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671A -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671A
KR20030019671A KR1020010052540A KR20010052540A KR20030019671A KR 20030019671 A KR20030019671 A KR 20030019671A KR 1020010052540 A KR1020010052540 A KR 1020010052540A KR 20010052540 A KR20010052540 A KR 20010052540A KR 20030019671 A KR20030019671 A KR 20030019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sertion position
length
peripheral surface
adju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림
Original Assignee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성림
Priority to KR102001005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9671A/ko
Publication of KR2003001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deformabl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각 부품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는 일단부가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볼펜심이 내장된 몸체, 몸체를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몸체를 케이스 내의 최대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 고정수단, 및 몸체를 케이스 내의 최소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LENGTH-ADJUSTABLE WRITING TOOL}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품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사용되는 필기구는 길이가 일정하게 한정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제품은 사용의 편리를 위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길이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휴대 및 운반이 불편하여 별도의 필통에 수납된 채로 보관되거나 운반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수시로 메모할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이러한 필기구는 매우 불편하게 된다. 특히, 별도의 가방 없이 필기구만을 휴대하고자 할 때, 길게 형성된 필기구는 운반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운반의 용이성을 위해서 필기구에 별도의 클립을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클립을 이용해 필기구를 주머니 등에 고정할 경우, 볼펜심을 통해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이런 이유로, 필기구의 심 부분에 별도의 캡을 씌우거나, 심을 케이스의 안팎으로 삽입 또는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설치하기고 한다.
최근에는 필기구를 두 부분 이상으로 나누어서 보관시에는 서로 깊게 삽입된 상태, 즉 짧은 길이를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짧게 삽입된 상태, 즉 긴 길이를 가지도록 변형된 필기구가 많이 개발되었다.
1996년 5월 9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138645호와 1998년 10월 10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4004호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위의 기술에서 제시된 필기구는 볼펜심이 내장된 선단심체와 이 선단심체가 삽입될 수 있는 후단심체를 구비하여, 각각의 심체의 삽입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필기구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기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종래 필기구의 단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였으나, 필기구가 두 부분으로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이러한 필기구는 별도의 연결수단이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기구를 주머니에 넣거나 손으로 들고 다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휴대가 간편하지 않으며, 오히려 분실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부품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열쇠고리와 같은 다른 물체에 부착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기구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서로 삽입되어 겹쳐지게 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시에 전체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가 최소 길이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필기구가 최대 길이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케이스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가 최소 길이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필기구가 최대 길이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케이스 12..통공 14..걸림턱
20,60..몸체 22..돌출부 24..돌기
28..탄성부재 30,70..캡 32,72..결합핀
34,78..연결끈 44,54,56,66..돌기라인 80..뚜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는 일단부가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볼펜심이 내장된 몸체, 몸체를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몸체를 케이스 내의 최대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 고정수단, 및 몸체를 케이스 내의 최소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수단은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케이스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는 몸체와 케이스가 최대 삽입위치에 있을 때 통공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케이스에는 외부의 물체와의 연결을 위해 케이스와 일부가 접촉하는 결합핀이 설치되고, 통공은 결합핀과 케이스가 서로 접촉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고정수단은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 및 케이스의 개방된 단부에 내측으로 굴곡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 돌기가 걸림턱에 걸림으로서 몸체와 케이스가 최소 삽입위치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제2 고정수단은 돌기와 걸림턱 대신 나사선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각각의 나사선은 몸체와 케이스가 최소 삽입위치에 있을 때 서로 나사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에는 외부의 다른 물체와의 연결을 위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연결끈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한 연결부재, 연결부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며 볼펜심이 내장된 몸체, 몸체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연결부재 및 몸체가 최대 삽입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개방된 단부와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의 내주면과 연결부재의 외주면 및 연결부재의 내주면과 몸체의 외주면에는 최소 삽입깊이에서 서로 겹쳐지는 다수의 돌기라인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와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와 몸체는 최소 삽입깊이에서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의 막힌 단부에는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한 뚜껑 설치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케이스에는 외부의 다른 물체와의 연결을 위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연결끈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가 최소 길이로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최대 길이로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는 대략적으로 케이스(10), 케이스(10)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고 볼펜심을 내장하는 몸체(20) 및 몸체(20)를 케이스(10) 밖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8)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스(10)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는 일측이 막힌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막힌 단부 측에 별도의 캡(30)을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10)에 설치된 캡(30)은 케이스(10)의 일부로써 기능하므로, 이하 설명에서 케이스(10)는 캡(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캡(30)은 케이스(10)의 일단에 나사결합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스(10)의 일단을 막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캡(30)의 분리 가능한 구성은 이후 필기구의 내부 구성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매우 유용하다.
