통신포트부(575)는 전원 및 충전회로부(510), 멀티바이브레이터(370) 및 송수화부(520)에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포트부(575)는 충전용 단자, 음성 데이터 단자(In, Out 단자), 데이터 단자[멀티바이브레이터(570)로부터 인가되는 이동전화(400)의 통화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하고, 멀티바이브레이터(57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전화(400)로 전달하고, 이동전화(400)와 송수화부(520) 상호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포트부(575)는 이동전화(400)의 기종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음은 본 기술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는 이어폰 잭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기를 나타내고, 제2 실시예는 통신포트 케이블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하나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충전 단자를 이용하여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물론, 이 두 가지 방식은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에 모두 구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대한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의 착신 동작관계를 설명하는흐름도로서, 사용자는 이어폰 잭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기(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라 칭함) 또는 통신포트 케이블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기(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의 연결 방법에 따라 배터리 충전기와 이동전화를 연결시켰다고 가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 이동전화를 이동전화 투입구에 장착하거나 제2 실시예에서 통신포트 케이블을 배터리 충전기 및 이동전화에 연결하면, 충전이 개시된다.
먼저, 착신신호 감지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통화를 요청하는 착신신호가 감지되고(S510), 송수화부가 훅 온 상태이면(S520), 벨소리 구동부는 자체의 메모리에 저장된 벨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S530).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착신신호 감지부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래치 회로부에 의해 일정 시간 후에 U1의 일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송수화부가 훅 온 상태이면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하이신호가 U1의 다른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U1의 출력단은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하이신호는 U2의 일 입력단자로 인가되고, 송수화부가 훅 온 상태이므로 U2의 다른 입력단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된다. 그러므로, U2의 출력단은 하이신호가 출력하고, 이 하이신호에 의해 벨소리 구동부가 구동하여 벨소리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착신신호가 인가되면 이동전화는 물론 본 배터리 충전기가 벨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벨소리가 출력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송수화부를 들면(S540), 벨소리가 정지됨과 동시에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이동전화의 통화버튼에 해당하는 펄스를 출력한다(S550). 여기에서, 사용자가 송수화부를 들지 않으면 상기 단계(S530)로 진행하여 벨소리 구동부는 계속하여 벨소리를 출력한다. 송수화부가 훅 온 상태이고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U2의 출력단의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훅 온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U3의 출력단 또한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이 하이신호는 지연회로부로 전달되어 일정 시간 지연된 후 U4의 일 입력단에 인가된다. 하지만, 현재는 훅 온 상태이므로 U4의 다른 입력단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U4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멀티바이브레이터는 구동되지 않는다.
반면, 사용자가 송수화부를 들어 훅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U4의 다른 입력단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되고, U4의 일 입력단도 소정 시간동안 지연되어 출력되는 하이신호가 인가되므로 U4는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이 하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일정한 펄스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송수화부를 들어 훅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U1, U2 및 U3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벨소리 구동부는 동작을 멈춘다. 여기에서, 소정의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지연회로부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송수화부가 훅 오프 상태이더라도 U4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더 이상 멀티바이브레이터는 펄스를 출력하지 않는다.
멀티바이브레이터로부터 일정한 펄스가 인가되면 제1 실시예의 인터페이스부 또는 제2 실시예의 통신포트부는 이동전화로 통화버튼에 해당하는 펄스를 인가하여 통화상태로 전환한다(S560).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물론, 통화중에도 충전은 계속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의 발신 동작관계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이어폰 잭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기 또는 통신포트 케이블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기의 연결 방법에 따라 배터리 충전기와 이동전화를 연결시켰다고 가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 이동전화를 이동전화 투입구에 장착하거나 제2 실시예에서 통신포트 케이블을 배터리 충전기 및 이동전화에 연결하면, 충전이 개시된다.
