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996Y1 -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996Y1
KR200270996Y1 KR2020020002049U KR20020002049U KR200270996Y1 KR 200270996 Y1 KR200270996 Y1 KR 200270996Y1 KR 2020020002049 U KR2020020002049 U KR 2020020002049U KR 20020002049 U KR20020002049 U KR 20020002049U KR 200270996 Y1 KR200270996 Y1 KR 200270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voice signal
signal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미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주)티엠시코퍼레이션
프로에이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시코퍼레이션, 프로에이에스(주) filed Critical (주)티엠시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20002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99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와; 충전회로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과;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신호 증폭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를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2 수신신호 증폭부와;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와; 착신신호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신호 표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발신자 정보표시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불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폰 기능, 키패드를 이용한 다이얼 기능 등을 부가하여 충전 중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발신자 정보표시(CID: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불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폰 기능, 키패드를 이용한 다이얼 기능 등을 부가하여 충전 중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용량의 제한성 때문에 일정 시간 사용한 후 방전되면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 충전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동단말기 충전기는 용도에 따라 가정용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탁상용 충전기, 차량의 시거잭을 이용하는 차량용 충전기, 여행 또는 출장 등 장기간 외출시 간단하게 충전시킬 수 있는 여행용 충전기 및 가정용 전원과 직류전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겸용 충전기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 충전기는 단순히 충전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충전기에 장착된 이동단말기를 분리하여 통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를 충전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충전기에 장착된 이동단말기를 분리하여 통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망 교환기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표시(CI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특징 통지 메시지(Feature Nortification Message)와 포워드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정보를 가지는 경고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와 정보를 가지는 플래시 메시지를 이동단말기로 송신한다. 전술한 세 개의 메시지에는 다음의 표에 기재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필드 길이(단위: bit)
넘버 타입(NUMBER_TYPE) 3
넘버 플레인(NUMBER_PLANE) 4
표현지시자(PI) 2
화면지시자(SI) 2
캐릭터(CHARi), (i??0) 8
예비(Reserved) 5
발신자 정보의 구성은 위의 표와 같이 넘버 타입, 넘버 플레인, 표현지시자, 화면지시자, 캐릭터, 예비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넘버 타입 필드는 국제번호, 단말기 번호, 단축번호 등의 번호 형태를 나타내고, 넘버 플레인 필드는 종합정보통신망(ISDN), 텔렉스(Telex) 등과 같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망 번호를 나타내고, 표현 지시자 필드는 번호를 표시할 것인지 부분적으로 표시할 것인지 또는 표시하지 않을 것인지를 나타내며, 캐릭터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나타낸다.
그렇지만, 이러한 CID 서비스는 이동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이므로 이동단말기를 충전기에 장착한 경우에는 충전기를 이동시키거나 충전기로부터 이동단말기를 분리하여 확인해야 하므로 충전중에는 CID 서비스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이동단말기가 장착한 상태에서 착신신호가 도달하면 해당 사실을 표시소자(예컨대, LED)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통보해줌과 동시에 일반 전화기 형태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고, 키패드를 구비하여 외부로 통화요청 및 통화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CID 서비스 기능이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달되면 발신자 정보(예컨대, 발신자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발신시간)를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스피커폰 기능 및 볼률 조절기능을 더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이동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음성신호는 이어잭 또는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다기능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와 이동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패드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송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300: 다기능 충전부 200: 이동단말기
405, 510: 전원공급부 410, 510: 충전회로부
425: CPU 430: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
435, 570: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 450: 음성코덱 및 증폭부
530: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키입력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키입력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키신호를 수신하여 키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동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CPU와; 이동단말기와 CPU 사이에 위치하고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와 CPU간의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수신신호 증폭부와; CPU 및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로 전달하는 음성코덱 및 증폭부와;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PU를 통해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및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를 통해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와;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와;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회로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과;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신호 증폭부와;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를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송신신호 증폭부와;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2 수신신호 증폭부와;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와;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착신신호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100)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다기능 충전기(100)는 외력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의 본체(110),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고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캡쳐하여 이동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수화기(120), 착신신호 수신시 해당 사실을 시각적으로 통보해주기 위한 착신신호 표시부(130), 발신자 정보(예컨대, 발신자 이름, 발신자 전화번호 등) 및 기타 정보(예컨대, 입력한 키패드 번호, 부재중 수신된 전화정보 등)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LCD(140), 이동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이동단말기 삽입구(150),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충전상태 표시부(160), 다기능 충전기(100)의 통화 대기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통화 버튼(165),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폰 버튼(170), 스피커폰 기능 