또한, 케이스(10) 또는 캡(30)에는 필기구를 외부의 다른 물체와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으로는 종래에 필기구를주머니 등에 꽂기 위해 흔히 사용되던 결합핀(32)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길이가 매우 작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열쇠고리 또는 휴대폰 줄 등에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을 위해 캡(30)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별도의 연결끈(34)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35는 이러한 연결끈(34)을 캡(30)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공이다.
몸체(20)는 케이스(10) 내에 삽입되며, 케이스(10)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다. 이때, 몸체(20)는 미끄럼 이동을 통해 케이스(10)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으며, 또한 케이스(1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밖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몸체(20) 내에는 볼펜심이 내장되며, 도면에는 일단부에 돌출된 펜촉(18)이 도시되고 있다.
또한, 몸체(20)의 일단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8)가 설치된다. 탄성부재(28)는 케이스(10)의 내벽, 특히 캡(30)이 설치된 경우에는 캡(3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몸체(20)를 케이스(1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또한, 몸체(20)의 일단부에는 탄성부재(28)가 삽입되는 돌출부(26)가 형성되어, 탄성부재(28)의 위치가 임의로 변형되지 않게 한다.
또한, 케이스(10)의 단부에 설치된 캡(30)에도 탄성부재(28)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36)가 탄성부재(28)의 외주면과 약간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케이스(10)와 몸체(20)에는 최대 삽입위치, 즉 탄성부재(28)가 최대 한도로 압축된 위치에서 서로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와 몸체(20)를 최대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1 고정수단이라 명명하며, 제1 고정수단의 한 예로서 돌출부(22) 및 통공(12)이 적용되었다.
돌출부(22)는 몸체(2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외부의 압력에 의해 몸체(20) 내로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몸체(20) 내에 돌출부(22)가 삽입될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고, 이 공간에 탄성력이 높지 않은 탄성부재(23)를 설치함으로써, 돌출부(22)를 몸체(20)의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돌출부(22)는 몸체(20)가 케이스(10) 내에서 미끄럼 이동할 때 몸체(2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어, 몸체(20)의 미끄럼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통공(12)은 케이스(10)에 형성되며, 케이스(10)와 몸체(20)가 최대 삽입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22)와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결합핀(32)을 사용할 경우, 결합핀(32)에는 케이스(10)와 접촉하도록 돌출된 접촉부(33)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접촉부(33)는 케이스(10)의 외주면과 점 접촉을 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10)에 형성된 통공(12)의 위치를 접촉부(33)의 접촉점과 일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접촉부(33)에 의해 통공(12)으로 돌출된 돌출부(22)부를 케이스(10) 내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결합핀(32)을 이용해서 돌출부(22)를 쉽게 누를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가 돌출부(22)를 통공(12) 내로 누르게 되면, 돌출부(22)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던 몸체(20)가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볼펜심을 내장한 몸체(20)는 탄성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서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 몸체(20)는 케이스(10)의 외부로 완전히 벗어나면 안되므로, 몸체(20)와 케이스(10)를 필기구의 최대 길이, 즉 몸체(20)와 케이스(10)의 최소 삽입위치에서 서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20)와 케이스(10)를 최소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수단은 제2 고정수단이라 명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수단은 한 예로서 걸림턱(14)과 돌기(2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걸림턱(14)은 케이스(10)의 개방된 단부에 내측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돌기(24)는 몸체(20)에서 탄성부재(26)와 인접한 부분에 외주면을 따라 선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몸체(20)가 탄성부재(28)에 의해 케이스(10) 밖으로 밀려날 때, 몸체(20)에 형성된 돌기(24)가 케이스(1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에 걸리면서 몸체(20)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또한, 돌기(24)가 걸림턱(14)에 걸린 상태에서, 케이스(10)와 몸체(20)는 최소 삽입상태가 된다.
