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828Y1 -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 Google Patents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828Y1
KR200260828Y1 KR2020010031672U KR20010031672U KR200260828Y1 KR 200260828 Y1 KR200260828 Y1 KR 200260828Y1 KR 2020010031672 U KR2020010031672 U KR 2020010031672U KR 20010031672 U KR20010031672 U KR 20010031672U KR 200260828 Y1 KR200260828 Y1 KR 200260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laser beam
lid
laser pointer
sh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림
Original Assignee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성림
Priority to KR2020010031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828Y1/ko

Links

Landscapes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하나의 장치로 레이저 포인터, 필기구 및 지시봉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는 몸체(10), 몸체 내에 설치되어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레이저빔 발생장치(20),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발산하는 렌즈(30), 레이저빔 발생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0), 및 몸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필기구(50)를 포함하고, 몸체의 타단부는 다중으로 중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 WITH MULTIPLE FUNCTIONS}
본 고안은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로 레이저 포인터, 필기구 및 지시봉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포인터는 회의, 프리젠테이션, 강의 등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한 점으로 밀집되는 강한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특정 내용을 지시하는데 매우 유용하여 최근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는 흔히 볼펜 정도 또는 그 이하의 크기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하며, 스위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특정한 설명을 할 경우, 주변이 너무 밝으면 레이저빔이 잘 보이지 않아 조명을 끈 상태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조명을 켠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포인터 대신 지시봉이 더 유용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회의 진행자 또는 강사는 필요한 내용을 적절히 설명하기 위해서 레이저 포인터와 지시봉을 모두 휴대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레이저 포인터 사용자는 메모를 하거나 필요한 사항을 글로 기입할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필기구를 더 휴대해야 한다.
결국, 레이저 포인터 사용자는 지시봉과 필기구와 같은 부속물을 추가로 구비해야 하며, 이는 번거로울 뿐 아니라 비용면에서도 낭비가 된다.
1996년 8월 27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46700호에는 '빛 발산기구가 부착된 필기구'라는 제목 하에, 필기구와 조명수단을 결합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사용된 조명수단은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레이저빔이 아니라 필기를 위해 필요한 조명 역할만을 하므로, 이 기술에 의한 필기구 또한 강의나 회의 진행에 사용되기는 매우 부적합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시봉과 필기구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의 길이를 연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2,14,16관 20..레이저빔 발생장치
30..렌즈 40..스위치 50..필기구
52..심 56..돌출부 58..탄성부재
60..뚜껑 62..뚜껑 고정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는 몸체, 몸체 내에 설치되어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레이저빔 발생장치,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발산하는 렌즈, 레이저빔 발생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및 몸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필기구를 포함하고, 몸체의 타단부는 다중으로 중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몸체는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한 다수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필기구는 몸체의 최내측 관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몸체에는 필기구의 일단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필기구 내에 위치하는 심은 탄성부재에 의해 돌출부 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하여, 필기구가 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심이 바깥으로 돌출하고, 몸체에서 바깥으로 빼낼 때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심이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기구의 타단부를 밀폐하는 탈착 가능한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의 일단부에는 뚜껑을 임시로 끼워 보관하기 위한 뚜껑 고정편을 형성하고, 뚜껑은 걸림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렌즈를 밀폐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의 외형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도 1 및 도 3은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의 길이가 축소되어 레이저 포인터 또는 필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를 도시하며, 도 2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의 길이가 연장되어 지시봉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는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몸체(10)와, 레이저빔 발생장치(20) 및 필기구(5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대략 관형으로 이루어지며, 대략적으로 레이저빔 발생장치(20)는 몸체(10)의 일측에, 필기구(50)는 몸체(10)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몸체(10)는 대략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몸체(10)의 각 부분에서 레이저빔 발생장치(20)측을 일단부로, 필기구(50)측을 타단부로 명시한다. 