수행시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180), 다기능 충전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AC/DC 어댑터(185), 이동단말기와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어폰 잭(190), 이동단말기의 통신 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95a)를 포함하며,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예컨대, 링신호, CID 정보, 음성 데이터 등)를 상호 교환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19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화기(120)의 안착홈(125)에는 훅 온/오프 스위치(미도시)가 돌출되어 송수화기(120)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스피커 및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부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다기능 충전기가 구현할 수 있는 기능(즉, 다이얼 기능, CID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스피커폰 기능)중에서 CID 기능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LCD(140)를 생략할 수 있고, 다기능 충전기의 본체(110)에 위치한 각종 버튼[즉, 통화 버튼(165), 스피커폰 버튼(170), 볼륨 버튼(180)]을 송수화기(120)의 내측에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와 이동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충전시키고자 하는 이동단말기(200)를 이동단말기 삽입구(150)에 거치하고, 다기능 충전기(100)의 이어폰 잭(190)을 이동단말기(200)의 이어폰 잭 삽입구(210)에 연결하고, 커넥터(195a)를 이동단말기(200)의 통신포트(220)에 연결한다. 또한, AC/DC 어댑터(185)의 플러그를 교류 전원 콘센트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전원을 연결하고 커넥터(195a)를 이동단말기(200)의 통신포트(220)에 연결함과 동시에 이동단말기(200)의 충전이 개시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100)의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패드(122)의 예시도로서, 다기능 충전기(100)의 송수화기(120)의 내측에 도시한예를 나타낸다. 키패드(122)는 숫자키(즉, 0∼9), 특수키(즉, '*', '#') 및 기능키(즉, '통화' 버튼, '종료' 버튼)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기능키중 '종료' 버튼은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부가한 것으로, 훅 온/오프 스위치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키패드(122)를 다기능 충전기 본체(110)의 윗면 일단에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100)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200)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다기능 충전기(100)는 전원공급부(405), 충전회로부(410), 키입력부(415),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 CPU(425),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 송신신호 증폭부(440), 수신신호 증폭부(445), 음성코덱 및 증폭부(450), 메모리부(455), 충전상태 표시부(460), 착신신호 표시부(465) 및 디스플레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착신신호 감지부(47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키입력부(415)는 통화 버튼(415a), 키패드(415b), 스피커폰 버튼(415c) 및 볼륨 버튼(415d)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부(405)는 AC/DC 어댑터(도 1의 185)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수신하여 다기능 충전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충전회로부(410)는 AC/DC 어댑터(185)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회로부(410)는 일반 충전기에 사용되는 충전회로를 사용하며, 이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키입력부(415)는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송수신시 다기능 충전기가 송수신가능 상태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통화 버튼(415a), 송신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샌드 신호 또는 통화종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패드(415b), 다기능 충전기가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스피커폰 버튼(415c) 및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415d)을 포함한다.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는 송수화기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송수신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고안은 송수신시 다기능 충전기를 훅 오프 상태로 전환한 후, 송수신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물론, 스피커폰 버튼(415c)을 눌러 다기능 충전기의 상태를 훅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에서 발생되는 훅 온/오프 신호는 후술하는 CPU(425)가 다기능 충전기(10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이 사실을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한 예비수단이다. 따라서, 설계의 단순화를 위해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를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CPU(425)는 키입력부(415)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에 연결되어 있으며, 키입력부(415) 및 훅 온/오프 스위치부(420)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키신호(예컨대, 각 버튼 신호, 훅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CPU(425)는 본 다기능 충전기(100)에 구현된 다이얼 기능, CID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해당 구성부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는 이동단말기(200)와 CPU(425) 사이에 위치하고 충전회로부(4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200)와는 통신 케이블(195)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의 통신포트(220)에 연결된다.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는 충전회로부(410)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이동단말기(200)로 인가하고, 이동단말기(200)와 CPU(425)간의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단말기(200)와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간의 통신 규격은 RS-232C, RS-422 또는 RS-485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RS-232C 통신 규격이 널리 이용된다. 전술한 통신 규격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단말기(200)의 통신 포트(220)에 구현된 핀 배열 및 구조는 단말기 모델별로 상이하지만, 통신 포트(220)는 본 다기능 충전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단자, 데이터 송수신 단자, 연결감지 단자, 링검출 단자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는 이동단말기(200)와 CPU(425)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단말기(200)와는 이어폰 잭(190)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의 이어폰 잭 삽입구(210)에 연결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는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와 이동단말기(200)로 전달되는 음성신호의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이어폰 잭(190)은 접지단자, 마이크 단자, 스피커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송신신호 증폭부(440)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해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다기능 충전기(100)에 구현된 송수화기(120)에 내장]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신호 증폭부(445)는 제1 마이크[다기능 충전기(100)에 구현된 송수화기(120)에 내장]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를 통해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음성코덱 및 증폭부(450)는 CPU(425) 및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여 제2 스피커[다기능 충전기 본체(110)에 내장]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다기능 충전기 본체(110)에 내장]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435)로 전달한다. 본 고안은 이어폰 잭(190)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와 음성신호를 교환할 수 있지만, 통신 케이블(195)을 통해 이동단말기(200)와 음성신호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케이블(195)을 통해 음성신호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CPU(425)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데이터 형식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음성코덱 및 증폭부(450)는 CPU(425)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CPU(425)로 전달한다.