먼저, 착신신호 감지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통화를 요청하는 착신신호가 감지되면(S610) 도 5의 착신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S620), 착신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송수화부가 훅 오프 상태(S630)에서 사용자가 수동 버튼을 입력하면(S640),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전화로 통화 버튼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전달한다(S650). 이동전화는 배터리 충전기로부터 통화 버튼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 충전기를 발신 상태로 전환한다(S660). 착신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터리 충전기의 송화기를 드는 경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에 연결된 U4의 일 입력단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되지만 다른 입력단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멀티바이브레이터는 펄스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터리 충전기를 발신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화 버튼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인위적으로 송출하여 이동전화를 발신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기도 발신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에 의하면, 일반 전화기 모양의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하여 본 배터리 충전기와 이동전화간의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소형의 이동전화로 통화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 도중 외부로부터 통화요청이 있을 경우 배터리 충전기에서 이동전화를 분리하여 통화해야 하는 기존의 배터리 충전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함으로써, 충전 도중에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통화 도중에도 충전이 진행되므로 만충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충전함으로써 발생되는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AC/DC 어댑터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 및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동전화 배터리 단자의 접촉여부에 따른 스위치 모드로 동작하는 IC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및 충전회로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화부;
    상기 전원 및 충전회로부 및 송수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훅 온 단자 및 훅 오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화부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시켜 훅 온/오프에 따른 전원을 해당 단자로 인가하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주파의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를 통해 인가되는 착신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동안 래치시켜 타이밍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래치회로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래치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1 논리곱 게이트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2 논리곱 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벨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벨소리 구동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제2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3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3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회로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오프 단자 및 지연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4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4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한 펄스를 출력시키는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송수화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전화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전화와 송수화부 상호간의 데이터 형식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및 충전회로부,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송수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용 단자, 음성 데이터 단자(In, Out 단자),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포트 케이블을 통해 이동전화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전화와 송수화부 상호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정한 펄스를 인위적으로 출력시켜 상기 송수화부의 훅 오프 상태를 상기 이동전화로 통보하여 발신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동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4.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에 있어서,
    AC/DC 어댑터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전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 및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이동전화 배터리 단자의 접촉여부에 따른 스위치 모드로 동작하는 IC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및 충전회로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송수화부;
    상기 전원 및 충전회로부 및 송수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훅 온 단자 및 훅 오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화부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시켜 훅 온/오프에 따른 전원을 해당 단자로 인가하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고주파의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를 통해 인가되는 착신감지신호를 일정한 시간동안 래치시켜 타이밍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래치회로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래치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1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1 논리곱 게이트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2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2 논리곱 게이트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벨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벨소리 구동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온 단자 및 제2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3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3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논리곱 게이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회로부;
    상기 훅 온/오프 스위치부의 훅 오프 단자 및 지연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제4 논리곱 게이트;
    상기 제4 논리곱 게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 논리곱 게이트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일정한 펄스를 출력시키는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전원 및 충전회로부, 멀티바이브레이터 및 송수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용 단자, 음성 데이터 단자(In, Out 단자),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포트 케이블을 통해 이동전화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전화와 송수화부 상호간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송수화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전화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전화와 송수화부 상호간의 데이터 형식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일정한 펄스를 인위적으로 출력시켜 상기 송수화부의 훅 오프 상태를 상기 이동전화로 통보하여 발신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동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KR2020010032839U 2001-10-26 2001-10-26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KR200260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839U KR200260866Y1 (ko) 2001-10-26 2001-10-26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839U KR200260866Y1 (ko) 2001-10-26 2001-10-26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468 Division 2001-10-26 2001-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866Y1 true KR200260866Y1 (ko) 2002-01-17

Family

ID=7307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39U KR200260866Y1 (ko) 2001-10-26 2001-10-26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8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5A (ko) * 2002-02-09 2003-08-19 그린텔레콤(주) 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5A (ko) * 2002-02-09 2003-08-19 그린텔레콤(주) 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93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signals
WO2000062431A1 (ko) Mobile telephone with wireless earphone/microphone
JP2003125069A (ja) 携帯電話のイヤホーンジャックに連結可能なスピーカモジュール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260866Y1 (ko)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GB2463610A (en) Integrated device for local telephone communication
KR101023308B1 (ko)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20030035744A (ko) 통화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KR20010070694A (ko) 이동전화기와 연결기능을 갖는 유선전화기장치
JPH0456505B2 (ko)
KR200376833Y1 (ko) 휴대용 송수화기 배터리를 이용한 무선전화기 본체 전원공급장치
KR200286903Y1 (ko)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JP3607631B2 (ja) 携帯通信端末
KR200270996Y1 (ko)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JP2003319032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609995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30067985A (ko) 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300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유선 통화 장치
JP2000324259A (ja) 無線電話機接続装置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20030063501A (ko)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
JPH06311102A (ja) 移動機有線接続用アダプタシステム
JPH11111U (ja) 電話機
KR200260826Y1 (ko) 휴대폰 충전기
WO2001006668A1 (en) Detachable wireless earphone/microphone device
JPH0380744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