이때, 걸림턱(14)은 돌출부(22)가 지나가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20)가 케이스(10) 내에서 미끄럼 이동할 때, 몸체(20)에 형성된 돌출부(22)가 케이스(1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턱(14)의 형상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수단으로 사용된 걸림턱(14) 및 돌기(24)는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14)과 돌기(24) 대신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나사선을 각각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몸체(20)와 케이스(10)는 최소 삽입위치에서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케이스(10)와 몸체(20)는 보다 강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는 부품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길이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길이조절 방식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점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는 대략적으로, 케이스(40), 케이스(40)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한 연결부재(50), 및 연결부재(50)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며 볼펜심을 내장하고 있는 몸체(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부재(40, 50, 60)가 최대 삽입상태에 있을 때 이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길이고정부재(80)가 추가로 설치되며, 길이고정부재(80)의 대표적인 한 예로써 케이스(40)와 결합될 수 있는 뚜껑이 사용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40), 연결부재(50) 및 몸체(60)는 서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최대 삽입위치에서 필기구의 전체 길이는 케이스(40)의 길이보다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대 삽입위치에서 몸체(60)의 단부는 케이스(40) 또는 연결부재(50)의 단부보다 바깥으로 약간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60)의 바깥으로 돌출된 부분은 이후 사용자가 필기구 길이 연장을 위해 손가락으로 잡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삽입위치에서 케이스(40)의 개방된 단부, 즉 몸체(60)에서 펜촉(62)이 돌출하는 위치에는 상술한 뚜껑(80)이 설치된다. 이때, 뚜껑(80)은 케이스(40)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져서, 케이스(40)를 뚜껑(80) 쪽으로 밀면 서로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예로서, 케이스(40)의 외주면과 뚜껑(8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서로 나사결합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기구의 길이를 연장시키려면, 사용자는 뚜껑(80)을 케이스(40)에서 분리하고, 돌출된 몸체(40)의 일부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그러면, 중간부재(50)는 케이스(40) 내에서, 또한 몸체(60)는 중간부재(50) 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필기구 전체가 최대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각각의 부재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부재에는 최소 삽입위치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에 다수의 돌기라인(44, 54, 56, 66)이 형성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라인(44)은 연결부재(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라인(56)과 서로 맞물리고, 연결부재(5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라인(54)은 몸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라인(66)과 서로 맞물린다.