메모리부(455)는 CPU(425)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PU(425)를 통해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키입력부(415)의 키패드(415b)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CPU(425)의 추출명령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후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430)를 통해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지만, CPU(425)에 버퍼가 내장된 경우에는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이동단말기(200)로 전달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충전상태 표시부(460)는 CPU(42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단말기(200)의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LE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충전중에는 적색을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을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착신신호 표시부(465)는 CPU(425)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425)의 구동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LE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착신신호 표시부(465)는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링신호에 해당하는 주기동안 LED를 점멸시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달하였음을 알려준다.
디스플레이부(470)는 CPU(425)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425)를 통해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LC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70)는 초기에 슬립모드(조명이 없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CPU(425)의 구동신호에 의해 활성모드(조명이 있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은 착신신호 감지부(475)를 더 포함하여 CPU(425)를 통하지 않고 이동단말기(200)의 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 전력(즉, 무선 주파수 신호)을 감지하여 착신신호 도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착신신호 감지부(475)는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사실을 착신신호 표시부(465)로 전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의 내부 구성 및 이동단말기(200)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다기능 충전기(300)는 전원공급부(510), 충전회로부(520),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530), 착신신호 감지부(540), 착신신호 표시부(550), 통화 버튼(560),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570), 제1 송신신호 증폭부(575), 제1 수신신호 증폭부(580), 볼륨 버튼(585), 제2 송신신호 증폭부(590) 및 제2 수신신호 증폭부(59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는 충전, 수신 및 스피커폰 기능만을 구현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100)의 구성 중에서 일부만을 채택한 것으로 각 구성부의 연결관계만 다르고, 해당 구성부의 기능은 거의 동일하므로 기능 설명을 생략하고 도 8의 동작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300)의 주요 특징은 이동단말기(200)의 배터리 충전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고, 음성신호는 이어폰 잭을 통해 교환한다. 이동단말기(200)로부터의 음성신호 수신은 통화 버튼(560)을 통해 이루어지며, 통화대기 상태에서 통화 버튼(560)을 누르면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570)는 이어폰잭의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시켜 통화 상태로 전환하고, 통화 상태에서 통화 버튼(560)을 누르면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570)는 이어폰 잭의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시켜 통화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200)는 마이크 단자의 접지 여부에 따라 다기능 충전기(300)의 현재 상태가 통화 상태인지 통화대기 상태인지를 판별하고, 통화 상태이면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 신호를 교환하고, 통화대기 상태이면 통신을 종료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에 대한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 및 이어폰 잭을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 및 이어폰 잭 삽입구에 각각 연결하고, 다기능 충전기의 AC/DC 어댑터를 교류 전원 공급용 콘센트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가 연결됨과 동시에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충전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커넥터의 충전단자를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현재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S610). 예컨대, 충전중에는 LED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의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을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에, CPU는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착신신호가 검출되었는가를 판단(S620)하여 착신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10)로 진행하여 배터리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착신신호 표시부를 구동시켜 착신신호가 도달하였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줌과 동시에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S630). 여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부재중일 경우에 수신된 발신자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부재중에 수신된 전화가 3통 있을 경우 LCD에는 "부재중 전화 3통"이라고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추후에 수신된 전화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물론, 이동단말기 자체에서도 부재중 전화정보는 확인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달되면 해당 사실을 통신포트의 링검출 단자를 통해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고, 수신된 발신자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통해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한다.