이러한 몸체(10)의 두 부분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는 다수의 관(12, 14, 16)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관(12, 14, 16)은 서로 중첩되어 삽입하고 빼는 과정에 의해서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된다. 특히, 각각의 관(12, 14, 16)은 인접한 관끼리 서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최대로 연장된 길이에서 걸림턱(13, 13', 15, 15', 17, 17')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걸림턱(13, 13', 15, 15', 17, 17')은 미세한 다수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사선형 돌출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걸림턱(13, 13', 15, 15', 17)은 각각의 관(12, 14, 16)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되며, 특히 걸림턱(17')은 필기구(5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레이저빔 발생장치(20)는 상용되는 레이저 포인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레이저빔 발생구조를 가지며, 대략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22), 전력을 이용하여 레이저빔을 생성하는 레이저빔 발생부(24), 레이저빔이 지나가는 중공축(26)을 포함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다만, 본 고안에서 레이저빔 발생장치의 전원(22)은 몸체(10)를 두 부분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에는 위와 같은 레이저빔 발생장치(2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스위치(40)는 전원(22)으로부터 레이저빔 발생부(24)로 공급되는 전기경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몸체(10)의 일단부에는 덮개(28)가 설치되며, 이 덮개(28)는 몸체(10)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8)는 대략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중심 위치에는 레이저빔 발생장치(20)로부터 생성된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발산하기 위한 렌즈(30)가 설치된다. 이 렌즈(30)에는 또한 각종 문양이 성형되어 발산되는 레이저빔을 다양한 도안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 렌즈(30)는 덮개(28)를 교체함으로써 다른 도안으로 변경될 수 있다.
몸체(10)의 타단부에는 또한 상술한 것처럼 필기구(50)가 설치된다. 필기구(50)는 원통형 케이스 내에 심(52)이 삽입된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의 형태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예에서, 필기구(50)는 심(52)이 고정된 형태를 취하며, 이때 심(52)의 일단부는 몸체(10) 내에 형성된 필기구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심 고정편(54)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필기구 케이스 밖으로 돌출된다.
이 필기구(50) 또한 몸체(10) 내에서 인접한 관(16)과 서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며,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인접한 관(16)의 걸림턱(17)에 걸리도록, 필기구(5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턱(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에는 필기구의 심(52)을 보호하기 위한 뚜껑(6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뚜껑(60)은 심(52)을 감싼 형태로몸체(10)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이 뚜껑(60)은 사용자가 필기를 하는 동안에는 몸체(10)에서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때 뚜껑(60)을 따로 보관하지 않고 몸체(10)의 일단부측에 끼워 보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몸체(10)의 일단부에 뚜껑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뚜껑 고정편(62)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물론 몸체(10)의 일단부 외주면이 이 고정편(62)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뚜껑(60)을 몸체(10)의 일단부 측에 끼워둘 경우, 뚜껑(60)은 레이저빔의 발산 경로를 차단하게 되어, 필기시 실수로 레이저빔이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60)의 다른 변형예로서, 뚜껑(60)을 몸체(10)의 타단부에 끼우는 대신 필기구(50)의 타단부에 끼울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필기구(50)의 타단부가 몸체(10)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필기구(50)의 타단부를 몸체(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폭넓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에 설치된 필기구(50)의 다른 형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필기구(50)는 심이 필기구로부터 자동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형태를 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변형예에서 필기구(50)의 케이스는 일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몸체(10)에는 필기구(50)의 개방된 단부로 삽입 가능한 돌출부(56)가 형성된다. 