이와 같은 돌기라인(44, 54, 56, 66)은 사용자가 몸체(60)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서 서로 맞물리게 되며, 각 부재를 완전히 분리시키지는 않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기구를 최대 길이 상태로 고정시키는 방법은 반드시 돌기라인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돌기라인 대신 나사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스(40), 연결부재(50) 및 몸체(60)는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보다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스(40)의 일부로서 캡(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캡(70)에는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핀(72) 또는 연결끈(78), 또는 둘 모두가 연결수단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캡(70)은 케이스(40)와 나사결합 등에 의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40) 또는 캡(70)에는 필기구의 길이 연장을 위해 떼어낸 뚜껑(8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7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76)는 필기구의 최소 길이상태에서 뚜껑(80)이 결합되는 케이스(40)의 단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져서, 사용자가 뚜껑(80)을 누름에 의해 서로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예로서, 뚜껑(80)과 설치부(76)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서로 나사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필기구를 사용한 후 보관 또는 휴대를 위해 다시 최소 길이상태로 바꾸려고 할 때, 사용자는 단지 몸체(60)를 케이스(40) 쪽으로 밀어서 몸체(60), 중간부재(50) 및 케이스(40)를 최대 삽입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설치부(76)에서 뚜껑(80)을 떼어내어 케이스(40)의 개방된 단부에 끼우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역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매우 손쉽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는 각각의 부품을 서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을 위해 필기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손쉬우며, 또한 특정 부품에 대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일단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볼펜심이 내장된 몸체;
    상기 몸체를 상기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몸체를 상기 케이스 내의 최대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1 고정수단; 및
    상기 몸체를 상기 케이스 내의 최소 삽입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와 상기 케이스가 최대 삽입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의 물체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케이스와 일부가 접촉하는 결합핀이 설치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결합핀과 상기 케이스가 서로 접촉하는 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단부에 내측으로 굴곡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으로서 상기 몸체와 상기 케이스가 최소 삽입위치에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 및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나사선은 상기 몸체와 상기 케이스가 최소 삽입위치에 있을 때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의 다른 물체와의 연결을 위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연결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7.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범위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며 볼펜심이 내장된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몸체가 최대 삽입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단부와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최소 삽입깊이에서 서로 겹쳐지는 다수의 돌기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몸체는 최소 삽입깊이에서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막힌 단부에는 상기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한 뚜껑 설치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의 다른 물체와의 연결을 위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연결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KR1020010052540A 2001-08-29 2001-08-29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KR20030019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40A KR20030019671A (ko) 2001-08-29 2001-08-29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40A KR20030019671A (ko) 2001-08-29 2001-08-29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671A true KR20030019671A (ko) 2003-03-07

Family

ID=2772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540A KR20030019671A (ko) 2001-08-29 2001-08-29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96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46A1 (en) * 2005-01-17 2006-07-20 Morris Corporation 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296A (ja) * 1984-10-04 1986-05-01 有賀 達郎 ミニボ−ルペン
JPS61202894A (ja) * 1985-03-05 1986-09-08 シヤチハタ工業株式会社 伸縮式ボ−ルペン
KR880002382Y1 (ko) * 1985-11-08 1988-07-02 고홍명 신축 필기구의 선단팁 출입장치
KR900005622Y1 (ko) * 1986-03-05 1990-06-28 가도오 긴조구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신축식볼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296A (ja) * 1984-10-04 1986-05-01 有賀 達郎 ミニボ−ルペン
JPS61202894A (ja) * 1985-03-05 1986-09-08 シヤチハタ工業株式会社 伸縮式ボ−ルペン
KR880002382Y1 (ko) * 1985-11-08 1988-07-02 고홍명 신축 필기구의 선단팁 출입장치
KR900005622Y1 (ko) * 1986-03-05 1990-06-28 가도오 긴조구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신축식볼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46A1 (en) * 2005-01-17 2006-07-20 Morris Corporation 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JP4648818B2 (ja) クリップ
KR20030019671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JP2756762B2 (ja) パイプ連結構造
CN208744677U (zh) 一种无级伸缩机构以及无级伸缩式螺丝刀
US6405572B1 (en) Locking apparatus for a key holder
CN108994766A (zh) 一种无级伸缩机构以及无级伸缩式螺丝刀
KR200260828Y1 (ko)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KR20030019670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필기구
KR101539396B1 (ko) 볼펜
KR20090068433A (ko) 간편한 메직 펜
KR20070073369A (ko) 파이프 절곡형 볼펜
KR20090064492A (ko) 마법의 펜
KR20090068450A (ko) 다양한 형태의 펜
KR200331464Y1 (ko) 샤프펜슬
JP2013014100A (ja) 筆記具
JP2002192881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523704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構造
KR100289327B1 (ko) 자동 조절형 샤프 연필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20080107011A (ko) 터치펜
JPH0423027Y2 (ko)
JP4505782B2 (ja) 伸縮式の筆記具または化粧具
JP3078816U (ja) 筆記具用ホルダー
KR870002713Y1 (ko) 샤아프 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