다음에,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640)하여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30)로 진행하여 발신자 정보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면 이어폰 잭 또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한다(S650).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의 입력 사실을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고,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이동단말기로 통지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고,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도록 스위칭 한다.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 이동단말기 통신포트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여 음성코덱 및 증폭부로 전달한다. 또한, CPU는 입력된 버튼 정보(즉, 통화 버튼인지 스피커폰 버튼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따라서,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CPU로 전달한다.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입력된 버튼 정보에 따라 지정된 스피커 및 마이크로 스위칭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의 송수화기에 내장되어 있고,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 즉,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CPU는 음성신호 교환중 사용자가 볼륨 버튼을 입력하였는가를 판단(S660)하여 볼륨 버튼을 입력하면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670). CPU는 상기 단계(S660)에서 볼륨 버튼이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단계(S670) 이후에 종료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680)하여 종료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S650)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가 종료된 것이므로 초기 단계로 복귀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송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 및 이어폰 잭을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 및 이어폰 잭 삽입구에 각각 연결하고, 다기능 충전기의 AC/DC 어댑터를 교류 전원 공급용 콘센트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가 연결됨과 동시에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충전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커넥터의 충전단자를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현재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S710). 예컨대, 충전중에는 LED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의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을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에, CPU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로부터 혹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송신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S715)하여 송신 상태가 아니면(즉, 훅 온 상태이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송신 상태이면(즉, 훅 오프 상태이면) 해당 사실을 이동단말기로 송신한다(S720). 이동단말기는 다기능 충전기의 상태를 수신한 후, 송신 가능여부를 통신포트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를 통해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통지한다. CPU는 이동단말기가 송신 가능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S725)하여 송신 가능 상태가 아니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송신 가능 상태이면 해당 사실(즉, 통화가능 신호)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여기에서, 본 다기능 충전기에 훅 온/오프 스위치부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715 내지 S725)를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S730)하면, CPU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버퍼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입력된 전화번호를 LCD에 디스플레이 한다(S735). 그 후,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740)하여 소정 시간 내에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해당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면 버퍼 또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패킷화하여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단말기로 전송한다(S745). 이동단말기는 전송된 전화번호를 송신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해당 결과를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한다. CPU는 통화가 연결되었는가를 판단(S750)하여 통화가 연결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통화가 연결되면 이어폰 잭 또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한다(S755).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의 입력 사실을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고,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이동단말기로 통지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고,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도록 스위칭 한다. 통신 케이블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CPU는이동단말기 통신포트의 데이터 송수신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여 음성코덱 및 증폭부로 전달한다. 또한, CPU는 입력된 버튼 정보(즉, 통화 버튼인지 스피커폰 버튼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 따라서,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하고, 지정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CPU로 전달한다. 음성코덱 및 증폭부는 CPU로부터 인가되는 입력된 버튼 정보에 따라 지정된 스피커 및 마이크로 스위칭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의 송수화기에 내장되어 있고,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 즉,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CPU는 음성신호 교환중 사용자가 볼륨 버튼을 입력하였는가를 판단(S760)하여 볼륨 버튼을 입력하면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765). CPU는 상기 단계(S760)에서 볼륨 버튼이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단계(S765) 이후에 종료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770)하여 종료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S755)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가 종료된 것이므로 초기 단계로 복귀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충전 및 수신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 및 이어폰 잭을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 및 이어폰 잭 삽입구에 각각 연결하고, 다기능 충전기의 AC/DC 어댑터를 교류전원 공급용 콘센트에 연결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가 연결됨과 동시에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은 충전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커넥터의 충전단자를 통해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현재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S810). 예컨대, 충전중에는 LED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와 다기능 충전기의 커넥터의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을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에, 착신신호 감지부는 착신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검출(S820)하여 착신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810)로 진행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하고, 착신신호가 검출되면 착신신호 표시부를 구동시켜 착신신호가 도달하였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S830).