돌출부(56)는 몸체(10) 내에 형성된 격벽(18)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격벽(18)은 몸체(10)를 레이저빔 발생장치(20)와 필기구(50)를 위한 부분으로 나누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심(52)은 이 돌출부(56)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심(52)의 타단부는 탄성부재(58)에 의해 필기구(50)의 케이스 내에서 돌출부(56) 쪽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10)를 최소 길이로 축소하면 몸체(10)의 돌출부(56)가 필기구(50)의 심(52)을 자연스럽게 눌러 심(52)의 단부가 필기구의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게 하여 사용자가 필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몸체(10)의 길이를 연장시키면, 돌출부(56)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심(52)은 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필기구 케이스 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 외에도 필기구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필기구(50)를 몸체(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심(52)을 교체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앞선 실시예와 같은 뚜껑(60)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포인터 고유의 기능과 함께 필기구의 기능을 사용하고, 또한 몸체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지시봉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포인트 사용시 병행해야 할 여러 기구를 통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고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을 사용하여 필기구의 심을 보호하는 한편, 필기시에는 뚜껑을 레이저빔 방사경로를 막도록 하여 실수로 레이저빔이 방사되어 눈을 손상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몸체(10),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레이저빔 발생장치(20);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발산하는 렌즈(30);
    상기 레이저빔 발생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0);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필기구(5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타단부는 다중으로 중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한 다수의 관(12, 14, 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기구는 상기 몸체의 최내측 관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필기구의 일단부로 삽입되는 돌출부(56)가 형성되고, 상기 필기구 내에 위치하는 심(52)은 탄성부재(58)에 의해 상기 돌출부 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필기구는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심이 바깥으로 돌출하고, 상기 몸체에서 바깥으로 빼낼 때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심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의 타단부를 밀폐하는 탈착 가능한 뚜껑(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뚜껑을 임시로 끼워 보관하기 위한 뚜껑 고정편(62)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걸림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렌즈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KR2020010031672U 2001-10-17 2001-10-17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KR200260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72U KR200260828Y1 (ko) 2001-10-17 2001-10-17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72U KR200260828Y1 (ko) 2001-10-17 2001-10-17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828Y1 true KR200260828Y1 (ko) 2002-01-17

Family

ID=7311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72U KR200260828Y1 (ko) 2001-10-17 2001-10-17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8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49B1 (ko) * 2006-12-28 2008-06-23 김주근 다기능 usb 펜
KR100903293B1 (ko) 2007-12-31 2009-06-16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KR101071927B1 (ko) * 2010-12-31 2011-10-12 문인식 스타일러스 펜
KR101544581B1 (ko) 2014-06-19 2015-08-19 김다솜 다기능 필기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49B1 (ko) * 2006-12-28 2008-06-23 김주근 다기능 usb 펜
KR100903293B1 (ko) 2007-12-31 2009-06-16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KR101071927B1 (ko) * 2010-12-31 2011-10-12 문인식 스타일러스 펜
KR101544581B1 (ko) 2014-06-19 2015-08-19 김다솜 다기능 필기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776B1 (ko) 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TW390830B (en) Lighted handle
KR200260828Y1 (ko)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US6070992A (en) Laser pointer having replaceable self-storing parts
JP2004361955A (ja) バッテリ作動式の棒状のランプ
CN104939838A (zh) 一种提取指纹专用磁粉刷
CN213346300U (zh) 一种泪小点扩张装置
ATE250235T1 (de) Kaleidoskop
KR200356755Y1 (ko) 분필용 홀더
KR102429446B1 (ko) 다기능 분필홀더
KR200423881Y1 (ko) 지시봉
KR101539396B1 (ko) 볼펜
KR20030019671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ES2073155T3 (es) Un boligrafo con una punta de escritura retraible.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JP3143982U (ja) 筆記具用照明器具
JP3118681U (ja) 投影式表示装置
KR200312913Y1 (ko) 다용도 지시봉
JP2009178870A (ja) 筆記具
CN208041686U (zh) 一种具有cob照明功能的手电筒
US20050083680A1 (en) Illuminable writing instrument
TWM587096U (zh) 起子發光結構
JP3199416U (ja) レーザーポインタ
KR840002101B1 (ko) 필 기 구
JPH0641284Y2 (ja) 反射鏡付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