다음에, 사용자로부터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S840)되면, 이어폰 잭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음성신호를 교환한다(S850). 통화 버튼 또는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 단자를 일정시간 접지하여 다기능 충전기가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이동단말기로 통지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된 버튼의 종류에 따라 통화 버튼이 입력되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고, 스피커폰 버튼이 입력되면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가 교환되도록 스위칭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의 송수화기에 내장되어 있고,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다기능 충전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다. 즉, 제2 스피커 및 마이크는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제1 및 제2 송신신호 증폭부는 음성신호 교환중 사용자로부터 볼륨 버튼이 입력(S860)되면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한다(S870). 상기 단계(S860)에서 볼륨 버튼이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단계(S870) 이후에 통화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S850)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고,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통화가 종료된 것이므로 초기 단계로 복귀하여 배터리 충전동작을 계속 진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에 발신자 정보표시 기능, 착신신호 표시 기능, 불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폰 기능, 키패드를 이용한 다이얼 기능 등을 부가하여 충전 중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키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부를 총괄 제어하는 CPU;
    상기 이동단말기와 CPU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와 CPU간의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동작 속도 및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송신신호 증폭부;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수신신호 증폭부;
    상기 CPU 및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CPU로 전달하는 음성코덱 및 증폭부;
    상기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를 통해 인가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를 통해 전달되는 발신자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2.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 및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의 구동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신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화기의 안착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켜 송수신 대기상태임을 알리는 훅 온/오프 스위치부;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에서 감지한 착신신호를 상기 착신신호 표시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송수신가능 상태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통화 버튼;
    송신시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샌드 신호 또는 통화종료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패드;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스피커폰 버튼; 및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는 시리얼 통신 규격으로 통신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어폰 잭 삽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는 충전 단자, 데이터 송수신 단자, 연결감지 단자, 링검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6. 전원공급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동작전원 및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일반 전화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충전기에 있어서,
    특정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부;
    무선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와 매칭 코일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감지하는 착신신호 감지부;
    상기 충전회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회로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이동단말기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음성신호를 상호 교환하도록 스위칭하는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1 송신신호 증폭부;
    제1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1 수신신호 증폭부;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를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송신신호 증폭부;
    제2 마이크를 통해 캡쳐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제2 수신신호 증폭부;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착신신호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착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착신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송수신가능 상태에 있음을 알리기 위한 통화 버튼;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스피커폰 버튼; 및
    입/출력되는 음성신호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과 이동단말기는 시리얼 통신 규격으로 통신하고,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음성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이동단말기는 이어폰 잭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어폰 잭 삽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신포트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KR2020020002049U 2002-01-22 2002-01-22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KR200270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49U KR200270996Y1 (ko) 2002-01-22 2002-01-22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49U KR200270996Y1 (ko) 2002-01-22 2002-01-22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645A Division KR20030063501A (ko) 2002-01-22 2002-01-22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996Y1 true KR200270996Y1 (ko) 2002-04-06

Family

ID=7311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049U KR200270996Y1 (ko) 2002-01-22 2002-01-22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9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5A (ko) * 2002-02-09 2003-08-19 그린텔레콤(주) 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5A (ko) * 2002-02-09 2003-08-19 그린텔레콤(주) 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175B2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US6987988B2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with land line interface and switching mode
US600293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signals
US7010325B1 (en) Wireless repeater with wireless telephone adapter
US20070117556A1 (en) Handset powered wireless table top conferencing system
WO2002056572A1 (en) Cell phone - hand set combination unit
US7136671B2 (en) Speaker module connectable to an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270996Y1 (ko)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JPH08237345A (ja) 無線電話機用充電台並びに無線電話機の充電及びデー タ伝送システム
KR20030063501A (ko)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
US20020102947A1 (en) Cell phone -hand set combination unit
KR200286903Y1 (ko)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JP2002247173A (ja) 携帯電話機の充電用置台
KR101023308B1 (ko)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 및그 제어 방법
JP5399652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JP3584248B2 (ja) 移動通信端末の受け台
KR20010070694A (ko) 이동전화기와 연결기능을 갖는 유선전화기장치
KR20030091099A (ko) 이동단말기의 다기능 충전기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605850B1 (ko)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
KR200260866Y1 (ko) 통화 가능한 이동전화 배터리 충전기
KR200223843Y1 (ko) 충전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송수신전달장치
EP1113654A2 (en) Cellular telephones and conventional telephones
KR200258134Y1 (ko) 공명을 이용한 와이어리스 이어폰
JPH10164250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